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중국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104)

eorks 2019. 9. 15. 00:20

세계무형유산 /중국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Traditional Li textile techniques : spinning, dyeing, weaving and embroidering]
요약 : ‘리족의 전통 직물 기술인 방적·날염·방직·자수 기술(黎族传统纺染织绣技艺)’은 중국 하이난성(海南省)에 거주하는 리족 여성들이 면과 삼, 그리고 기타 섬유를 이용해서 의복과 다른 생필품을 만드는 기술이다. 날비백(經飛白, 경비백), 겹 자수와 홑 문직(紋織) 직조 등의 기술은 여성들이 어렸을 때 구전으로 어머니를 통해 배우거나 시연을 보고 전수받는다. 리족 여성은 오직 상상력과 전통 스타일에 관한 지식만 가지고 직물의 무늬를 디자인한다.

리족은 문자 언어가 없기 때문에, 직물의 다양한 문양은 리족의 역사와 전설뿐만 아니라 신앙과 금기·신념·전통·풍속 등 다양한 생활상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또한 무늬는 하이난 섬의 다섯 가지 주요 사투리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여성들은 종교 의식이나 축제, 특히 혼례식에 알맞게 의상을 디자인하기 때문에 리족 여성이 만든 옷감은 사회적·문화적으로 중요한 행사에서 꼭 필요한 것이다. 게다가 이 직물은 리족 문화의 전승 매체이며 리족 전통 직물 기술은 리족의 문화유산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최근 수 십 년 동안 창조적으로 천을 짜거나 자수를 놓을 수 있는 여성들의 수가 급감하여 전통적인 리족의 직물 기술 또한 사멸할 위기에 처해 있으므로 긴급한 보호가 절실하다.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본 무형유산은 중국 하이난성(海南省)의 하이난 섬(북위18°10′—20°10′, 동경108°37′—111°05′)에 분포하는데, 특히 바이사(白沙)·우즈산(五指山)·러둥(乐东)·바오팅(保亭)과 기타 5개의 현과 시에서 행해지고 있다.

    본문 : 리족의 전통 직물 기술은 리족 여성들이 면과 삼, 기타 섬유를 이용해서 의복과 기타 생필품을 만드는 수공예 기술을 통칭한다. 리족의 전통 직물 기술은, 방추 또는 발판 물레를 이용해서 실을 잣는 기술, 천연 염료를 이용해서 실을 날염하는 기술, 등끈이 달린 직조기를 이용해서 천을 짜는 기술, 그리고 바느질로 천에 수를 놓는 기술 등이다.

    오랜 경험을 통해서 습득한 식물의 섬유질과 천연의 염료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기반으로, 여기에 끊임없는 기술 개선과 완벽한 기술을 연마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리족 여성은 실을 자아 날염하고 천으로 짜고 자수를 놓아서 직물을 완성하는 전체 과정을 발전시켜 왔다.

    • 방적(실잣기) : 리족 여성은 씨를 제거한 목화를 특수한 연장을 이용해서 푹신하게 만든 후 섬유질을 꼬아서 길게 만든 올실을 방추나 발판 물레로 자아서 실을 뽑아낸다. 방추는 바퀴, 손잡이, 그리고 고리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다. 목화 올실을 방추의 고리에 걸면 리족 여성은 무릎 위에 손잡이를 올려놓고 돌려서 실을 자아낼 수 있다. 방추 1개가 달린 발판 물레는 바퀴와 발판, 틀, 전달끈, 방추와 기타 부품으로 구성된다. 실을 자을 때는 등받이가 없는 작은 의자에 앉는다. 목화 올실을 방추에 감은 후, 발로 계속해서 발판을 밟아 바퀴를 돌리는 동시에 손가락 사이로 섬유를 짠다. 리족의 여성들이 이용하는 방적 도구는 이 분야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도구 중 하나이고,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대부분 그 자취를 감추었다.

    • 날염 : 리족은 주로 특정한 야생 식물의 뿌리·줄기·나무껍질·잎사귀 등에서 염료를 얻어 발효시키거나 삶거나 날염한 직물을 진흙 속에 묻어놓는 등의 방법으로 염색한다. 그리고 날염한 옷감에서 물이 빠지지 않도록 염료에 재를 섞는다. 새로 날염한 갈색 실을 진흙 속에 수일 동안 묻어 놓으면 색이 짙어지고 쉽게 바라지 않는다. 날비백(經飛白, 씨실은 건너뛰고 날실에만 염색하는 기술)은 홀치기 날염법을 사용하여 날실에 문양을 날염하고, 날염된 날실과 단색의 씨실을 짜서 천을 직조하는 것으로 고대로부터 이어온 희귀한 기술이다.

