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충실과 믿음을 위주로 해야 하며,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벗으로 삼 지 말고,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아야 한다.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말이다. 여기서 `주충신(主忠信)`사 람이 충성스럽지도 않고 믿음직하지 않으면 그가 하는 일이 모 두 실상(實相)이 없어 악을 저지르기는 쉽고, 선을 행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공부하는 사람은 반드시 충성(忠誠)과 믿음 (信)을 위주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다. 정자가 말했다. "사람의 도(道)는 오직 충성(忠誠)과 믿음(信)에 있다. 성실 (誠實)하지 않으면 상대방이 알아주지 않고, 또 자기 마음이 안 정되지 않아서 어디로 지향해야 할지를 알지 못하게 된다. 이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만약 충성과 믿음이 없다면 어찌 남이 인정해 주겠는가?" `무우불려기자(無友不如己者)`는 벗은 내가 어질게 되도록 돕는 사람이므로 자기보다 못한 벗을 사귀면 이익은 없고 손해 만 있게 된다는 말이다.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에서 `물(勿)`은 금지, 탄(憚)은 두 려워하고 어려워하는 것을 뜻한다.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데에 용감하지 못하면 악이 날마다 자라날 것이다. 그러므로 잘못이 있으면 빨리 고쳐야 할 것이지, 두렵고 어렵다고 해서 구차하 게 안주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완전무결한 이상적 인간인 성인의 경지에 있는 사람들은 별 개로 하고, 사람은 누구나 말과 행실에 잘못을 저지르기 쉽다. 다시 말해서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다. 문제는 잘못을 저지르느냐 않느냐가 아니라, 오히려 저지른 잘못에 대 하여 어떻게 대처하느냐 하는 것이다. 잘못을 저질렀을 경우, 그 잘못을 고친다면 이미 그 잘못은 없어져 버리는 것이다. 잘 못하고서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고 말한다. 소위 군 자와 소인의 갈림길이 바로 여기에 있다. <논어> `자장`편에서 자공은,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다. 잘못하면 사람들이 다 이를 보고, 고치면 사람들이 다 이를 우러른다." "소인은 잘못하면 반드시 억지로 꾸며댄다." 고 하는 말을 아울러 생각해 보면 분명해 진다. 요컨대 성인이 아닌 이상 인간이 잘못을 저지르는 일은 피할 수가 없다. 다만 그것이 잘못인 줄을 알았으면 빨리 고쳐야 하 며, 같은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말아야 할 뿐이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