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

두 개의 세계(世界)

eorks 2017. 1. 14. 03:47
탈무드의 머리

두 개의 세계(世界)
    어떤 두 사람에게 라비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라비이므로, 사람들은 나를 전적으로 믿고 있다. 나는 두 사람중 한 사람에게 만원을 빌렸고, 다른 한 사람으로부터는 2만원을 빌렸다. 그런데 어느날 두 사람이 와서, 나에게 다같이 2만원씩을 갚으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누구 에게서 만원을 빌렸는지 기억할 수가 없다. 나는 과연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에 대하여 <탈무드>에는 두 견해가 있다. "누구에게 2만원을 빌렸는지는 기억할 수 없지만, 두 사람에게 다 만원씩 빌린 것만을 틀림이 없다. 그러니까 우선 두 사람에게 각각 만원씩은 갚아주고 나머지 만원은 증거가 나올 때까지 법정에 맡겨 두도록 한다." 이러한 의견에 어떤 라비가 이렇게 말하였다. "두 사람중 한 명은 도둑이다. 만원밖에 빌려 주지 않고서 만원을 더 받아내려고 한다. 그런데 만원씩을 돌려 준다면, 그 도둑에게는 아무런 손해가 없다. 이래 가지고는 사회의 정의가 바로 서지 못한다. 도둑이나 나쁜 사람이 이득을 보거나 벌을 받지 않고 넘어가는 것은 사회정의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두 사람에게 한 푼도 갚지 말고 법정에 예치해 두어야 한다." 그러면 도둑 쪽에서는 만원마저 돌려 받지 못하면 손해가 되니까, 집에 가서 장부를 다시 살려보니 2만원이 아니라 만원이었다고 말하면 만원을 찾으러 올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시 앞에서 예를 든 극장 이야기로 돌아가서, 극장 의 경우도 같은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돈을 발견 한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틀림없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거짓말을 한 사람이 그 돈의 절반을 차지한다면, 거짓 말을 하고도 이득을 보게되는 것이므로, 이것은 사회정의에서 어긋난다. 그러므로, 확실한 증거가나올 때까지 그 돈을 법정 에 보관해야 두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극장의 경우는 두 사람이 정말로 동시에 그것을 발견할 수도 있으므로, 그들에게 선서를 시켜도 괜찮다. 그러나 만원과 2만원의 경우는 어느 한족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 므로, 그들에게 선서를 시킨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선서를 허위로 해서는 안된다는 것은 하나님의 십계명 중의 하나로, 선서를 허위로 하면 39번 채찍으로 맞는벌을 받는다. 선서를 하고도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신에 대한 모독이기 때문 이다. 그런데 <탈무드>에서는 극장의 경우 한 사람이 '이것은 내가 발견했기 때문에 전부 내 것이다'라고 말하고, 또 한 사람도 '이것은 전부 내 것이다'라고 말하며, 선서를 하고서도 자기의 주장을 계속한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백두대간^^........白頭大幹

'탈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처한 나머지  (0) 2017.01.16
탈무드의 손  (0) 2017.01.15
광 고(廣告)  (0) 2017.01.13
보 증(保證)  (0) 2017.01.12
소 유 권(所有權)  (0) 2017.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