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중국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133)

eorks 2019. 10. 14. 00:17

세계무형유산 /중국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Mazu belief and customs]
요약 : ‘마주(媽祖, 또는 마조)’는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바다의 여신으로, 중국의 연안 지역 전역에서 구술 전통, 종교 의식, 민속 풍습을 포함하는 신앙과 풍습이다. 마주는 10세기경 메이저우다오(湄洲岛, 미주도)에서 살면서 마을사람들을 돕는 데 평생을 헌신하고 난파한 배의 생존자들을 구조하려다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그녀를 기리는 뜻으로 마을 사람들이 사당을 지어 바치면서 마주를 여신으로 숭배하는 신앙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1년에 두 차례 마주를 경배하는 마주지디엔(媽祖祭典)이 열릴 때면, 메이저우다오의 주민·농부·어부들은 잠시 일손을 놓고, 마주 여신에게 바다 생물을 제물로 바치고, 마주상(像)에 경배를 드리고, 다양한 춤과 연희를 즐긴다. 전 세계에 있는 5,000여 개의 마주묘(媽祖廟)나 가정에서 일 년 내내 크고 작은 마주 경배 행사가 열리는데, 그 행사에는 헌화·초·분향·폭죽 그리고 ‘마주 등불’을 든 지역주민의 행진이 있다.

마주 신을 믿는 신자들은 마주 신에게 자녀의 잉태와 평화, 문제의 해결이나 일반적인 행복을 기원한다. 연안 지역에 사는 중국인들과 그 후손의 삶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마주 신앙은 가족의 조화와 사회의 화합을 가져오며, 이 지역사회의 사회적 정체성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문화적 결속력이다.

이 무형유산은 ‘니앙마(娘媽) 신앙과 풍습’, ‘니앙니앙(娘娘) 신앙과 풍습’, ‘천후(天后) 신앙과 풍습’, ‘천비(天妃) 신앙과 풍습’, ‘천상성모(天上聖母) 신앙과 풍습’ 이라고도 불린다.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br>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중심 지역 : 푸젠성(福建省) 푸톈시(莆田市)의 메이저우다오는 타이완 해협(Taiwan Strait) 서안의 중앙에 있는 메이저우(湄洲) 만에 위치한다(북위 25° 1´, 동경 118° 59´). 섬의 총넓이는14.35km2, 인구는 39,000명이다.

    영향권 : 푸젠성·저장성(浙江省)·장쑤성(江蘇省)·상하이(上海)·톈진(天津)·광둥성(廣東省)·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등을 포함하는 중국의 해안 지역과 마카오·홍콩·타이완·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남아프리카공화국·미국·프랑스·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등과 같이 중국 이민자가 많은 국가들에서 연행되기도 한다.

    본문 : 중국 정부 당국은 물론 일반 서민들에게서도 존경받고 있는 마주는 가장 영향력이 큰 바다 항해의 여신이다. ‘마주 신앙과 풍습’은 다양한 행사가 거행되는 장소인 마주묘와 관련 풍속, 마주지디엔(媽祖祭典), 민담(民譚) 등을 비롯하여 마주의 우아함, 선행 및 박애의 정신을 경배하고 칭송하는 민속 문화 전반을 이른다.

    본명이 린모니앙(林默娘)인 마주는 960년, 푸젠성 푸톈시의 메이저우다우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날씨를 예측하고, 약을 만들고, 환자들을 치료하고, 조난당한 어선의 생존자를 구조하는 등의 일을 하며 일생 동안 마을 사람들을 도왔고, 28세 때 난파선의 선원을 구하려다가 목숨을 잃었다. 마을 사람들은 마주를 위해서 사당을 세우고, 바다의 여신으로 경배하기 시작했다. 송(宋) 왕조 때(1123년), 조정에서는 마주에게 천후(天后)·천비(天妃)·천상성모(天上聖母)라는 칭호를 하사했고, 점차 마주 문화는 전통 신앙과 풍습이 되었다. 마주 신앙과 풍습은 주로 경배 의식, 풍습, 민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배 의식은 가족 제의와 사당 제의가 있다. 가족 제의의 경우, 마주의 상(像)을 가정이나 배 안의 제단에 모시거나 가족의 평화와 안전한 항해를 기원하며 바다를 위해 제물을 바친다. 사당에서 진행되는 일상적인 제의는 흔히 꽃을 헌화하고, 폭죽을 터뜨리며 함께 분향하고 초에 불을 붙인다. 마주지디엔이 거행될 때에는 보다 성대하고 장엄한 경배 의식이 진행된다.

