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아제르바이잔외6국/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93)

eorks 2019. 9. 4. 01:28

세계무형유산 /아제르바이잔, 인도, 이란,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 터키, 우즈베키스탄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Novruz, Nowrouz, Nooruz, Navruz, Nauroz, Nevruz]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국가 :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인도(India), 이란(Islamic Republic of Iran), 키르기스스탄(Kyrgyzstan), 파키스탄(Pakistan), 터키(Turkey),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등재연도 : 2009년
    무형유산의 의미 :
    ‘노브루즈(Novruz)·노우루즈(Nowrouz)·누루즈(Nooruz)·나브루즈(Navruz)·나우로즈(Nauroz)·네브루즈(Nevruz)’는 부르는 명칭은 약간씩 다르지만 이 무형유산은 아제르바이잔·인도·이란·키르기스스탄·파키스탄·터키·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등지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켜온 새해의 봄을 맞이하여 축하하는 날로서 ‘새날(New Day)’을 의미하는 민속 절기를 뜻하는 명칭이다. 이 절기는 천문학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기념일로 매년 3월 21일에 지켜진다. 이 절기는 여러 다양한 지역 전통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면 이란 신화에 등장하는 잠시드(Jamshid, 겨울의 파괴자에게서 인류를 구한 전설적 인물) 왕의 강령이라든가 그밖에도 수많은 전설과 신화 등과 관련되어 있다.

    축제가 열리는 의식의 모습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이란에서는 불이나 개울을 뛰어 넘는 풍습이 있고,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줄타기, 대문 앞에 촛불 밝혀 두기, 경마 또는 전통 씨름 같은 민속 경기를 한다. 이 절기의 행사 중에 춤과 노래나 종교적 성격을 띤 가족 식사 및 공동 식사 등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지켜지는 풍습이다. 특히 어린이들은 ‘삶은 달걀 장식하기’ 같은 행사에 참여하여 축제를 가장 즐겁게 보낸다. 이 민속 절기는 주로 여성들이 축제를 주관하는 등 전통의 전승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노브루즈는 화합 및 우호를 장려하고, 세대 간 그리고 가정의 평화와 연대라는 가치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민족 간에 그리고 다양한 공동체 사이에서 문화적 다양성과 친선을 증진하는 데에 기여한다.

    지역 정보 :
    인도 아대륙(Indian Subcontinent, 남아시아에서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등지를 포괄하는 지역)과 중앙아시아로부터 지중해 및 유럽 남동부까지.

    본문 :
    노브루즈·노우루즈·누루즈·나브루즈·나우로즈·네브루즈는 고대부터 오랜 역사 동안 지켜온 풍습으로, 지리적으로 광활한 범위에서 행해지고 있는 등 다양한 특징을 간직한 무형문화유산이다.

    이란의 전설적 왕 잠시드 신화와 같은 이야기에 기초한 다양한 문화적 형태와 표현이 있으며, 그 때문에 ‘노우루즈’는 ‘노우루즈 에 잠시드’라고도 불린다. 비슷한 신화가 인도 신화에도 있으며, 터키에도 유명한 ‘보즈쿠르트(Bozkurt)’ 신화가 있다. 이란·아프가니스탄 및 중앙아시아 나라들에는 ‘아무(Amoo) 노우루즈’라는 전설이 있는데 이 전설에 따르면 ‘나네흐(Naneh) 노우루즈’라는 소녀가 아무 노우루즈가 오기를 기다리다가 새해가 시작되는 바로 그 순간에 잠이 들어 버렸고 아무 노우루즈는 소녀가 잠든 사이에 다녀갔으며 해마다 이 전설은 되풀이되었다고 한다.

    비록 이런 전설이 옛날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오늘날에도 ‘노우루즈 이 시(Nowrouz/···i Poems)’라고 불리는 고전 시는 물론이고 설화·서사시·서정시의 형태로 우리 문화 속에 생생하게 살아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현대 시인들은 노우루즈 기념일 전후에 책·잡지·인터넷 등을 통해 ‘노우루즈 이 시’를 발표하고 있으며, 이런 시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음악 등을 통해 낭송되고 있다.

