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유태인 사회에서 유태인 사원을 고용했다. 그런데 그 사원이
공금을 횡령하여 도망쳐 버렸다. 유태인 사장은 화가 나서 경찰에
신고하려고 했다. 그래서 회사의 간부 중 한 사람이 나에게 어떻게
했으면 좋겠느냐고 상의하러 왔다.
"먼저 정말로 돈을 가지고 도망쳤는지 어떤지를 확실히 해 두어야
합니다. 그가 돈을 가지고 간 경우, 경찰에 신고하여 그가 기소되면
그는 바로 감옥에 들어가겠지요. 그러나 이것은 유태의 방식이 아닙
니다."
왜냐하면 그가 감옥에 들어가면 돈을 돌려받을 수가 없기 때문이
다. 유태 율법에서는 돈을 훔쳐간 사람을 감옥에 넣는 것보다는 그
에게서 돈을 받아 내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그래서 돈을 훔쳐간 사람을 찾으면 감옥에 넣기보다는 우선 돈을
돌려받고, 거기에 덧붙여 벌금을 물려야 한다고 말해 주었다.
도망친 유태인 사원을 찾아 내어 그렇게 이야기해 주자 그는 돈을
모두 써 버려 한 푼도 남아 있지 않았다고 대꾸했다. 그래도 감옥에
보내는 것보다는 일을 시켜 그 급료 중 일부로 분할 상환케 하는 방
법이 나으므로 그를 경찰에 보내지 않고 집에서 재판에 회부했다.
내가 재판장이 되어 나는 그로 하여금 그가 가져간 돈을 일하여 돌
려 주도록 하는 동시에, 벌금을 나에게 내도록 하고, 그 벌금은 자
선 기금으로 쓰기로 하였다.
유태 사회에서는 A라는 사람이 100만 원을 훔쳐가서 라비의 재판
에 회부되어 벌금을 합쳐 110만 원을 변제하라는 판결을 받았다고
한다. 그가 110만 원을 돌려 주고 나면 그의 죄는 없는 것으로 되
고, 다른 사람과 똑같이 된다. 돈을 잃어버렸던 사람이 그에게, 저
녀석은 전에 돈을 훔쳐갔었다는 식으로 말하면 그렇게 말하는 사람
이 나쁜 사람이 된다.
벌금은 대체로 20퍼센트 이상이다. 그러나 엄격한 규칙이 있다.
예를 들면 무엇을 가져갔는가, 그것을 사용하여 돈을 벌었는가, 훔
친 시각은 밤이었는가 낮이었는가 등 여러 조건에 따라서 벌금의 부
과에 차별이 있다.
탈무드에서는 말을 훔친 경우에 가장 높은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말을 사용하여 돈을 벌 수 있고, 도둑맞은 사람은 대단히 불편을 겪
기 때문이다. 오늘날이라면 트럭이 해당되지 않을까 한다. 아무튼
그 경우 400퍼센트의 벌금을 물게 된다. 일반적으로 당나귀는 말보
다 벌금이 싸다. 말은 온순하지만 당나귀는 난폭하여 쉽게 훔칠 수
없기 때문이다.
훔치는 자의 개인적인 처지도 감안된다. 굶고 있던 사람이라면
20퍼센트 정도의 싼 벌금이 책정된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벌금이
나 돌려 준 돈, 또는 이자를 내지 않는 경우에는 노동으로 대신 갚
게 했다. 최악의 경우에는 감옥에 가게 되는데, 그러나 근본적으로
는 감옥에 보내는것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유태
인의 사고방식인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1318B494FE8FBA51E)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