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

복숭아나무 아래는 저절로 길이 생긴다

eorks 2014. 3. 24. 00:21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복숭아나무 아래는 저절로 길이 생긴다
겸손(謙遜)은 동양의 미덕으로 통한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무엇인가를 주면 으례 한두 번은 사양을 한 뒤 받는다. 그것이 어른에 대한 아랫사람의 예절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옛날 중국의 어떤 장군은 싸움에 나갈 때는 제일 먼저 돌격하여 목슴을 아끼지 않았고, 후퇴하는 데는 맨 뒤로 하여 다른 사람을 먼저 피하도록 하였다. 그러한 그를 사람들이 칭송하자 장군은 고개를 저었다.
"말이 늦게 달려 맨 뒤에서 왔을 뿐이다."
이처럼 겸손이란 자신의 공적도 내세우지 않는 것이다.
도리불언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라는 말이 있다. 복숭아와 오얏 열매는 맛이 있어서 그것을 먹으려고 오는 사람이 많다. 그런 까닭에 자연히 그쪽으로 길이 생긴다는 뜻이다. 즉 덕이 있는 사람은 말을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몰려온자는 뜻이다. 그럴듯하지 않는가.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집궐중(允執闕中)  (0) 2014.03.26
조상이 남겨준 것  (0) 2014.03.25
어리석은 약장수  (0) 2014.03.23
어진 임금, 어진 신하  (0) 2014.03.22
맹랑한 처녀  (0) 201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