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과 격국(7)
(2) 比劫이 많은 경우 이번에는 비겁이 많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여기에서 한가지 유의를 해야 할 것은 印星과 比劫이 반반일 경우에는 어떻게 하느냐는 생각이 드실 벗님도 계시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해봤는데, 이것은 고민을 하실 필요가 없다. 인성이든 비겁이든 치우치게 많은 경우를 생각해서 분류를 해 놓은 것일 뿐이지, 이 분류를 잘못 한다고 해서 용신을 찾는데 무슨 큰 일이 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전혀 신경을 쓰지 말고 반반이 있을 경우에는 食財官 중에서 적절하게 해답을 찾아가면 된다. 그런데 이 적절하게라고 하는 말에 대해서 얼른 납득이 가시지 않는 벗님은 그냥 비겁이 왕한 경우라고 하고 보시면 된다는 말씀을 추가로 드린다. 비겁은 결국 인성의 성분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에서 말씀드린 다섯 가지의 용신격 중에서 印重用財格이나 棄印就財格, 그리고 從强格은 오직 인성이 많은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이 항목에서는 필요가 없지만, 食神生財格이나 財滋弱殺格은 비겁이 많은 상황에서도 그대로 대입이 된다는 점을 잘 기억해 주시기 바란다. 여기에서 설명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할 것인가 고민을 하시지 말라는 말씀이다. 오히려 식신생재격의 경우에는 비겁이 많아서 신강한 경우에 더 제 맛이 난다고 봐야 할 것이다. 또 앞으로 해당항목이 나오면 추가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33C6F405124E4E41D)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