    • 마주지디엔의 요소
    1. 사제 서열 : 메이저우다우의 마주묘의 조묘(‘조묘(祖廟)’는 마주를 모시는 사원 가운데 으뜸이라는 뜻) 소속 진행자가 제사를 주관하고, 다른 마주묘에서 파견된 대표자들은 제사 진행을 돕는다.
    2. 제구(祭具) : 촛대, 향로, 북과 종
    3. 의장(儀仗) : 칭다오치(清道旗, 황제가 행차할 때 앞에서 길을 트는 깃발), 루안지아(鑾駕, 임금이 타는 수레), 고대 무기
    4. 제물(祭物) : 밀가루와 표고버섯, 목이버섯 등으로 만든 수백여 종의 해양 생물과 자연 풍경 등의 모형
    5. 제사 의식 : 탄신(誕辰) 술, 장수 국수, 복숭아 모양의 생일 떡, 삼궤구고두(三跪九叩頭, 무릎을 꿇고 머리를 세 번 땅에 닿게 절을 하는 것을 세 번 반복하는 것)
    6. 제례악(祭禮樂) : 수오나(唢呐, 태평소와 비슷한 악기), 북, 거문고, 피리 등 총 28종의 중국 전통 악기를 이용해 지방 음악과 악곡을 연주한다.
    7. 제무(祭舞) : 깃털과 피리를 든 춤꾼들이 운보(雲步), 첩보(疊步) 등 중국의 전통극에서 볼 수 있는 춤을 춘다.

    • 사당 제의의 특징
    1. 마주지디엔은 마주의 탄신일인 음력 3월 23일과 승천일인 음력 9월 9일에 거행된다.
    2. 모든 가정이 등 축제에 동참하고 경배의 마음으로 마주 상에 참배한다.
    3. 새로운 마주 사당이 세워질 때마다 그 사당의 책임자는 마주 상을 두 손으로 받들어 메이저우다우의 마주묘 조묘에서 거행되는 분향식에 참여한다.
    4. 각지에 분포하는 마주묘의 책임자들은 정기적으로 메이저우다우의 마주묘 조묘를 방문해 분향해야 하는데, 이것은 자녀가 이따금 어머니 댁을 방문하는 민간 풍습을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마주상은 메이저우다우를 떠나 각자의 마주묘를 순회하며 신자들의 경배를 받는다. 사원에서는 축제 이벤트로 중국의 전통춤인 용춤(龍舞)·사자춤(獅舞)·우리앙산 춤(Wuliangsan dance) 공연이 열리고, 바이종지아(擺椶轎) 및 샤우다오지아(耍刀轎)와 같은 가마 행렬이 열린다.

    • 마주 풍습의 요소
    1. 각지의 마주묘에서 때때로 축하 행사나 전통극 공연을 할 때, 또는 한 가문이 하늘 또는 조상을 위해 제사를 올릴 때 마주교 신자들은 마주의 현신을 청하고자 메이저우의 마주묘 조묘를 찾는다.
    2. 전통 축제에서 어부와 농부, 지역민들은 밤이 되면 ‘마주 등’을 들고 행진한다.
    3. 메이저우다우의 여성들은 머리를 배 모양으로 틀어 올리고, 푸른색 상의와 검붉은 색 바지를 입어 마주에 대한 신앙심을 표현한다.
    4. 사람들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반달 모양의 나무 ‘성배’를 이용해서 마주에게 도움을 청한다.
    5. 자녀가 없는 기혼 여성들은 마주에게 잉태를 빌며 마주상에 꽃을 헌화한다.
    6. 신자들은 마주묘 조묘에서 작은 향주머니를 가져와 자녀에게 걸어주면서 안녕과 평화를 기원한다.
    7. 어부들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조화를 반영하기 위해서 마주의 탄신일 즈음에는 출항을 하지 않는다.

    • 마주 신앙과 관련된 민담 및 기록
    상선(商船)을 보호하고, 사절단을 축복하고, 외적을 물리치고, 널리 퍼진 역병을 뿌리 뽑았다는 이야기이다. 마주에 관한 기록물, 연대 기록, 석판의 명문, 벽화 등이 총 4,000여 점 이상 전해진다.

    마주 신앙과 풍습은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재창조되고 있다. 의식춤은 본래는 여성 춤꾼들만 추는 춤이었으나, 후대에 와서 남성과 여성 춤꾼 모두가 추는 춤으로 발전했다. 마주에 관한 설화를 보여 주기 위해 ‘마주 순회(媽祖巡迴)’ 행사에 마주상을 물에 띄우는 절차가 더해졌다. 중국인 해외 이민자들은 마주 사당을 세웠는데 이곳은 점자 신자들이 모여서 공무를 의논하는 자리가 되었다.

    마주 신앙과 풍습은 분향 의식, 가계, 민담 등의 형식을 통해서 이어지고 있다. 마주 신앙과 풍습은 어부와 해상 무역상인, 이민자들의 발자취를 따라 20여 개국과 각 지역에서 확산되었고,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5,000여 개 이상의 마주묘에서 경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주 사당은 마주 신앙을 믿는 지역에서는 공공 문화유산의 일부가 되었다. 사제·제물·제무·제례악 등은 각각 스승과 제자 관계를 통해서 전승되고 있다. 지금까지 36명의 연행자가 대표적인 전승자로 인정받았다. 메이저우 마주묘의 조묘와 중화마주문화교류협회(中华妈祖文化交流协会)가 본 유산을 유지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

    마주 신앙과 풍습은 그 신자들을 이어 주는 하나의 끈이 되었고, 문화적 정체성의 공공적인 표식이 되었으며, 가족의 조화, 사회적 화합, 박애 정신의 증진시키는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주(媽祖) 신앙과 풍습 [Mazu belief and customs]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