    우선 흰색의 날실은 길이가 약 180cm되는 H 형태의 틀에 묶는다. 그런 다음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얻기 위해 검은색 실을 거기에 묶는다. 날실을 날염 후 건조한 다음 검은색 실을 풀고, 날염된 날실과 단색의 씨실을 함께 짜서 옷감을 만든다. 이런 방식으로 짠 문양은 얼룩덜룩한 구름무늬이며 우아하고도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는 옷감이 된다. 이러한 날염 기법이 하이난 의 리족이 거주하는 마을에는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 방적(옷감 짜기) : 등끈이 달린 베틀은 리족 여성들이 옷감을 짤 때 이용하는 대표적 도구이다. 베틀은 보통 날실 감개, 등끈, 북, 씨실 조이개와 기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옷감을 짤 때에 리족 여성들은 베틀을 앞에 놓고 바닥에 앉아 등끈을 허리에 고정하고 날실 감개를 발로 눌러 날실을 팽팽하게 유지한다. 씨실은 북의 이동을 따라 날실에 짜인다. 씨실과 날실의 틈을 조이고자 할 때 씨실 조이개를 이용한다. 대개 날실은 검은색이거나 푸른색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으로 특수 처리한 씨실을 이용해서 문양을 짠다. 단면 문직(紋織, Jacquard) 직조법을 이용하면 특수 처리한 날실을 이용해서 옷감의 한쪽 면에 무늬가 매우 많이 들어간 문양을 만들 수 있다. 리족 여성들이 문양을 디자인할 때에는 책이나 샘플 등 어느 것도 참고하지 않는다. 전통 방식 그대로를 재현하여 완성하는 문양은 리족 여성들의 순수한 상상력의 산물이다.

    • 자수 : 리족의 전통 자수 기법은 스티치와 색상, 디자인의 조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수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단면자수로서 라인 스티치(lining-stitch), 아플리케, 구슬 꿰기 등의 전통 기법을 쓴다. 다른 하나는 양면자수로서 옷감의 양면을 동일한 문양으로 수놓는다. 룬(Run) 방언을 사용하는 여성들의 블라우스를 장식하는 양면 자수가 가장 대표적인데, 솜씨가 매우 정교하며, 민족적 특성이 잘 드러난다. 이러한 기법을 이용해서 제작한 직물을 통칭하여 리진(黎錦, 여금)이라 부르는데, 롱페이(龍被, 용피), 풀오버, 보(褓), 태피스트리, 스트레이트 스커트, 머리쓰개, 허리띠, 가방 등을 만들 때 쓰인다.

    그 중에서 거장의 솜씨로 풍부한 장식을 더해 만드는 롱페이는 매우 정교하여, 방적·날염·방직·자수 기법을 총동원한 리족의 전통 직물 기술의 진수이다. 한때 황실 공납품이기도 했던 롱페이는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중국 면화 방직 기술의 위대한 혁신가인 황다오포(黃道婆)는 13세기에 리족 여인들로부터 실잣기와 옷감 짜기 기술을 배웠다. 그녀가 고안한 많은 발명품 중 하나인 3개의 방추가 달린 발판 물레는 당대 최고의 선진화된 도구로서 본래 리족 여인들이 사용하던 도구를 개량한 것이었다. 황다오포가 전파한 여러 가지 기법은 중국의 방적 기술의 발달을 앞당겼다.

    뛰어난 심미적 가치를 논외로 하더라도, 리족의 직물을 장식하는 이러한 문양은 신앙·금기·신념·전통·풍속의 여러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무늬는 하이난 섬의 다섯 가지 주요 지방 사투리(Ha, Qi, Meifu, Run, Sai)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구분하는 중요한 상징 기호이다. 예를 들어 종교적 의식이나 축제, 혼례식과 같은 중요한 사회적·문화적 행사에서 리족의 전통 직물은 꼭 필요한 품목이다. 리족에게는 문자 언어가 없어 이러한 문양 속에는 리족의 역사와 전설이 담겨 있다.

    전통 직물 기술은 리족 여인이라면 꼭 익혀야 할 기술로서, 어머니로부터 딸들에게로 구전으로 전승되거나 직접 시범을 봄으로써 전수받았다. 리족 소녀들은 어릴 적부터 어머니에게 직접 손으로 하는 전통 기술을 배워서 익히고, 리족 처녀들이 결혼할 때에는 스스로 지은 옷을 혼례복으로 입어 영리함과 솜씨를 뽐내며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다.

    전통적인 리족의 직물과 관련된 모든 기술과 완성된 전통 직물은 리족 문화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민족 정체성의 토대가 되었다. 전통 직물 기술은 민족의 문화유산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존속 가능성 평가 : 리족의 직물 기술은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 황하(黃何) 중하류 사람들보다 1,000년이나 이른 청(淸) 왕조 이전부터 리족은 면방적과 방직 기술을 습득하였다. 리족이 생산한 직물은 한(漢)나라 때부터 황실에 받치는 공납품이었다. 송(宋)대에 이를 때까지 리족의 방적 산업은 중국에서 가장 앞서 있었다. 청나라 시대에 들어 리족이 생산한 직물은 진귀한 산물로 부상하여 국내외에서 서로 가지고 싶어 했던 귀한 품목이다.

