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케냐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Tradition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Kayas in the sacred forests of the Mijikenda]요약 : 미지켄다(Mijikenda)족은 케냐의 해안지방에 위치한 카야(Kaya) 숲에 살고 있는 9개 부족으로 이들은 반투(Bantu)어를 사용한다. 미지켄다족의 정체성은 귀한 약초들이 자생하는 성스러운 숲과 관련된 구전 및 공연예술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전통 및 풍습은 그들의 도덕규범과 통치체계를 이루며, 거기에는 기도·맹세·매장의식·부적·신생아 작명·성인식·화해 의식·결혼식·대관식 등이 포함된다.
카야는 요새처럼 된 거주지로서, 카야의 문화적 공간은 미지켄다 부족사회의 정체성·연속성·결속에 중요한 살아 있는 전통을 발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카야에서 천연자원을 이용하는 것은 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전통적인 지식과 풍습에 의해 통제된다. 캄비(Kambi, 원로회의)는 카야 및 그와 관련된 문화적 표현의 보호자 역할을 한다.
오늘날 미지켄다족은 비공식적인 도시 거주지를 선호하여 점차 카야를 버리고 있다. 토지 수요·도시화·사회적 변화 등의 압력 때문에 카야 거주지와 관련된 전통 및 문화적 풍습은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정체성과 연속성의 상징으로서 숭배했던 카야 숲의 전통이 사라지면서 미지켄다 부족의 사회 구조 및 결속력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국가 : 케냐(Keny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카야 숲과 관련된 전통 및 풍습의 창조자이자 보유자인 미지켄다족은 케냐에서 길이 250km, 폭 50km로 뻗어 있는 좁고 긴 해안 지대에 거주한다. 이 지역은 키낭고(Kinango)·콸레(Kwale)·몸바사(Mombasa)·음삼붸니(Msambweni) 등 탄자니아와 국경을 면한 케냐 남부의 여러 군에서 시작하여 카롤레니(Kaloleni)·킬리피(Kilifi)·말린디(Malindi) 등의 군에 있는 사바키(Sabaki) 강의 북쪽으로 뻗어 있다. 카야는 한때 광활하고 다채로웠던 저지대 산림 지역이었던 곳으로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각각의 카야 숲은 면적이 10ha~400ha까지 다양하며, 50개가 넘는 카야를 확인할 수 있다.
본문 : 미지켄다족의 조상은 소말리아의 타나(Tana)강 북부와 주바(Juba)강 남부에 해당하는 싱과야(Singwaya)에서 살았다. 그들은 부족 사이의 충돌 때문에 남쪽으로 이주하여 현재 케냐의 해안 지역, 16세기 초부터 카야 숲이라고 알려졌던, 사람들이 들어오기 어려운 산림 거주지에 정착하였다.
오늘날 미지켄다족은 거주지를 떠나 상업용 농지를 무단 점유하여 비공식적 거주지로 옮기고 있다. 도시화의 과정에서 급변하고 있는 사회 질서는 미지켄다족을 카야에서 떠나게 했고 그들은 다국적 기업인 사이잘(sisal, 그 잎섬유는 로프·바닥 깔개 등을 만드는 데 쓰임) 농장에서 일거리를 찾다가 결국은 그곳에서 미지켄다족의 전통·풍습·문화를 잃어버린 채 불법 거주자로 살아가고 있다. 미지켄다족의 이주는 그들을 하나로 결속해 주는 사회적 구조 없이 발생하고 있다. 카야를 떠나 비공식적인 거주지로 옮긴 사람의 상당수는 불법 점유자로 불리며, 사회적 이해 부족과 불평등한 자원의 분배로 야기되는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악명 높은 1997년의 리코니(Likoni) 사태, 그리고 보다 최근에는 2007년 엄청난 폭력 사태가 야기된 선거 후의 갈등 때 부각되었다.
카야숲 속에서는 미지켄다족의 평화로운 공존을 보장하는 도덕규범·지배체계·전통·의례·풍습이 있었다. 50개가 넘는 카야 거주지에서 미지켄다족을 보호하고, 자연환경 및 전체 생태계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보장해 주었던 것은 그들의 전통과 문화 풍습이었다.
•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
- 쿠하사 코마(Kuhasa Koma, 기도) : 쿠하사 코마는 기도를 뜻한다. 미지켄다족의 기도는 신과 망자(亡者)를 향해 이루어진다. 그것은 산 자와 죽은 자, 그리고 자연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준다. 기도 의식에서는 땅에 야자술과 약간의 음식을 붓는다. 이 의식은 죽은 자를 달래어 살아 있는 사람과 화해하기 위한 증표이다. 불운은 항상 살아 있는 사람과 평화롭게 공존하지 못하는 신들이 보내는 신호라고 해석된다. 이 풍습은 신, 망자, 자연에게 가해진 죄의 대가로 지역사회에 닥칠 수 있는 재앙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도록 부족사회의 젊은이들에게 전승된다.
