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이란?우주를 곧 천지라 하며 천지가 곧 음양인 것이다. 천지가 순환함에 춘·하·추·동의 사계절이 생기고, 그 사계절이 생김에 24절기가 생기고, 이에 동서남북의 4방위가 생기고, 4방위 사이에 각각 간방(間方)을 붙이니 8방이 된다.
이 8방을 절기에 맞추어 24방위로 나눈다. (8방을 중심으로 좌우로 세분하여 한 방위를 3으로 나누니 24방위가 된다.) 4계절을 1년으로, 1년을 12개월로, 1개월을 30일로, 이는 우주의 순환과 달의 운수에 따라 정한 것이다.
수·화·금·목·토 오행이 생기고 60갑자를 만들어 일월의 운회(運會)를 알고 24방위를 가늠하는 법칙을 제정할 수 있게 되었다. 천지를 정음(正陰) 정양(正陽)으로 구분하고, 24방위에는 천간과 지지를 붙이고 오행을 배치하여 춘하추동과 24절기를 포함하여 하나의 원리를 만들어낸 것이니, 24방위를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로 정하였다.
여기서 수목화금토의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의 원리가 도출되었다. 왜 북을 자(子)라고 하였으며 수라고 하였는가 지구는 자체가 자석이므로 북은 지구의 축(軸)이 되며 자는 비로소 양이 시작되는 점(시간으로 0시)에 해당하는 방위이다.
또 수란 천지가 시작될 때 제일 먼저 물이 생겼다고(천일생수:天一生水)하여 만물은 물로써 생하는 이치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북을 자(子)라고 하고 수의 위치로 정하였던 것이다.
동을 목이라 한 것은 지구의 자전으로 태양이 동쪽에서 뜨게 되었기 때문에 제일먼저 햇빛의 따뜻한 기운을 받기 시작하여 수목의 생장이 촉진되므로 그 이치에 따라 수생목이라 목을 동에 배정한 것이다.
남을 화의 위치로 한 것은 한 여름 화기를 받아 수목이 무성하게 되므로 이 이치에 쫓아 목생화로서 화를 남방에 속하게 한 것이다.
서를 금이라 함은 결실된 오곡백과가 누렇게 익어 온 천하가 황금빛을 갖게하는 고로 토생금으로 서에 금을 속하게 한 것이다.
만물은 토에서 생성함으로 동서남북 아무 곳에나, 무처불입(無處不入)하는 고로, 낙엽이 떨어져 뿌리에 영양을 주고 과실이 떨어져 흙에서 싹이 나는 이치에서 토를 중앙에 속하게 한 것이다. 목 화 금 수 토 색깔 청 적 백 흑 황 계절 봄 여름 가을 겨울 환절기 사람 유년기(탄생기) 청년기 장년기 죽음(파손) 갱년기 과수 새싹(움) 성장(꽃) 과일 씨 중간과정
빛 |
목 |
화 |
금 |
수 |
토 |
색갈 |
청 |
적 |
백 |
흑 |
황 |
계절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
환절기 |
사람 |
유년기(탄생기) |
청년기 |
장년기 |
죽음(파손) |
갱년기 |
과수 |
새싹(움) |
성장(꽃) |
과일 |
씨 |
중간과정 |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