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우즈베키스탄 /카타 아슐라
[Katta Ashula]
요약 : ‘큰 노래’라는 뜻의 ‘카타 아슐라(Katta Ashula)’는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Ferghana) 계곡에 사는 다양한 민족의 정체성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전통 노래의 한 유형이다. 페르가나 계곡은 타지크(Tajik)족·위구르(Uyghur)족·투르크(Turk)족의 고향이며,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카자흐스탄 일부 지역이기도 하다.
카타 아슐라는 공연 예술, 노래, 악기 연주, 동양의 시, 신성한 의식을 결합한 독창적인 장르이다. 카타 아슐라는 사랑에서부터 우주와 자연 등의 철학과 신학적 개념에 이르는 폭넓은 주제를 다루지만 연행자가 즉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음악 장르이다. 카타 아슐라는 세대를 거쳐 스승에게서 제자로 고된 수련기간을 거쳐 구전 전승한다. 카타아슐라는 최소 2명에서 최대 5명의 가수가 연행한다.
오늘날 카타 아슐라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소통을 증진하며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카타 아슐라를 보전하기 위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축제와 대회, 다양한 활동 등을 개최했고, 지방자치단체는 젊은 층에게 이 전통을 전승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제작·학회 조직·출판 등의 연구 조사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카타 아슐라는 다음과 같은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파트니스 아슐라(Patnis ashula, 쟁반을 들고 부르는 노래)·리코비 아슐라(likobi ashula, 접시를 들고 부르는 노래)·아슐라이 칼론(ashulai kalon, 웅장한 노래)·카타 얄라(katta yalla, 큰 노래)·요브보이 아슐라(yovvoyi ashula, 거친 노래)·요브보이 마콤(yovvoyi maqom, 거친 마콤)·하코니 아슐라(haqqoniy ashula, 진정한 노래)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국가 :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계곡은 오늘날 페르가나, 안디잔(Andijan)·나망간(Namangan)·타슈켄트(Tashkent)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카타 아슐라는 페르가나 계곡에 정착한 우즈베크족·타지크족·위구르족·투르크족 등이 연행하는 음악 전통다. 이 연행은 키르기스스탄 오슈(Osh) 지역·타지키스탄 레니나바트(Leninabad)·카자흐스탄 침켄트(Shimkent) 그리고 잠불(Djambul) 지역에도 남아 있다.
본문 : 카타 아슐라는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계곡 지역의 노래 장르로, 2명 또는 그 이상의 민요 가수가 반주 없이 번갈아 노래하는 음악이다. 이 음악에 대한 연구자와 가수들은 이 노래 장르의 다양한 특징에 대해 언급했다. V. 벨라예프와(V. Belyaev), I. 아크바로프(I. Akbarov) 등은 카타 아슐라 노래의 형태적 우월을 강조하는데, 이는 ‘카타 아슐라’의 뜻이 ‘위대한 노래’인 것과 관련 있다.