- 쿠지카 룰루(Kuzika Lulu, 장례 매장) : 이것은 장례 전통 의식이다.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정해진 방식으로 두드리는 북소리에 맞추어 하초레(Hatsore)·좀베(Zombe)·치푸두(Chifudu)·치호마(Chihoma)·음완자(Mwanza) 등의 노래와 춤(dirges)이 부족사회의 일원이 죽은 것을 알린다. 노래와 춤은 죽음을 비난하고 그것을 둘러싼 비밀과 신화를 이야기하며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연행된다. 노래와 춤은 또 젊은이들에게 도덕적인 삶에 대해 가르치고,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는 질병에 대한 처방을 내리며, 악행과 사회적 일탈 행동을 조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전통적 풍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무책임한 관광과 무분별한 근대화이다. 장례의 전통적인 풍습은 북 연주의 경우 참여와 수습 과정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 전승된다. 연장자로부터 책임을 전수받는 하나의 방식으로 젊은이들이 묘지를 준비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관례이다.
- 쿠랴 치라호(Kurya Chiraho, 맹세) : 쿠랴 치라호는 미지켄다족이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서약하는 것이다. 갈등은 생태계의 파괴, 자원의 이용, 사회 질서의 붕괴 및 사회적 약속의 불이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 풍습을 유지하는 미지켄다족은 부족사회와 관련된 어떤 문제에 대해 정직하지 않거나 성실하지 않은 사람에게 이상한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죄가 있다고 밝혀진 사람에게는 벌금이나 처벌이 내려진다. 이 풍습은 부족사회의 중요한 비밀을 외부인들에게 숨기고, 부족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진실성과 정의의 미덕을 고취하는 데 이용된다. 맹세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존경받을 만하고 비난받을 여지가 없는 성품을 지녀야 한다. 모두가 그런 사람이 되기 위해 훌륭한 성품을 갖추려고 애썼다.
- 핑고(Fingo, 부적 또는 매장되는 주문) : 핑고는 주술·흉조·환경적 재앙·사회적 고통으로부터 부족사회를 보호하는 부적이다. 핑고는 특별히 아름답게 만들어 부족사회에서 선임된 일부만이 알고 있는 카야 안의 지정된 장소에 비밀리에 묻어둔다.
- 캄비(Kambi, 원로회의) : 캄비는 부족사회의 일상적인 활동을 감독하는 전통적 기관이다. 부족사회의 사회적·정치적 최고 기관으로서, 의원들의 맹세와 그들을 의원으로 선임하기 위해 연행하는 의식에 의해 권능을 발휘한다. 전통적 의식과 맹세가 요구되며, 캄비에 들어오기까지 때로는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캄비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기준의 윤리의식이 있어야 한다. 누구나 캄비의 일원이 되기 위해 노력하며, 그래서 평생 동안 올바르게 처신한다. 캄비는 재판의 최종심 역할을 한다.
캄비는 부족사회의 종교 의식을 주재하며, 미지켄다족의 무형문화유산을 지킨다. 합의를 바탕으로 규칙·금기·신화를 제정하고, 그 이행을 감독한다. 대부분이 사람과 자연 사이의 조화로운 삶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약초를 불법 채취한 사람은 전통 재판에 회부되고 캄피에 의해 중벌을 받는다. 또한 규칙 위반에 대해서도 징계를 하고, 정치·사법·사회의 정의를 구현한다. 캄비는 평화로운 공존을 위해 다른 부족사회와 우호적인 관계를 수립하고 돈독하게 유지한다. 더불어 부족사회의 젊은이들에게 토착 지식을 전수하는 일까지도 관장한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 존속 가능성 평가 :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문화적 풍습은 여러 부족사회 사이에 평화와 포용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유지시키기 위해 결속력이 강한 사회적 질서를 규제하는 기제이다. 부족의 지도자들은 정치적 경선에 나서는 등의 중대 결정을 하기에 앞서 원로회의의 축복을 청한다. 원로회의는 도덕적 행동·용기·지도력 등을 바탕으로 그들을 판단한다.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이 없다면, 무책임한 행동이 미지켄다족 사이에 뿌리를 내리게 될 것이다. 미지켄다족의 전통은 절도·난혼·비관용·부패 등과 같은 무분별한 행동을 줄이는 역할을 해왔다. 예를 들면 과거에 선거 이후의 소요 때 도둑질을 하거나 약탈한 사람은 원로들의 비난을 받고 할 수 없이 훔친 물건을 그대로 본래의 주인에게 돌려주었던 사실 등이 있었다.
- 연행의 빈도
카야와 관련된 대부분의 풍습이 오늘날에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소속되지 못하는 사람들을 제외한 부족민들의 행동에 정말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신을 카야 안에 매장하는 것도 지속되고 있는 풍습이다. 그러나 인구의 증가와 카야와 관련된 공간의 감소로 인하여 미지켄다족의 저명한 지도자들만이 카야 안에 매장되고 있다. 원로회의의 의원들도 카야 안에 매장된다.
