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몽골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Mongol Biyelgee, Mongolian traditional folk dance]요약 :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biyelgee)는 몽골의 호브드(Khovd) 주와 우브스(Uvs) 주에 거주하는 여러 부족의 춤꾼들이 연행한다. 비옐게는 몽골의 민족 무용의 원형으로 간주되며, 유목민의 생활 방식에서 유래하여 그 생활을 표현한 예술이다. 비옐게는 보통 게르(ger, 이동식 천막집) 안의 좁은 공간에서 연행하므로, 반쯤 앉거나 책상다리를 한 채 공연한다. 손·어깨·다리의 움직임으로 가사 노동, 풍습, 전통, 여러 부족 집단과 관련 있는 신앙의 특징 등 다양한 몽골의 생활방식을 표현한다.
비옐게의 춤꾼은 각 부족과 지역사회의 특징적인 색상 조합, 아름다운 무늬, 자수, 뜨개질, 퀼트, 가죽 공예 등이 어우러진 의상과 장신구, 그리고 금은보석으로 치장한다. 이들 춤은 잔치·축하행사·결혼식·단체노동 등과 같은 가정 및 부족 사회의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족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동시에 가족의 단결과 몽골의 다양한 부족 사이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킨다.
전통적으로 비옐게는 스승과 제자 사이에서, 또는 가정·가문·이웃 내에서 가정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 전승된다. 오늘날 비옐게의 전승자는 대다수가 노인들이며, 연행자의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여러 부족 집단을 대표하는 서로 다른 비옐게 형태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비옐게 고유의 다양성도 위기에 처해 있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국가 : 몽골(Mongoli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몽골의 민속춤 비옐게의 연행자는 보통 호브드 주(몽골 행정구역은 애마그(aimag)라고 함)에 속하는 불간(Bulgan)·알타이(Altai)·문하이르한(Munhkhairkhan)·두트(Duut) 등의 솜(soum, 마을보다 큰 행정 구역), 우브스 주에 속하는 말친(Malchin)·나란불라그(Naranbulag)·타리알란(Tarialan) 등의 솜을 비롯한 몽골 서부 지역의 외딴 곳에 살고 있으며, 그들은 비옐게를 가르치고 전승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하지만 비옐게 전수자와 연행자 분포는 위의 지역에 거주하는 60세~80세의 20명 남짓한 원주민으로 한정되어 있다.
본문 : 몽골의 전통적인 민속춤 비옐게는 유목민이 거주하는 게르의 좁은 공간이나 이웃(saakhalt ail) 사이에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희귀하고 값진 문화유산을 보존·유지하고 있는 부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비옐게는 몽골의 전통적인 공연 예술 가운데 가장 뛰어난 형식이며, 몽골의 민족 무용의 뿌리이자 원천이며, 창조성의 근원, 그리고 문화유산으로 간주된다. 달리 말해 비옐게는 춤의 요소를 통해 광범위한 생활방식을 표현하고, 가사노동·풍습·전통 뿐만 아니라, 여러 부족 집단의 신앙적인 특징들과 연결된 독특한 공연 예술이다.
비옐게의 춤동작은 보통 게르 안의 좁은 공간에 한정되며, 따라서 반쯤 앉거나 책상다리를 하고 앉은 채 주먹과 손을 펴서 흔들고 가슴과 어깨를 꼿꼿하게 재빨리 으쓱하거나 흔드는가 하면 두 다리를 교차시키고 발걸음을 옮기며 유연한 몸놀림을 곁들인다. 그 밖에도 위와 같은 동작과 조합해 등이나 어깨를 땅에 대기 위해 앉아서 몸을 앞뒤로 구부리는 동작도 있다.
비옐게의 춤꾼들은 민족 고유의 의상을 입고, 모린후르(морин хуур, morin khuur, 마두금)·이켈쿠르(ikel khuur)·토브슈르(tovshuur)·추르(tsuur) 등의 반주에 맞추어 춤을 추면서 유목민의 내밀한 사상과 정신을 표현한다.