V. 유스펜스키(V. Uspenskiy) 등의 연구자는 카타 아슐라의 시적 가사와 가사가 지닌 성격, 철학적 표현과 고유한 내용의 중요성에 대해 지적했다. 또 다른 연구자는 ‘카타 아슐라’의 기원과 관련하여 코칸트(Kokand)와 페르가나 지역의 특별한 연행 방식에 대해 언급하며, 2~5명의 가수가 무반주로 노래하는 특징과 그 의미에 대해 이야기했다. 나망간·안디잔·타슈켄트의 카타 아슐라 가수들은 노래 가사 속의 단어가 지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넓은 음역과 음악적 감수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힘찬 음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후잔트(Khujand)의 가수들은 카타 아슐라에는 종교적·철학적 의미가 담겨 있어서, 음률의 전개에서 카타 아위즈(katta awj, 높은 음역에서 노래하는 것)라 불리는 ‘최고의 절정’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을 살려 노래하려면 힘차고 높은 음성으로 노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9세기~20세기의 몇몇 문헌에는 노래 장르 중에서 카타 아슐라와 아주 흡사하거나 카타 아슐라의 원형으로 보이는 음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9세기 빈의 음악가인 아우구스트 에위고른(August Eygorn)은, 코칸트와 안디잔의 노래로 후음을 사용하여 길게 끄는 방식으로 연행하는 소위 ‘이중창- 대화(duet-dialogues)’와 관련성에 대해 언급했다. 저명한 동양학자인 A. 세메노프(А. Semenov)는 유사한 장르로 사모이(samoi) 노래와 호나코이(khonaqoi, domical songs)를 제시하였는데, 가수들이 손에 쟁반을 들고 웅변조의 방식으로 노래 부른다는 점이 유사하다. 벨라예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음악』이라는 저서에서 가수가 ‘반주 없이 독창으로’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연행하는 노래라고 언급하였다. 카타 아슐라와 가장 유사한 노래 형태는 여성에게 바치는 노래인 ‘아욜구(ayolgu)’로, 15세기 알리셰르 나보이(Alisher Navoi, 1441~1501)의 작품에 처음 등장하며, ‘나크쉬’(naqsh, 장식) 노래는 창자의 즉흥 창작으로 형성된 음악이다.
• 고대의 출처에서 확인된 카타 아슐라의 예술적 특징
-악기 반주 없이 노래하는 것
-낭송
-즉흥시
-높은 목소리BR>
이 모든 특성은 기능적인 면과 역사적인 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주제별 관점에서 볼 때 카타 아슐라의 경연과 예술적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정서적인 면에서는 대부분 서정시에 속한다. 일반적인 현대의 노래 형태는 애정을 주제로 한 서정시, 교훈시, 종교시, 현대의 실상을 다룬 시로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의 시적 서사는 우즈베키스탄의 고전 시인 알리셰르 나보이·마쉬랍(Mashrab)·아미리(Amiri)·나시미(Nasimi)·하지니(Hazini)·무키미(Muqimiy)·푸르카트(Furqat)·자브키(Zavqiy)의 시에 사용되었다. 또한 현대 시인 츄스티(Chusti)·하비비(Habibi)·차르히(Charhi)·미스킨(Miskin)·사비르(Sabir)·압둘라(Abdulla)·아크말 폴라트(Akmal Polat)·우트키르 라시드(Utkir Rashid)·에르킨 바히도프(Erkin Vahidov) 등의 시와 아루즈(aruz, 아랍의 시적 리듬) 장르로 쓴 시, 민속적인 어구로 쓴 시에도 쓰인다.
카타 아슐라는 세대를 걸쳐 보전되고 구전으로 전승된다. 음악, 민속 시, 전통 노래 등 모든 형태의 무형 문화유산은 카타 아슐라와 관련 있다.
• 카타 아슐라의 원형적 특징
- 카타 아슐라는 페르가나 계곡에서 연행되고 있는데, 오늘날 이 지역은 우즈베키스탄의 영토일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의 영토이기도 하다.
- 독창성 있는 연행을 2명에서 5명까지의 코피즈(khofiz)라 불리는 가수가 표현하고, 이들은 대개 관중이 있는 개방된 장소에서 악기의 반주 없이 힘차고 높은 목소리로 노래한다.
- 즉흥적 연행 방식으로, 박자가 있는 자유로운 노래이다.
- 낭송하듯이 부르는 형태의 음률로 이루어져 있다.
- 음역이 넓고 노래 가운데 ‘최고의 절정’부분이 있어서, 매우 힘차고 높은 음성으로 노래할 수 있어야 한다.
- 표현력 있는 가창과 뚜렷하게 표현된 절정은 감동을 준다.
- 가사와 음악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청중에게 가사의 각 단어가 지닌 의미가 전달되어야 한다.
- 연행의 방법이 다양하고, 목적이 있다.
오늘날 카타 아슐라 노래는 우즈베키스탄 국민의 애국심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발전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카타 아슐라 [Katta Ashula]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