고전 이야기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물

eorks 2013. 8. 24. 07:38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물
    시왈(詩曰) 부혜생아 모혜국아(父兮生我 母兮鞠我) 애애부모 생아구로(哀哀父母 生我劬勞) 욕보심은 호천망극(欲報深恩 昊天罔極) 시경에 전한다.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셨네. 애달프다 어버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셨네. 그 은혜를 갚고자 하나 하늘과 같이 끝이 없네. `어버이 은혜는 하늘같아서~` 하는 노래가 있다. 그 가사는 아 마도 <시경>의 이 대목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 아닌가 싶다. 그 렇다면 `호천망극(昊天罔極)`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방 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막막하지만 의외로 간단하다. 공자가 말 했다. "어버이를 섬길 때는 기거에는 공경함을 다하고, 받들어 섬 김에는 즐거움을 다하고, 병드신 때에는 근심을 다하고, 돌아 가신 때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지낼 때에는 엄숙함을 다하 라. 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멀리 여행하지 말고, 부득이 집을 떠 날 때는 반드시 가는 곳을 알려라. 아버지께서 부르시면 속히 공손히 대답하고, 입에 음식을 물고 있다면 즉시 뱉어내고 대 답하라." 여기에 강태공이 나서서 한마디 경계를 더한다. "내가 어버이께 효도해야 자식이 또한 나에게 효도한다. 내 가 이미 부모에게 불효했으니 어찌 내 자식이 내게 효도하리 오... 효순(孝順 : 착하고 효성스러운)한 사람은 효순한 자식을 낳고, 오역(忤逆 : 어긋나고 거스르는)한 사람은 오역한 자식을 낳는다. 믿지 못하겠거든 저 처마 끝에 낙수를 보라. 방울방울 낙숫물이 한 치 어긋남 없이 같은 곳에 떨어진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倫理)  (0) 2013.08.26
언덕 위의 나무  (0) 2013.08.25
색난(色難)  (0) 2013.08.23
새 중의 증삼(曾參)  (0) 2013.08.22
색동옷 입고 춤추다  (0) 201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