비옐게의 특징과 동작들은 몽골의 현대 무용에 계승되고 반영되었으며, 이것은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춤 가운데서도 특이하고 두드러진다. 비옐게는 유목민의 생활방식에서 유래되어 그 생활을 구현하는 고유하고 뛰어난 예술 표현 방식으로, 춤의 요소를 통해 생활양식, 관습, 종교적 특징을 표현한다. 따라서 몽골의 유목민, 특히 서부 몽골의 부족들은 자신들의 문화유산이자 고유한 예술의 성과인 비옐게를 자랑스럽게 여긴다. 오늘날 이 소중한 문화유산의 전수자는 그 수가 점점 줄고 있으나, 이 춤의 형식을 몽골 안에 전파시키고 전 세계의 인정을 받으며 다음 세대로 전승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비옐게는 스승과 제자 사이의 훈련이나 가정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 전승된다. 다시 말해 그것은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나이 많은 사람으로부터 젊은 사람에게 가족·가문·이웃 내에서 전승된다. 사회가 점차 변화함에 따라 비옐게도 끊임없이 재창조되고 향상되어 왔다. 이러한 사실은 비옐게의 동작 요소, 부족마다 다른 의상 디자인과 장식 등에서 볼 수 있다.
비옐게는 ‘공연 예술’에 속하며, 그에 덧붙여 어떤 점에서는 ‘사회적 관습, 의식, 축제’에 속할 수도 있다. 몽골족들은 보통 결혼식, 나담(naadam) 축제, 가족 및 노동과 관계있는 축하 행사나 부족 사회의 행복과 여흥을 목적으로 하는 다른 사교적 행사 때 비옐게를 춘다. 비옐게는 다양한 행사의 배경 아래 공연되며 몽골의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동이나 사교적 축제, 잔치, 축하 행사 동안 몽골의 부족 집단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정체성을 표현하며, 단결하게 된다. 이런 행사는 국민들 사이의 상호 이해를 강화하고 국민으로서 단결을 북돋우기 때문이다. 예컨대 결혼 피로연 때 몽골 사람들은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것이 전통이며, 그것을 통해 모두 흥겨워하면서 화합하게 된다.
또한 몽골 사람들은 비옐게를 통해 미적·신체적 기능을 기른다. 따라서 몽골 사람들에게 비옐게의 의미와 기능은 광범위하고 다양하며 또한 중요하다. 비옐게는 전통 공예의 요소를 보여 주는 특별한 의상과 장신구를 착용하고 공연하는데, 색상의 조합, 아름다운 무늬, 자수의 양식, 뜨개질과 퀼팅 기법, 가죽 및 모피의 가공 기술, 금은보석 등은 각 부족 집단과 부족 사회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 모든 것에서 볼 수 있듯 비옐게는 몽골족의 삶과 생활방식과 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비옐게는 몽골족의 전통적인 관습·정신·언어와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지역사회의 복리·후생을 지원하고 장려하는 데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요인이 된다. 비옐게의 주된 목표는 인간관계의 이상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따라서 세계의 보편적인 인권 개념, 인간성의 상호 존중, 지속가능한 발전의 목표 등에 일관성을 가지고 부응하고 있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존속 가능성 평가 :
비옐게는 한편으로 그 특유한 형식이 다른 것과 혼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일부 요소가 잊어지면서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 몽골 정부·민간단체·시민사회가 비옐게를 지키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조치를 시급히 취하지 않는다면, 비옐게는 곧 사라지게 될 것이다. 주로 많은 사람들이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이 문화유산의 전수자가 매우 늙고 젊은이들은 비옐게를 배우는 데 관심이 없는 것과 관계가 있는데, 이것은 결국 전승 체계의 균형을 마비시키는 셈이 되었다.