    19세기 중반, 리족의 거주지 주변 지역에서 기계로 제작된 수입 직물들이 전통 직물을 대신하기 시작하였다. 리족이 거주하는 산악지대에서는 상업 경제의 발전이 비교적 더뎠기에 19세기 중반까지도 면방적 기술이 이어지고 있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리족 사람들의 생활과 생산 방식은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리족이 생산하는 직물은 한때 리족 사람들의 일상 용품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리족의 직물은 종교 의식, 결혼식, 장례식, 축제, 기타 민속 활동에서만 이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명주솜나무(ceiba), 지베이(Jibei) 등의 여러 수종(樹種)이 리족의 거주 지역에서 광범하게 자생했지만 오늘날에는 매우 적게 자라고 있다. 때문에 수작업으로 실을 자으려면 원재료의 확보가 매우 절실하다. 현대적인 농업의 발전으로 야생 식물 군락이 점차 사라지고, 이로 인하여 천연 염료의 원재료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전통적인 방적·날염·방직·자수 기술은 역사적으로 리족 여성들 사이에서 널리 확산되었었다. 1950년대 만해도 약 50,000명의 여성이 일상적으로 실을 잣고 옷감을 짜는 생활을 했다. 1970년대 이르러 그 수는 절반으로 감소하였고, 오늘날에는 완벽하게 직물 기술을 익힌 여성의 수가 1,000명도 안 된다. 게다가 이 여성들은 대부분 70대의 노인이다. 날비백 기술을 통달한 여성의 수가 200명, 양면 자수를 알고 있는 여성의 수가 5명에 불과하고, 롱페이 제작 기술을 완벽하게 알고 있는 여성은 한 명도 없다.

    여러 가지 위협 및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리족의 직물 기술은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리족은 전통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모로 노력하고 있으며, 사회적 단체와 협회 등은 경연대회를 개최하고 전통 기술의 전수를 위한 훈련센터를 설립하였다. 우즈산(五指山) 시 충산(琼山) 구 판마오 마을의 주민들은 스스로 리족의 직물 생산과 전통 기술의 전수를 위해 조직을 구성하였다. 직물 관련 공예에 능숙한 나이 지긋한 리족 여성들은 자발적으로 젊은 세대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있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 산업화의 과정이 가속화하면서 기계로 짠 직물은 수공예 직물을 대체하고, 화학 염색은 천연 염색을 대신하고 있다. 제작 시간이 길고, 상당한 수준의 전통 기술이 요구되는 리족의 직물은 현대적이고 산업화된 직물과 겨루어 이길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 더불어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시장에서 기계로 생산된 직물을 구매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방송과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대중화와 현대적 통신 매체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리족 사람들의 취향과 가치 역시 변화되고 있다. 세계화의 과정 속에서 하이난 섬은 인기가 높은 국제적 관광지로 떠오르고 있다. 관광객의 증가와 함께, 외래문화가 토착 문화를 심각하게 침범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생활 방식의 영향에 취약한 리족의 청소년들은 그들의 전통 의상보다는 다른 옷을 선택하기 쉬워졌다. 최근 10여 년 사이 리족의 직물 생산을 위해 소용되는 원재료는 날이 갈수록 구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명주솜나무와 인디고 계열 식물의 자생 지역을 찾기가 쉽지 않아졌다. 야생 삼과 같은 날염의 원료 식물들 역시 찾기 힘들어지고 있다.

    리족의 직물 기술을 완전히 통달한 사람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다. 산악지대에 살고 있는 리족 몇몇만이 직물 공예의 일부를 파악하고 있을 뿐이다. 대부분의 리족 여성들은 방적·날염·방직·자수에 대해서 아는 바가 별로 없다. 수 세기에 걸쳐 이어온 리족의 직물 기술은 오늘날 사멸할 위기에 처해 있다.

    리족의 직물 기술을 전승하는 방식은 학교 교육의 보편화로 난관을 맞고 있다. 과거에는 직물 기술이 리족 여성의 필수적인 기술로서 폭넓게 확산되었고, 흔히 가족 내에서 어머니로부터 딸들에게 전승되었다. 소녀들은 매우 어린 시절부터 직물 기술을 익히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제 학령기의 소녀들은 집에서 전통 공예를 배우는 대신에 학교에 간다. 공부하느라고 바빠서 어머니로부터 일자형 치마를 짜는 기술도 전수받을 시간이 없다. 리족의 직물 기술은 구술과 개인적인 시범을 통해 전승되고 있다. 문양에 관한 기록은 전혀 없다. 능숙한 기술을 가진 여성이 사망하면 그 기술은 빠르게 사멸된다.

    리족의 매장 풍습에 따라 여성이 죽으며 그가 사용하던 실을 잣거나 옷감을 짤 때 사용하는 도구와 고인의 의복 대부분을 시신과 함께 매장한다. 리족 전통 직물 기술의 거장들은 대부분이 매우 고령이다. 그들의 죽음과 함께 귀중한 유형의 자산은 물론이고 그들의 기술까지 영원히 사라지게 된다. 리족의 직물 기술은 매우 심각한 위험과 유협에 노출되어 있다. 그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조치가 매우 시급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리(黎)족의 전통 직물 기술 : 방적·날염·방직·자수 [Traditional Li textile techniques : spinning, dyeing, weaving and embroidering]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