    이란의 고전 음악 중에는 〈나즈 에 노우루즈(Naz-e Nowrouz)〉·〈야드 에 노우루즈(Yaad-e Nowrouz)〉·〈노우루즈 에 호닥(Nowrouz-e Khordak)〉·〈노우루즈 에 하라(Nowrouz-e Khara)〉·〈노우루즈 에 사바(Nowrouz-e Saba)〉 등의 매우 특별한 노래와 가곡이 있다.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노래와 가곡이 연주 및 가창되고 있다. 오늘날까지도 우즈베키스탄에서 널리 사랑 받고 있는 〈나브루즈〉·〈무보라크보드(Muborakbod)〉·〈쇼모일라르(Shohmoylar)〉·〈수말락(Sumalak)〉·〈보이체착(Boychechak)〉·〈비나브샤(Binavsha)〉 등의 수많은 민요처럼, 모든 노우루즈 풍습을 지키는 지역에서는 절기와 관련된 가곡이 많이 있다.

    오늘날에는 지역·국가, 심지어 콘서트와 같이 초국가적 차원에서 연주·공연·가창되는 노우루즈 노래와 가곡들도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아프가니스탄의 마자르 이 샤리프(Mazar-e Sharif)에는 매우 독창적인 노우루지(Nowrouzi) 노래로 매우 유명한 〈몰라 맘마트 이안(Molla Mammad Jaan)〉이라는 곡이 있는데, 이란이나 타지키스탄에서도 널리 알려진 노래이다.

    노우루즈 절기에 추는 춤의 경우에는 모든 노우루즈 세력권, 특히 민족 집단 사이에 각 지방마다 전통 춤이 전해 내려오는데, 아제르바이잔과 우즈베키스탄의 춤이 그 일례이다.

    노우루즈와 관련된 종교·언어는 다음과 같은 노우루즈 기념 특별 민속 행사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란의 칸 바지(Khān Bāzi)·쿠세흐 갈린(Kūseh Galīn), 아제르바이잔과 터키의 쿠사 쿠사 카니(Kūsā Kūsā Khānī)·바쿠르 카님(Bākhūr Khānīm), 우즈베키스탄의 노우루즈 바바(Nowrouz Bābā)·악칸 바바(Akhkan Bāba)·네스레딘(Nesreddin)·에스팍 바지(Espak-bāzī, 어릿광대), 키르기스스탄의 에스팍 바지(Espak-bāzī, 어릿광대)·라글라그 바지(Laglag-bāzī), 우즈베키스탄의 마술(馬術) 시합(uloq, ot chopar 또는 콥카리(kopkari, 폴로 경기처럼 말을 타고 염소 몸통 사체를 골에 넣는 경기))·씨름(kurash, 쿠라시)·투양·투계 등이다.

    노우루즈와 관련된 공예도 발달했다. 가구 수선 그리고 공예품, 어린이용 장난감, 값비싼 보석으로 만든 장신구 및 특히 신혼부부를 위한 금속 공예품 등의 제작과 같이, 여러 가지 경험·기술·예술이 활용되며 일상 용품과 도구 같은 다양한 물건들이 제작된다.

    이러한 모든 다양한 행사는 위의 여러 나라들 전역(全域)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인 한편,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방과 지역들은 나름의 개별적 특수성을 살림으로써 풍부한 문화적 다양성을 표현하고 있다.

    • 페르시아력(曆) :
    새해 연휴와 봄의 시작인 이 절기의 기념일은 3월 21일이다. 이 날짜는 본디 고대(古代)부터 사용한 천문학을 근거로 하여 계산된 것이다. 중세 시대에 아부 라이한 비루니(Abu Reyhān Bīrūnī)·마흐무트 카스가리(Mahmud Kashgari)·오마르 하이얌(Omar Khayyam) 등과 같은 저명한 학자들이 이 계산을 확인하고 갱신하였다.

