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중국 /유에주(95)

eorks 2019. 9. 6. 00:33

세계무형유산 /중국 /유에주
[Yueju opera, 越劇 ]
요약 : 중국의 전통극인 ‘유에주(越劇, 월극, 오페라)’은 중국의 오페라와 같은 극 전통과 광둥어 방언이 결합한 장르이다. 중국 남동부 광둥성(廣東省)과 광시성(廣西省) 등 광둥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는 유에주는 현악기와 타악기의 조화, 정교한 의상과 얼굴 분장(臉譜)이 특징이다. 실제 무기를 사용하고 소림(少林) 무술을 하는 스턴트와 같은 무술의 요소를 통합하였는데, 가창은 물론이고 탁월한 무술 실력까지 갖추어야 하는 ‘웬우셍(文武生)’이라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유에주는 역사적인 서사시로부터 일상생활의 현실적인 묘사에 이르기까지 풍성한 레퍼토리를 발달시켜 왔다. 매우 중요한 여흥의 형태이기도 한 유에주는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예식·종교·제례의 요소와 결합되었다. 이것은 ‘센공시(神恭戲)’라고 알려진 예술과 풍습이 영적으로 합일화된 형태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유에주는 중국 전역에서 인기가 높으며, 중국 내에서는 물론 해외에 거주하는 광둥어 사용자들에게 문화적 연대감을 갖게 해준다. 그들은 유에주의 세계적인 성공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으며, 유에주야말로 외지인들이 광둥 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고 여긴다. 오늘날 유에주 전통은 연극학교나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서 차세대 예술가들에게로 전승되고 있다.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유에주(Yueju opera)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유에주는 광둥성(廣東省), 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북위20º13'-26º23', 동경 104º28'-117º20') 등과 같은 광둥어 권역에서 인기가 높다. 아울러 광둥어를 사용하는 화교가 밀집한 동남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아프리카 등지에서도 그 명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 :
    ‘광둥 오페라(粵劇)’라고도 불리는 유에주는 중국의 방언 중의 하나인 광둥어로 노래하는 중국 전통극의 한 양식이다. 광둥어를 사용하는 지역인 광둥성, 광시성, 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 등에서 인기 있는 전통극으로 3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유에주는 다양한 곡조가 포함된 남중국의 전통극인데 지역의 지방색을 잘 표현한 것으로 영향력이 큰 예술이다. 유에주는 피황(皮黄, 경극(京劇)에서 사용되는 중국 전통극의 곡조)을 이용하는 전통극 중에서 광둥어 방언을 가장 완벽하게 구사하는 전통극이다.

    유에주는 18세기 이전에 남중국에 전파된 중국 전통극의 양식을 흡수하였다. 각각의 악기로 연주하는 두 종류의 곡조인 ‘방즈(梆子)’와 ‘어르황(二黄)’을 기본으로 광둥 지방의 민속 음악의 요소가 더해졌다. 어르시안(二弦)·유에시안(月弦)·산시안(三弦)·주티친(竹提琴)·샤오(簫, 퉁소)의 ‘우쟈투(五架头, 중국의 5대 전통 현악기)’와 북, 공 등을 포함하는 타악기로 구성된 기악단은 광둥 지방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방즈와 어르황이 광둥어권 지역으로 도입되었을 때 유에주는 전통극 공연에서 완벽하게 광둥어를 받아들여 북경어만을 사용하던 규칙을 바꾸었다. 그 결과 남중국의 특징을 보여주는 다양한 운율과 가락이 형성되었다.

    수에주에시안(薛覺先)·마시쩡(馬師曾)·구이밍양(Gui Mingyang)·랴오샤화이(廖俠懷)·바이주룽(白駒榮)·홍시안뉘(红线女) 등의 배우들이 창조한 6개 장르는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수되어 연행되는데, 그 중에서 이름난 유에주 여배우인 홍시안뉘가 창안한 ‘홍의 곡조(Hong Melody)’는 특히 더 유명하다. 유에주의 ‘단(旦, 중국 연극에서 여성으로 등장하는 배우)’은 독보적인 역할로서 반세기 이상 유에주 공연에 영향을 미쳤다.

    소림(少林) 무술에 기초한 유에주의 춤(武勇, 쿵푸라고도 알려짐)은 가짜가 아닌 실제 무기를 이용한 스턴트나 무술을 활용하여 연행되기 때문에, 중국 남부 그룹의 모범이 되기도 했다. “대사 연기는 입에 달려 있고, 무술 공연은 발에 달려 있다”라는 중국 속담은 유에주에서 이룬 가창과 무예의 업적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전통극에서 매우 독창적인 캐릭터로 탄생한 ‘웨우셍(文武生)’은 가창과 무술 실력을 두루 갖춰야 한다.

    유에주는 연행을 구성하는 두 가지 방법, 즉 티강(提綱, 극의 중요한 줄거리가 적힌 대본에 따른 연기)과 즉흥 연기를 동시에 채택하고 있다. 아울러 단독 공연과 중국에서는 파이창(排場)이라고 불리는 단체 공연 패턴을 탄력적으로 결합했다. 이러한 레퍼토리는 전설적 플롯과 현실적 주제를 다루며 지금까지 1만 편 이상이 전승되고 있다. 유에주의 의상과 분장은 매우 고혹적이고, 웅장한 스타일은 중국의 다른 전통극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대도시는 물론이고 중소도시에서도 유에주가 공연되고 있으며, 도시 생활에 맞추어 각색된 유에주는 중요한 여가 활동의 한 가지이다. 시골이나 일부 마을에서는 여흥과 주민 교화, 종교적 의식으로서의 기능을 하며, 전통 제례 의식에 연행을 결합한 센공시(神恭戏)로 공연 형식이 변형되기도 하였다.

    해외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중국 전통극인 유에주를 중국인들은 매우 소중하게 여긴다. 광둥성, 홍콩, 마카오 등지의 일부 고등 교육기관은 유에주 연구를 위한 특수 기관을 설립했으며, 중국 국내외에서 유에주의 광범한 대중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광둥어 사용권역에서는 유에주가 매우 자주 연행되고 있다.

    유에주는 연극학교나 견습 제도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전승되는 예술이다. 유에주 전통의 보유자 및 전승자로서 유에주 극단과 극장, 그리고 광둥성과 마카오, 홍콩 등지에서 활약하고 있는 대표적인 배우들은 유에주라는 문화유산을 재현하고 보다 풍성하게 하면서 지속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이들은 세계 곳곳에서 공연을 통해, 그리고 국제적인 통신 매체를 통해 유에주의 인기를 더욱 확장시켜 나아가고 있다. 광둥성과 마카오, 홍콩의 문화 관련 당국은 대중 매체, 극작(劇作) 및 전수자 훈련 등을 통해서 유에주의 문화적 성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아울러 홍시안뉘로 대표되는 예능보유자에 대한 예술적 연구와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늘날 유에주는 활기로 가득 차 있고, 중국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중국인들의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기 때뮨에 국내외에 거주하는 광둥 사람들의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하고 있다. 더불어 전 세계에 있는 중국인들에게도 인기가 높아서 유에주는 민족과 문화 소통의 인식을 상징하는 것이 되었다. 그 결과 외국인들도 유에주를 배우며, 중국 문화를 이해하게 해주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에주 [Yueju opera, 越劇]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