맹세(쿠랴 치라호)·기도(쿠하사 코마)·부적(핑고)·원로회의(캄피) 등은 높이 존중받으면서 오늘날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이나 아메리카 대륙에 있는 서방 국가의 외교관들이 캄비의 안내를 받으며 카야를 방문하는 것도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이들 풍습은 미지켄다족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들이 근대화의 물결에도 불구하고 지켜온 풍습이다.
- 전승의 방법
원로회의는 수습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 전통과 풍습을 전승하고 있다. 원로들이 더 이상 역할을 하기 어려운 날이 오면 젊은이들이 원로의 역할을 대신할 것이다. 특정한 풍습이 이루어질 때 젊은이들이 관찰하고 참여하고 물려받는 것은 바로 원로에 의한 강력한 전승의 방식이다. 라바이(Rabai)족·기리아마(Giriama)족·초니(Chonyi)족의 문화 축제와 같이 부족별로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전통 축제도 전승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연행자의 인구 및 지속 가능성
미지켄다족의 전통적 풍습과 표현을 연행하는 사람들의 수는 수십 만 명에 달한다. 사실 미지켄다족의 2/3 이상이 그 전통을 믿고 실천한다. 어느 때보다 많은 비율의 미지켄다족 사람들이 빈번하게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전통적인 치료사를 찾고 있다. 그들 중 상당수가 핑고(부적)와 치라호(맹세)의 힘을 믿고 있다. 원로회의가 미지켄다족과 관련된 사회·정치적·문화적 문제를 처리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인정을 받고 수용되고 있다. 원로회의의 영향력은 미지켄다족의 사회·정치적·문화적 지위를 초월한다. 성공한 사업가나 정치가들이 원로회의와 관련을 맺으려 하고 그들의 축복을 받으려 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된다.
이들 전통과 풍습의 지속 가능성은 미지켄다의 부족사회가 그것을 존중하며 보존하여 후대에 계승하고자 다짐하는 사실에서 확실하다. 미지켄다족은 최근 전통과 풍습을 보존하기 위한 민간단체·정부·시민사회·이해 당사자 등과 협력하기 시작하였다. 부족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일부 풍습이 교환됨으로써 지속 가능성을 보다 강화하고 있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 이 문화유산, 특히 미래세대로의 그 전승은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 미지켄다족 사이에서 관련된 문화적 공간과 함께 전통적인 풍습을 보존하려는 강한 바람이 확인되고 있기는 하지만, 다음의 요소들이 카야와 관련된 전통적인 풍습의 연행을 감소시키며, 그 결과 미지켄다 부족을 사회적 갈등에 취약하게 만들고, 환경을 궁극적으로 피폐하게 만드는 주된 요인임이 입증되고 있다.
공교육·여행·고용과 관련된 인구 이동 등으로 서구적인 생활 방식에 노출되자 부족사회의 젊은이들은 카야의 생활 방식에 친숙하지 못하고 카야와 관련된 풍습·전통·신앙을 원시적이며 자신들과는 무관한 것으로 여긴다. 카야의 원로들이 아직까지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만, 젊은이들이 그들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는 경향도 있다. 게다가 부족사회의 많은 구성원들이 기독교 또는 이슬람교를 수용하거나 개종하는 바람에 전통적인 신앙과 풍습을 저버리고 있다.
- 문화 활동 및 의식을 수행할 자원의 부적절
관례상 그 자원은 지역 주민이 제공하였다. 그러나 그들 중 상당수가 이제 그것을 감당할 수 없다. 부분적으로 현대적인 생활방식에 따른 생계비의 증가가 그 원인이다.
- 원로회의의 노령화
전통적인 행사와 의식을 이끄는 원로의 다수가 고령이기 때문에 미래 세대에게 효과적으로 전승되지 못한 채 전통 지식을 상실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인 방식에 대한 젊은이들의 이해가 감소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젊은 원로가 원로회의의 일원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련된 의식을 위해서는 부분적으로 오리엔테이션과 새로운 인원의 확충, 그리고 그것을 수행하기 위한 재원 조달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은 문화적 풍습, 관련된 물품을 유지하는 원로들의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 토지 자원에 대한 압력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카야가 결국은 개인 소유 토지로 편입되었다. 이것은 예컨대 사전에 충분히 고지되지 않은 토지 이용 정책 때문에 카야의 땅이 주거지의 일부로 배정되었을 수도 있다. 법률을 통해 카야를 보호하려면 지역 발전에 대한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런 시도가 저항에 부딪치는 경우도 있고, 토지의 매매나 양수양도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지켄다족의 신성한 숲 카야와 관련된 전통 및 풍습 [Tradition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Kayas in the sacred forests of the Mijikenda]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