    • 행사와 풍습 :
    절기가 되면 모든 가정과 공동체는 매우 다채로운 축하 행사와 의식(儀式), 문화 행사를 연다. 이 날의 중요한 기능 하나는 공적인 모임, 다시 말해 친교하고 축하하는 문화적 공간이 되는 것이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물 또는 불과 관련된 특별한 민간 풍습을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란에서는 한 해의 마지막 수요일에 개울을 건너뛰거나 불을 붙이고 그 위를 뛰어 넘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을 ‘차르산베흐 수리(Chārshanbeh Sūrī)’ 또는 ‘차르산베르 에 아타쉬(Chārshanbeh-e Ātash)’라고 부른다.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마지막 4번의 수요일을 차례대로 ‘차르산베르 아브(Chārshanbeh Āb(물))’·‘차르산베흐 바드(Chārshanbeh Bād(바람))’·‘차르산베흐 하크(Chārshanbeh Khāk(땅))’, 그리고 ‘차르산베흐 아타쉬(Chārshanbeh Ātash(불))’이라 부르는데, 이날이 되면 사람들은 민요를 부르면서 불구덩이 사이를 지나가거나, 불 둘레 또는 물 근처에서 춤을 추는 풍습이 있다.

    터키나 중앙아시아 여러 국가에 거주하는 쿠르드(Kurds)족이나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 신도들 같은 집단에서는 노우루즈 전야에 불과 관련된 풍습을 지킨다. 예를 들어 키르기스(Kyrgyz Republic) 사람들은 빚을 갚고, 집을 청소하고, 다툼이 있었던 이웃과 화해한다. 우유와 곡식의 풍년, 많은 비를 바라는 마음의 표시로 모든 그릇에 우유나 케피르(kefir, 우유를 발효시킨 음료), 곡식, 샘물 등을 채워 넣기도 한다. 노인들의 말에 따르면 이렇게 하면 질병이나 불운이 가족으로부터 멀어진다고 한다.

    대다수 마을과 부족에서는 한 해의 마지막 수요일 아침과 노우루즈 전야에 가정주부나 딸들이 집에서 가장 가까운 저수지, 이를 테면 강이나 개울에서 물을 길어 온다. 노우루즈 당일은 이른 시각부터 친지나 집안 어르신, 이웃, 가족을 잃은 가정, 장애우 등을 방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방문할 때 사람들은 선물을 주고받는데, 특히 어린이나 새 신부에게 선물을 한다. 친지 방문이나 놀이가 몇일 동안 계속되는데, 이란에서는 지역 씨름 경기·경마·반드 바지(Band Bāzī, 줄타기) 등이 열리고, 아프가니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부즈 카쉬(Buz Kashī, 말을 탄 기수들이 송아지 머리를 상징하는 물건을 잡으려고 경쟁하는 경기) 등이 열린다.

    또 키르기스에서는 아트 차뷔쉬(At Charbysh(경마))·키즈쿠마이(Kyz Kuumay(말 탄 소녀 잡기))·코우크 나우루즈(Kouk Nourou)·우라크 타르티쉬(Ulak Tartysh(염소 낚아채기))·에인쉬(Enish(말을 타고 씨름하기))·쿠로우쉬(Kuroush(전통 씨름))·잠뷔 아투(Jamby Atuu(말을 타고 달리면서 은색 막대기 쏘아 맞추기)) 등이 열리며, 특히 젊은이와 어린이들이 즐겨 하는 아크 초울모우크(Ak Choulmouk)와 같은 특별한 경기도 펼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우루즈 전야를 앞두고 성묘를 한다. 망자를 위한 제물을 차려 놓고 비석 앞에 초를 켜둔다.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은 노우루즈 둘째 날에 제사를 지내는데, 이날을 ‘조상의 날’이라고 부른다. 카자흐스탄에서는 노우루즈 전야에 대문 앞에 초 2개를 밝혀 두는 풍습이 있다.

    다소 종교적 성격을 띠는 두 차례의 식사가 있는데, 첫째는 노우루즈 전야의 저녁 식사이고, 둘째는 노우루즈 당일의 점심 식사이다. 이때는 밥을 짓고, 각 지역마다 닭고기나 국수, 생선 같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식자재에 특별한 채소를 곁들여 식사한다.