하지만 비옐게는 몇몇 자발적인 예술가들의 뛰어난 기술·재능·노력의 결과로 흔적 없이 사라지거나 잊어지지 않았다. 특히 몽골 서부에 거주하는 몇몇 집단은 이 유산을 보존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따라서 생존과 발전가능성, 그리고 자원이 있다고 간주되며, 정부 기관과 민간단체가 이 점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다. 예컨대 몽골은 2003년에 채택된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을 승인하고 가입하는 한편, 몽골의 민요 ‘장가(長歌, long song)’와 ‘모린후르(말머리 모양이 장식된 현악기)’ 등이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그 결과로 유산의 전수자들이 그들의 특정 기술이나 재능을 지키고 전승하려는 열성과 노력을 장려하게 되었다.
2004년 몽골에서는 문화유산 보호법이 개정되어 무형문화유산과 그 전수자들을 보호·유지·장려하는 새로운 조항이 생겼다. 2008년 몽골 정부는 비옐게를 보호하려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통과시켰다. 게다가 몽골의 ‘비 비옐레그(Bii Biyeleg)’ 협회가 설립되어 비옐게의 전수자를 격려하고 그들과 이 문화유산의 형식을 일반 대중에게 소개하며 전수자들에게 노력과 열성을 권장하기 위해 ‘비옐게 경연 대회’를 개최했다. 또한 학자들과 연구자들은 이 문화유산의 형식과 그 전수자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더 많이 조사하고 기록하며, 비옐게의 전수자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배우려는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재정적인 후원을 하며, 관련된 교과서와 교본을 출판하고,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고 홍보 활동을 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일이 시급하며, 비옐게를 지키고 보호하고 전수자를 지체 없이 결정하는 체계적 긴급조치도 강구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편들은 이 문화유산이 생존할 가능성을 되살리고 지켜줄 것이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
지난 세기 동안 몽골의 국가 정책은 국가의 정체성과 전통 문화와 관련된 것을 무엇이나 억압했던 ‘공산주의’ 때문에 전통 문화와 예술, 특히 민속 공연 예술에 관한 측면에서는 벗어나 있었다. 결국 이것은 비옐게의 존재와 존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비옐게의 전수자와 연행자 수도 감소했으며, 그 핵심적인 특징과 공연의 우수성도 위태로워졌다.
게다가 격심한 세계화의 추세, 그리고 세계의 대중문화 및 예술이 양식과 표준, 경향에서 단일화 되어가는 동화 현상 때문에 전통 문화는 힘을 잃는 것처럼 보였으며, 전통 문화의 일부 형식이나 종류는 사라질 위험에 직면했다. 비옐게도 바로 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민속 예술과 문화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그들이 자연 환경, 전통 산업, 사회관계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존재하고 발전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도시화 경향이 가속화되고 국내의 인구 이동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몽골의 전 인구 가운데 절반가량이 수도 울란바토르에 몰려들었다. 이렇게 되자 젊은 세대는 무형문화유산을 원래의 상태와 자연환경, 사회적 배경 속에서 전승하고 유지할 기회를 잃어버릴 수밖에 없었다.
비옐게에 관한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그것이 몽골의 일부 외딴 곳에만 남아 있다는 것이다. 비옐게의 전수자는 잠재적인 학습자나 배우고 싶어 하는 젊은이들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여러 문제와 더불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오늘날 몽골 서쪽 끝에 일부 작은 집단만이 비옐게 연행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다음 세대에 전수자가 될 잠재력을 가진 젊은이는 곧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
비옐게의 위기에 처한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1. 비옐게는 몽골 국가와 국민을 전 세계에 알리고 그 자체의 우수성과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2. 무형문화유산의 등재는 전수자가 자신들의 역할을 소중하고 여기고, 자신들의 빼어난 기술과 재능을 강화하며, 이 유산을 배우려는 사람들을 가르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장려하는 일이다.
3. 국제사회의 대표들과 몽골 정부는 비옐게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그를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무형문화유산의 등재와 함께 비옐게를 지키고 유지하는 일은 몇몇 전수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중앙 정부, 국제 사회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다루는 사업이 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옐게, 몽골의 전통 민속춤 [Mongol Biyelgee, Mongolian traditional folk dance]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