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

언덕 위의 나무

eorks 2013. 8. 25. 08:45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
언덕 위의 나무
    부모님이 돌아가시어 효도를 할 수 없음을 한탄하는 말로 `풍 수지탄(風樹之嘆)`이라는 것이 있다.<한시외전(韓詩外傳)>에 서 유래하는데,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의 `효`편에 다음 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하루는 공자가 길을 가고 있는데 어디선가 몹시 슬피 우는 울 음소리가 들렸다. 공자가 그 울음소리가 나는 곳을 따라가 보 니 웬 젊은이 하나가 울고 있는데 자신의 이름을 고어(皐魚)라 고 했다. 그는 베옷을 입고 한 손에는 칼을 든 채 길가에서 울고 있는 것이다. 공자가 수레에서 내려 울고 있는 까닭을 물으니, "저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천하를 구루 돌아다녔습 니다. 그런데 집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께서 모두 돌아가시지 않았겠습니까. 나무가 조용히 서 있고 싶어도 바람이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고,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고 싶어도 그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흘러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세월이고, 돌아가심에 쫓아갈 수 없는 것이 부모님입니다. 나 는 이제 이 세상을 하직하여 부모님을 섬기지 못한 죄를 조금 이라도 씻어볼까 합니다." 하고는 마침내 칼로 자신의 목을 찔러 죽고 말았다. 고어의 죽음을 본 공자의 제자 중에서 집으로 돌아가 부모를 공양하려는 자가 열세 명이나 되었다. <한시외전>에 전하는 시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왕이불가추자년야(往而不可追者年也) 거이불견자친야(去而不見者親也)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리지 않네. 흘러가면 쫓을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가시면 다시 볼 수 없는 것은 어버이이라네.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생과 곰발바닥  (0) 2013.08.27
윤리(倫理)  (0) 2013.08.26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물  (0) 2013.08.24
색난(色難)  (0) 2013.08.23
새 중의 증삼(曾參)  (0) 201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