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이란 /이란의 음악 라디프
[Radif of Iranian music]
요약 : 이란의 음악 ‘라디프(Radif)’는 이란 고전 음악의 전통적인 레퍼토리로, 페르시아 음악 문화의 정수이다. 라디프는 ‘구셰(gushe)’라고 불리는 250개 이상의 음률 단위가 순환을 이루도록 배열되는데, 깔려 있는 변조 층이 다양한 음률적 주제의 배경이 된다. 이란의 전통 음악은 연주자의 감흥과 관객의 반응에 따라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이 주된 연주 관행이지만, 음악가들은 라디프를 자신의 연행과 작곡에 쓸 음악적 도구의 모음으로 여기고, 이를 통달하기 위해 수년 동안 익힌다.
라디프는 음성으로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되고, 악기로 연주할 때도 다양한 악기를 이용해 서로 다른 기법으로 연주한다. 라디프에 사용되는 악기는 가슴판이 2개이고 목이 긴 류트(lute) 종류인 타르(tār)와 목이 긴 류트인 세타르(setār), 편평한 양금인 현악기 산투르(santur), 바이올린 종류의 뾰족한 현악기인 카만체(kamānche), 갈대 피리인 네이(ney)가 있다. 스승이 제자에게 구전으로 전승하는 라디프는 페르시아 음악 문화의 미학적 실천과 페르시아 문화 및 철학을 모두 구현한다. 수련생은 라디프를 익히기 위해 10년 이상 라디프의 레퍼토리를 암기하고, 영성의 문으로 들어서기 위해 음악적인 측면에서 인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라디프는 이란 음악에서 중요하고도 풍요로운 보고로서, 이란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국민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F443E5CAACE7208)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9073E5CAACE7203)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A493E5CAACE7339)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8133E5CAACE7303)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3A63E5CAACE7332)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A1D3E5CAACE742C)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F743E5CAACE7406)
이란의 음악 라디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2E13E5CAACE7506)
이란의 음악 라디프
국가 : 이란(Iran (Islamic Republic of))
등재연도 : 2009년
본문 : 라디프는 이란 고전 음악의 전통적인 표준 레퍼토리이다. 라디프는 구셰라고 불리는 250개 이상의 음률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셰는 선법과 음률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특별한 순서로 7개의 주요 모음집과 5개~6개의 부차적 모음집으로 배열된다. 주요 모음집은 다스트가(dastgāh), 부차적 모음집은 아바즈(āvāz)라 불린다. 각각의 다스트가와 아바즈는 여러 선율 모형이 다선법 사이클로 배열된 것이다. 즉, 여러 개의 마캄(maqām)으로 구성되어 시작과 끝은 같은 조로 하지만 중간에 조바꿈이 있다.
각 사이클의 구조는 2개의 계층으로 분석될 수 있다. 아래에 깔린 기초 계층은 다양한 음률과 박자의 동기가 제시되는 형식적인 기반이다. 7개의 다스트가는 슈르(shūr)·세가(segāh)·차하르가(chahārgāh)·마후르(māhūr)·호마윤(homāyūn)·나바(navā)·라스트파니즈가(rāstpanjgāh) 등이다. 아바즈는 2개의 다스트가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슈르에서 파생된 아바즈는 아부아타(abū‘atā)·다쉬티(dashti)·바야트에 토르크(bayāt-e tork)·아프샤리(afshāri, 바야트에 코르드(bayāt-e kord))가 있으며, 또 다른 아바즈인 바야트에 에스파한(bayāt-e esfahān)은 호마윤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각 구셰에는 사이클에서의 역할과 기술적 특징, 지역, 민족 집단, 분위기, 시적 장르, 음악가를 지칭하는 특정한 이름이 있으며, 이러한 이름 외에도 묘사적이거나 표현적인 제목도 있다.