    키르기스에서는 누루즈 당일 오후에 사람들이 함께 모여 거리 축제를 벌인다. 여러 도시와 마을 내에 특별한 장소을 미리 정하고, 제물로 받친 소를 끓여 만드는 ‘누루즈 케드제(Nooruz Kedje)’ 또는 ‘촌 케드제(Chon Kedje(거대한 수프))’를 준비한다. ‘누루즈 케드제’는 고기·식용유·쌀·콩·보리·밀·옥수수·귀리 가루·수수·감자에 갖은 양념을 넣어 조리하는 역사가 오래된 전통음식이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다소 종교적 성격을 띠는 식사를 가족끼리 나누는 데 비해, 키르기스에서만은 식사를 공식적인 축하 행사의 하나로 진행한다.

    이 무형유산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음식 및 관련 상징물이 놓이는 상차림에 있다. 상징물은 순결·밝음·생계·부를 상징한다. 소프레(Sofreh) 또는 소프레-예 하프신(Sofreh-ye Haft Sin)이라고 부르는 이란의 상차림에는 순결을 상징하는 ‘물’, 밝음을 상징하는 ‘양초’ 또는 ‘등잔불’, 신록을 상징하는 ‘사브제(Sabzeh, 접시에 키운 새싹)’, 밀의 싹으로 즙을 낸 신성한 음식인 ‘사마누(Samanū)’가 차려진다. 키르기스에서는 ‘수말락(Somoulok)’,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에서는 ‘사마니(Samani)’,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수말락(Somolūk)’, 행복의 상징으로 지역과 전통에 따라 다양한 ‘과자’, 순결과 밝음을 상징하는 ‘거울’,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달걀’ 그리고 ‘과일’, 그중에 특히 ‘석류’등이 상에 오른다.

    키르기스에서는 상차림을 ‘다스토르콘(dastorkon)’이라고 부르는데, 인생의 7가지 특성을 상징하는 여러 가지 음식, 곧 물과 고기·소금·버터·밀가루·곡물·우유를 흰색 식탁보 위에 차려 낸다. 인도의 파시(Parsi) 공동체 역시 이란의 상차림과 비슷하며 흰색 식탁보 위에 정갈하게 차려낸다. 이란에서는 첫 문자가 ‘S’로 시작되는 일곱 가지 음식으로 상을 차린다.

    키르기스에서는 노우루즈에 치르는 중요한 풍습 중에는 향나무(Alastou) 또는 아디라쉬만(Adyrashman, 마황(麻黃)과 함께)으로 집을 훈증하는 것이다. 훈증을 하는 이유는 집과 토지, 사람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런 풍습은 야생 루타(ruta)를 태워 집을 훈증하는 이란의 풍습과 비슷하다.

    • 문화적/예술적 표현 :
    노우루즈에는 음악과 춤 공연·구술 표현·문학·수공예·회화(특히 세밀화) 등이 펼쳐진다. 공예가들은 장식품과 어린이용 장난감을 제작한다. 수공예품의 문양, 시 표현, 음악과 춤의 예술 공연, 그림의 모티프는 봄맞이와 자연의 순환과 관계된 것들이다. 예를 들어 키르기스에서는 새해맞이를 축하하기 위해 하루종일 즉석으로 아카인(Akayn, 즉흥시인) 경연을 펼친다. 이 밖에도 서사시를 낭송하는 아킨(Akyn)들의 연행도 볼 수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나브루즈의 노래가 박시(baxshi, 주술사)·셰어이르(shoir, 시인)·더스턴치(dostonchi, 이야기꾼) 같은 민담 구연가의 레퍼토리의 일부로서 보존되어 왔다. 나브루즈에 연행되는 일부 영웅 전설은 호레즘(Khorezm)·수르한다르야(Surkhandarya)·카쉬카다르야(Kashkadarya)·사마르칸트(Samarkand) 같은 지역에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전통 음악의 진화는 제례악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토대로 거장들이 성악곡과 기악곡의 표본을 만들어 부하라(Bukhara) 〈샤슈마콤(shashmakom)〉, 연작 〈호레즘 마콤(Khorezm makoms)〉, 〈페르가나-타슈켄트 마콤(Fergana-Tashkent makoms)〉같이 대규모 성악 및 기악 마콤(makom) 연작을 만들었다.

