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과 격국(8)
[6] 正官格 (또는 偏官格) (類型-財官格, 財滋弱殺格) | 1) 상황 설명 比肩이나 劫財가 많으면 身旺하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비겁이 많은 경우에는 그 비겁을 극제(剋制)하는 성분인 官殺이 용신으로 등장을 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반적인 공식이다. 원래 용신이 사회성이라고 한다면 용신을 써먹을 곳도 사회라는 점에 착안을 할 필요가 있다. 사실 용신은 개인용으로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로지 사회적으로 일이 어떻게 되겠느냐는 점에 대해서 생각할 적에 중요해지는 용신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까 사회의 법칙인 극하는 관계로 짜여진 용신은 힘이 있다고 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 사회의 적응성도 좋다고 말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비겁이 많을 경우에는 가장 먼저 나를 극하는 오행인 官殺의 형태가 어떤가를 살피게 되어있는 것이다. 이것이 눈 돌아가는 방향이라고 생각을 해도 좋다. 일단 사주에서 가장 강한 글자를 극하게 되는 것이 용신으로 등장을 할 확율이 가낭 높은 것이다. 이 원리는 病藥用神論 에서도 그대로 대입이 될 수 있는 이론이기도하다. 이것만 잘 이해를 해도 상당한 도움을 받을 수가 있다고 본다.
이렇게 생긴 사주가 있다면 우선 3금3토로써 인성이나 비겁이 함께 왕하다고 볼 수가 있겠다. 다만 月支를 잡고 있는 글자가 비견이기 때문에 금이 더 강한 것으로 보면 되겠고, 또 서로 반반이라고 한다면 土生金이 되는 관계를 생각해서 결국 에너지는 금 쪽으로 모인다는 생각을 할 수가 있겠다고 본다. 결국 가장 강한 것은 금이다. 그래서 금기운을 극하는 불이 있는가를 살피게 되고, 결국 時干에 있는 正官을 용신으로 삼으면 되겠다는 결론을 내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다시 관점을 바꿔서 생각 해 볼 수도 있겠다는 반론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즉 金을 불로써 극할 수도 있지만, 물로써 설할 수도 있는데 구태여 불로써 극해야 하는 이유가 뭐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상당한 공부가 되신 벗님이라고 간주를 해야 하겠다. 이 경우에는 과연 물이냐 불이냐를 놓고 한판 승부를 해봐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물을 용신으로 삼으려고 생각을 해봤더니 그 물은 戊土가 가로막고 있는 형상이 들어온다. 그렇다면 일단 용신으로 삼기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봐야 하겠다. 반면에 丁火는 바로 옆에 붙어 있음으로 해서 매우 유용하게 쓸 수가 있다는 점이 자랑이다. 다만 어느 글자를 사용하던지 중요한 것은 목이다. 목이 힘을 내면 불이 살아나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목이 전혀 힘을 못쓰고 있는 점이 맘에 걸린다. 멀리 있는 임수는 버리고 가까이에 있는 정화를 용신으로 삼고서 正官格이 성립되었는데, 유감스럽게도, 그 정관은 재성의 도움이 없다. 그래서 일생 명예는 그만하면 되었는데, 재물이 따르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정관은 당연히 財官格의 형상을 띠어야 하는데, 유감스럽게도 그냥 正官格이 되어서는 외로운 관이 도움을 못 받고 있는 형상이어서 고독하다고 한다. 이런 점을 살펴본다면 재관격과 정관격의 차이점이 얼마나 뚜렷한 것인지를 느끼고도 남는다. 그럼 재관격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이 사주는 戌月의 戊土가 4토1화의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왕성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토가 많다는 결론을 내게 되므로 일단 日支의 편관을 용신으로 삼게 되고, 그래서 偏官格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편관은 토가 너무 많은 상황이어서 자신도 돌볼 궁리를 해야 하는데, 마침 바로 옆에서 子水가 도와주고 있는 형상이다. 이것을 놓고서 財滋弱殺格이라고 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재성이 약한 살을 도와주는 형상이 되는 것이다. 이 사주를 위의 正官格과 비교를 해볼 적에, 과연 어느 사주의 용신이 有力할 것인가를 살펴보도록 하자. 보나마나 일단 용신이 생조를 받고 있는 이 사주의 형세가 훨씬 편안하다고 하겠다. 혹 앞의 사주에서는 정화가 천간에 透出되어 있기 때문에 더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말을 할 수도 있겠다. 그러한 점도 있기는 하지만, 결국 용신은 힘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그냥 이름만 보기 좋은 정관격 보다는 재자약살격이 훨씬 유리하다는 것으로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이 이해가 된다면 훨씬 발전을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4]번의 財滋弱殺格에 대해서도 참고를 하시기 바란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