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중국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요약 : 중국 동북 지역의 지린성(吉林省)과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들은, 공동체의 축제 기간에 밭이나 마을에 모여 대지의 신에게 전통적 제사를 지내면서 자연에 경의를 표하고 행운과 풍작을 기원한다.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는 이때 시작된다. 농악무(農樂舞)는 공동체의 연장자들이 젊은 세대에 전승하는 대중적인 풍습이다. 농악 연주자들은 태평소와 징, 여러 종류의 북을 연주하고, 맨 얼굴이거나 혹은 탈을 쓴 춤꾼들은 음악에 맞추어 익살맞게 움직이며 춤을 춘다. 농악무는 농사 동작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밭이랑 밟기’와 같은 몸짓을 통해 농사 동작을 흉내 낸다.
농경에서 기원하여 도시와 농촌을 어우른 각계각층의 조선족에게 알려진 농악무는, 19세기 말 중국에 유입된 이래 크게 변화하였다. 예를 들어, 농악대의 구성은 확장되어 관악기가 추가되었고, 춤꾼의 의상은 중국의 다른 민족의 옷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농악무는 노동과 지혜가 축적되어 만들어졌으며, 중국 조선족의 문화유산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중요하게 자리하고 있다.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농악무는 중국의 지린성(吉林省), 랴오닝성(遼寧省), 헤이룽장성(黑龙江省)의 조선족 거주 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지린성의 옌벤(延邊) 조선족 자치주(북위 40.13°-45.25°. 동경 124.37°-131.04°)가 주요 지역 기반이다. 인접한 북한과 한국에도 유사한 문화적 행위가 있다.
본문 :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는 계절 행사나 축제에서 춤추는 공연 예술이다(무형 유산 보호 협약 제 2조 2,3항에 따름). 농악무는 조선족의 가장 대표적인 예술 행위인 동시에, 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예술 형태이다. 농악대의 우두머리는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농업은 천하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큰 근본)’이라고 쓰인 깃발을 흔든다. 태평소, 징, 꽹과리, 장고, 소고, 북 등의 악기를 든 농악대가 춤을 추며 연주한다. 맨 얼굴 또는 탈을 쓴 익살맞은 광대들이 농악대를 따른다. 농악무는 대개 마을이나 밭에서 공연한다.
농악무는 농업 고사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농악무를 시작하기 전에, 지신밟기와 제사를 지내 자연에 대한 존경을 표현하고 행복과 행운을 빈다. 농악무는 농업 활동에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어깨춤이나 밭고랑 밟기는 농사의 육체노동을 흉내 낸 것이다.
농악무는 조선족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사람들은 대부분 가족의 영향과 이웃과의 교류를 통해 농악무의 기본 기술을 익힌다. 그러나 뛰어난 춤 기술과 악기 연주를 통달하기 위해 농악 연주자는 공식적으로 연장자를 스승으로 삼아야 한다.
농악무 예술은 구전을 통해 전승되었다. 기술이 뛰어난 농악 연주자는 공동체에서 큰 존경을 받으며, 흔치 않은 명망을 누린다. 이는 세대를 걸쳐 이 예술을 전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까지 옌벤 조선족 자치주의 왕칭(汪清)현, 안투(安圖)현, 허룽(和龍)시, 룽징(龍井)시, 혼춘(珲春)시, 투먼(圖們)시, 옌지(延吉)시, 왕칭현 농악무 보호 개발 협회, 중국 조선족 민속 보호 개발 협회, 그리고 징 밍춘(Jin Mingchun)과 같은 52명의 전수자가 농악무의 보호와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부는 물론 도시, 사업체, 학교에 속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농악무를 공연한다.
한반도에서 시작된 농악무는 19세기 말 조선족 이주민이 중국에 도입하였다. 농악무는 고위도 지역의 농업 생산 방식과 다민족 집단의 관습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환경에서 발전되고 개선되었다.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이전에는 검은 색 천으로 만들던 상모는 붉은 비단 천으로 만들게 되었다.
무리지어 흔드는 상모의 띠는 기존의 한 겹에서 두 겹으로 변하였다. 상모는 원래 두 종류였으나, 현재는 짧은 것, 중간 것, 긴 것의 세 가지로 나뉜다. 긴 상모의 색 띠는 길이가 계속 늘어 최대 28m에 이르게 되었다. ‘상모돌리기’는 ‘평평하게 돌리기’와 ‘좌에서 우로 돌리기’에서, ‘수직으로 돌리기’와 ‘이슬 흔들기’로 발달하였다. 공연자들은 또한 ‘원을 건너는 기술’과 ‘삼색 띠 돌리기 기술’을 만들어냈다. 음악 면에서는, 원래의 4가지 악기 구성이 확대되어 관악기와 현악기도 포함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남성들만 활동하던 것이 지금은 여성도 악기를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뚜렷한 중국적 특색을 지닌 조선족 농악무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농악무는 오랜 시간에 걸친 조선족의 열정적 노력과 지혜의 산물이다. 조선족 공동체는 농악무를 지속하는 것이 그들의 역사적 책무라고 인식한다. 오늘날 크고 작은 다양한 농악무 집단이 조선족 마을 전역에 존재한다. 옌벤 자치주의 대부분의 거주 구역과 학교에는 수많은 농악무 공연단이 조직되어 있다. 농악무 공연단은 전통적으로 30명으로 이루어지며, 민속 축제에서 공연한다. 한 장소에서 동시에 여러 공연단을 유치하기도 한다. 농악, 농악무 기술과 연주자들은 『중국 민속 무용 전집』에 수록되어 있다. 저명한 학자인 박영광은 농악무를 『한국 무용사』에 수록하고, 한국 역사와 민족의 특성을 연구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農樂舞) [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