현대 라디프의 구성 요소는 고대, 중세 페르시아의 음악 체계와 명목상으로나 구조상으로 대응된다. 비록 라디프가 특별히 카자르(Qajar) 왕조(1785~1925) 시대의 산물이긴 하지만, 라디프의 주요 구성 요소인 다스트가의 역사는 사파비(Safavid) 왕조 중반(1501~1722)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때 고전 선법, 즉 마캄은 핵심 샤드(shadd, 사슬 구조)와 이후의 다스트가(체계)의 측면에서 점차 다선법 사이클로 변화하게 되었다. 실제로 라디프는 이전 세기 동안에 형성된 고대의 음악 체계를 재구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페르시아 음악의 일류 명인들이 어떻게 해석하고 연행하느냐에 따라 라디프는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라디프에는 성악과 기악의 2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기악의 경우 다양한 악기를 기술적으로 다루어 연주되는데, 연행 기법 상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동일한 구조적 기초를 가지고 있다. 라디프는 노래로 불리기도 하며, 페르시아 고전 음악의 전통 악기로 연행되기도 한다. 여기에 쓰이는 악기는 타르·세타르·산투르·카만체·네이가 있다. 우드(ud)·카눈(qānun)·바이올린 등의 다른 악기로도 연주된다.
라디프는 표준 레퍼토리로서 페르시아 고전 음악을 즉흥적으로 연주하고 작곡하는 음악적 연행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란의 전통 음악 연주는 주로 즉흥성을 지녔는데, 이는 연행자의 감흥과 관객의 반응에 따라 순간적으로 생겨난 창작 음악으로, 연행 중의 시공간적 상황에 따라 연행자가 영감을 받는 대로 연행한다. 페르시아 전통 음악의 모든 연행은 라디프의 음률 선법이라는 풍요로운 보고를 바탕으로 연행된다.
라디프는 단순히 음률 형태를 모아놓은 것 그 이상이며, 페르시아 음악 문화의 정수이다. 따라서 라디프는 이란 문화의 미학과 철학을 반영하는 페르시아 음악 전통의 고유한 원천이며, 아름다운 음악의 형태로 된 이란의 문화유산을 전승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라디프는 이란 음악 문화의 주된 상징이자 중심이며, 구전 전통을 통해 스승에게서 제자로 전승된다. 라디프를 익히려면 영성의 문을 열기 위하여 음악적인 면에서 인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란 전통 음악의 수련생은 초급·중급·고급 과정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 집중적인 구술 훈련을 통해 라디프를 암기한다. 이렇게 하려면 수련생은 10년가량 헌신해야 한다. 전통 레퍼토리를 체계적으로 배우는 것은 단지 선법과 선율을 보전하는 것만이 아니라 음악적 취향, 기법, 심지어 윤리까지도 발전시킬 수 있는 모범을 배우는 것이다. 라디프는 인간이 체계화한 소리의 양식이라는 측면에서, 이란인의 문화와 국민적 정체성을 반영한다.
라디프의 종사자는 몇몇 집단으로 분류된다. 첫째, 라디프의 주요 명인들은 레퍼토리와 그 아름다움을 전승하고 라디프를 해석하여 연행하는 자이다. 라디프를 해석하여 연행하는 명인의 수는 적은 편이며, 명인들은 세대를 걸쳐 구전으로 전승된 레퍼토리의 특정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둘째, 명인에게 배운 고급 수준의 전수생들은 초급과 중급 수준 학생들에게 라디프를 지도한다. 이들 학생이 초급과 중급 단계를 성공적으로 통과한 후에는 주요 명인의 감독 하에 고급 단계의 라디프를 완료할 수 있다. 셋째, 라디프를 배우는 학생이 있다. 물론 페르시아 음악을 배우는 학생이라면 누구든지 이란의 고전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일단 라디프를 배워야 한다. 라디프는 이란 음악의 실제 연행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라디프 연행자는 악기를 다루거나 노래를 부른다. 음악가를 이렇게 분류하는 것 외에도, 이란의 작곡가들은 대개 작곡을 위해서 라디프의 풍요로운 레퍼토리에 의존한다. 라디프의 기악 공연은 고유한 특성을 지닌 일정 수의 수제 악기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악기를 제작하는 장인은 반드시 라디프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이란 음악의 미학에 숙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들은 악기 제작에 대한 지식을 구전으로 전승하며, 이를 통해 이 음악적 전통이 지속되고 보전되도록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란의 음악 라디프 [Radif of Iranian music]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