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

의기(義氣)와 화기(和氣)

eorks 2013. 8. 28. 07:35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
의기(義氣)와 화기(和氣)
    절의오청운 문장고백설(節義傲靑雲 文章高白雪) 약불이덕성도용지 종위혈기지사기능지말(若不以德性陶鎔之 終爲血 氣之私技能之末) 절의는 청운의 자리라도 내려다보며, 문장은 백설보다 높을지라 도, 만약 그것이 덕성으로써 수양된 것이 아니라면, 객기의 사행 (私行)과 기능의 말기(末技)가 되고 말 것이다. <채근담>에 있는 말이다. 절개와 의리, 학문 등이 아무리 뛰어 나도 올바른 덕성을 갖추지 못하면 그저 자그마한 성취나 잔 재 주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채근담>은 명나라 사람 홍자성이 써서 남긴 수상집으로 인 생 수양서로서 이름이 높다. 그는 간결한 문장에 깊은 사색을 담아 현실 세계를 사는 지혜와 탈속한 삶의 여유를 동시에 그 려낸다. 의리나 절개에 대한 생각도 마찬가지다. 공자나 맹자 가 준엄하다면 홍자성은 다소 유연하다. "절개와 의리를 표현하는 사람은 절개와 의리 때문에 헐뜯 음을 당하고, 도덕과 학문을 표방하는 사람은 도덕과 학문 때 문에 원망을 불러들인다. 그러므로 군자는 악한 일에도 가까이 가지 않고 좋은 이름에도 가까이 서지 않는다. 오직 혼연한 화 기(和氣)만이 곧 몸을 보전하는 보배인 것이다." 무언가 강력히 주장하다가 그 주장에 의해 자신이 궁지에 몰 리는 경우 더 크게 비난을 받는다. 도덕이나 학문적 성취도 마 찬가지다. 자신의 도덕성이나 학문적 업적을 무기로 내세우다 보면 과오를 저질렀을 때 그로 인해 더 큰 도덕적 상처와 불신 을 당하게 된다. 그러니 군자는 나쁜 일도 하지 말아야 하거니 와 선행이나 업적을 내세우는 일도 하지 말아야 하며, 오로지 마음의 평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일견 비겁해 보이는 발언이다. 누군가는 현실 타협적이라고 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 얘기를 음미해 보면 그가 무슨 말을 하고 싶어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절의가 있는 사람은 온화한 마음을 길러야 비로서 분쟁의 길을 걷지 않을 것이요, 공명심이 강한 사람은 겸양의 덕을 체 득해야 비로서 질투의 문을 열지 않을 것이다." 온화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인이 용맹하고 예가 없으면...  (0) 2013.08.30
성인(成人)과 성인(聖人)  (0) 2013.08.29
선생과 곰발바닥  (0) 2013.08.27
윤리(倫理)  (0) 2013.08.26
언덕 위의 나무  (0) 201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