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
`백락연후유천리마(伯樂然後有千里馬)`는 백락이 있은 후에 천리마가 있다는 말로, 아무리 재주가 뛰어난 사람일지라도 이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이름을 날릴 수 없다는 뜻이다. <전국책>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시대 진(秦)나라 목공(穆公) 때 손양(孫陽)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가 좋은 말과 나쁜 말을 기가 막히게 잘 구별해 냈기 때문에 그를 가리켜 말하기를, `백락(伯樂)`이라고 했다. `백락`이란 하늘나라 옥황상제 밑에서 말을 다스리는 일을 맡은 천신(天臣)을 말한다. 하루는 손양이 길을 가다가 천리마가 되고도 남을 말 한 필이 비쩍 마른 다른 말들과 소금 수레를 끌고 가는 것을 보았다. 그 준마는 언덕길로 접어들자 발길을 멈추고 멍에를 맨 채 손양을 쳐다보며 구슬프게 울었다. 손양은 이를 보고 얼른 말 주인에게 자기에게 그 말을 팔라고 했다. 그러나 말 주인은 들은 척도 않고 오히려 매질까지 해대며 말을 몰아세우는 것이��. 말은 고개를 숙이고 다시 짐을 끌기 시작했다. 손양은 자신이 빈한한 처지를 탄식하며 눈물을 지었다. "너 같은 명마에게 소금 수레를 끌게 하다니‥‥‥." 훗날 한유는 이렇게 탄식했다. "세상에 백락이 있은 후에야 천리마도 있는 법, 천리마는 항상 있으나 백락은 항상 있지 않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