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

경지경(更之更)

eorks 2014. 8. 5. 07:15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경지경(更之更)
조선조 9대 성종 때 손영숙(孫永叔)이 이조정랑으로 호남지방에 내려가 일을 보고 있었고 이때 자운아(紫雲兒)라는 서울의 일류 기생도 그곳에 귀양을 가 있었다. 손영숙은 자운아와 더불어 흡족한 시간을 보냈으나 자운아는 만족하지 못하였던 듯싶다.
어느 날 손영숙이 유생들이 지은 시문(詩文)을 가지고 자운아의 방 침상(寢牀)에서 채점을 하고 있을 때다. 심심했던 자운아가 어떻게 점수를 주느냐고 물었다.
손영숙이 가장 잘된 것은 상지상(上之上)이고 차례로 상지중, 상지하, 다음은 이지상, 이지중, 이지하, 또 다음은 삼지상, 삼지중, 삼지하, 그리고 여기에 못 들어간 것을 차상, 차중, 차하라며 맨 꼴지를 경지경(更之更)이라고 일러주었다.
그 후 손영숙이 서울로 올라오고 조치규(趙稚圭)가 전주 부윤으로 내려가 나주에서 자운아와 어울렸다.
이때 조치규가 물었다.
"너는 그동안 많은 사람을 겪은 것 같은데 나는 어떠냐?"
"네, 겨우 삼지하가 됩니다."
"그러면 손영숙은 어떻더냐?"
"경지경(更之更)이로소이다."
"그러면 누가 상에 해당하느냐?"
"군수 정문창(鄭文昌)이 겨우 이지상이나 될까요."
이로써 손영숙을 `경지경`이라고 별명 하였다 한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오거사의 대접  (0) 2014.08.07
12현금(絃琴)  (0) 2014.08.06
청파거사(靑坡居士)  (0) 2014.08.04
앵혈(櫻血)  (0) 2014.08.03
희녀대의 온방 장치  (0) 201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