    무형유산의 의미 :
    노우루즈는 평화와 연대, 화합과 우호 등의 가치를 촉진한다. 예를 들어 각 가정의 연장자는 관계가 소원한 가족을 만나게 하여 화해시키려고 애쓴다. 타지키스탄에서는 연장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관계가 소원한 사람들이 함께 만나 화해하기도 한다. 이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문화적 다양성과 관용, 건강한 생활 방식 및 생활환경은 다시 한 번 새롭게 되고 이러한 풍습은 다음 세대로 전승된다.

    어린이들은 소프레의 삶은 달걀 색칠 및 장식하기 같은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어린이들은 이 달걀을 선물받고, 끝에는 이 달걀로 놀이를 한다. 노우루즈의 첫째 날에 열린 공식 행사에서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대통령이 달걀을 가지고 놀이를 하는 모습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색칠한 달걀은 노우루즈에만 있는 풍습으로서 주로 어린이들이 참여한다. 더불어, 어린이들은 특히 새 옷 선물을 많이 받는다. 노우루즈의 이러한 관례는 어린이들의 가슴에 매우 인상 깊은 추억을 남기고, 이를 통해 이 문화가 다음 세대로 전승된다.

    사람들은 노우루즈 엽서를 주고받음으로써 우정을 나눈다. 사람들은 노우루즈 연휴와 노우루즈 상여금을 가지고 여행을 떠나기도 하는데, 이는 서로 다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 이 서로 관계를 증진시키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해준다. 노우루즈 연휴 동안에 우체국은 1년 중 다른 어느 때보다 훨씬 더 분주하다. 이 무형유산의 주된 목표는 나무 심기, ‘물’ 대한 경의, 집안 청소 등을 포함하여 자연의 보존에 초점을 맞춘 몇 가지 활동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지속가능성을 강화한다.

    • 여성의 역할 :
    여성들은 축하 행사를 치를 때 주된 역할을 하며 젊은이들에게 전통과 관련된 지식을 전파하기 때문에 여성이야말로 노우루즈의 풍습에서 매우 중요하다. 여성들은 어떤 의미에서는 행사를 관장하는 유일한 존재이기도 하다. 신성한 음식인 사마누 요리만 해도 그렇다. 키르기스에서는 여성들은 노브루즈 축하 행사 14일 전부터 수말락 준비에 참여하는 반면에,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노브루즈 전야에 수말락을 요리한다. 여성들은 또한 사브제(파릇한 새싹)를 준비하고, 다소 신성한 요소가 포함된 식사와 과자로 된 소프레도 준비한다.

    • 문화적 정체성 :
    노우루즈는 관련 당사국들이 가진 문화 정체성의 일부이며 동시에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보유자들은 사실상 전통의 전수자이며, 축하 행사라는 틀 안에서 지방, 국가 및 지역들은 해당 지역만의 정체성 있는 문화를 멋지게 표현하고 연행하는 문화 지속성의 대리인들이다. 포괄적으로 말해 노우루즈 축하 행사와 특히 여러 나라의 지방 및 전통 축전은 그 지역 주민들에게 국가 및 지역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노우루즈 기간에 태어난 갓난아기들을 ‘노우루즈’라고 부르거나, ‘노우루즈 알리(Ali)’처럼 ‘노우루즈’라는 단어를 붙여서 부른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테헤란에는 ‘노우루즈 칸 바자르(Nowrouz Khan Bazaar)’라고 알려진 시장이 있는데, 그 이름은 이 시장을 설립한 창업주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노브루즈, 노우루즈, 누루즈, 나브루즈, 나우로즈, 네브루즈 [Novruz, Nowrouz, Nooruz, Navruz, Nauroz, Nevruz]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