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터키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171)

eorks 2019. 11. 20. 00:54

세계무형유산 /터키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Âşıklık (minstrelsy) tradition]
요약 : 터키의 아시으클르크(Âşıklık, 음유시인의 음송 예술) 전통은 아시으크(âşık)라 불리는 방랑 음유시인에 의해 전해져 내려왔다. 아시으크는 결혼식과 커피하우스, 다양한 공식 축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연예술가로, 전통복장을 입고 사즈(saz)라는 현악기를 연주한다. 아시으크는 꿈에서 계시를 통해 소명을 받은 후 오랜 수습 기간을 거쳐 아시으클르크에서 중요한 현악기·타악기의 연주, 노래·이야기·재담 등의 기예를 연마한다.

아시으크가 읊는 사랑의 시는 각운이 있는 음수율 형태로 쓰여 있으며, 사행시의 끝에 자신의 예명(藝名)인 마흘라스(Mâhlas)를 소개하는 것으로 끝맺는다. 아시으크의 즉흥 공연에는 수수께끼·전래 설화, 그리고 다른 아시으크와의 재담 겨루기, 알파벳 자음 ‘B·P·M·V·F’을 이용하지 않고 입에 바늘을 놓은 채 시를 읊는 재주 등이 포함된다.

아시으크는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문화적 가치와 사상을 전파하며, 때로는 시사와 관련된 시와 사회정치적 풍자를 통하여 사회 담론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결혼식에서 교육자 겸 인도자로 인식되는 아시으크의 전통은 터키 문학과 국가 전역의 공동체의 일상생활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공동체의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준다.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국가 : 터키(Turkey)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아시으클르크는 아시으크라 불리는 예술가에 의해 연행되어 온 전통이다. 이 전통은 특별한 전통 형태의 시를 즉흥적으로 음송하거나 또는 악기와 함께 음송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연주하는 현악기는 발라마(bağlama, 터키의 민속악기, 사즈보다 약간 작다)·최위르(çöğür)·디반 사즈(divan sazı, 속이 빈 타원형의 반구체 목재 바디에 가늘고 긴 목이 달린 현악기, 사즈의 종류는 지역이나 크기에 따라 다르다)·케멘체(kemençe, 금속으로 된 3현 악기를 말총 활로 연주한다) 등의 현악기와 테프(tef, 탬버린 종류)·다불(davul, 드럼 종류) 등의 타악기의 연주와 함께 연행되기도 한다. 더불어 즉흥 재담 경연대회와 다양한 전통적 사교 모임에서 민담을 낭송하는 것 등을 말한다.

    이 전통은 고대 중앙아시아의 ‘오잔(ozan, 음유시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중앙아시아에서 발칸에 이르는 지역의 다양한 민족과 공동체는 오잔 전통의 각기 다른 버전을 지속해왔다. 아제르바이잔·조지아·러시아·시리아·이란 등의 몇몇 지역에서도 다른 버전이 보전되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아시으클르크 전통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에 걸쳐 연행되었으며, 이 전통은 지난 세월 동안 지역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일례로 아르메니아의 역사에는 이러한 전통을 지키는 ‘아쉬크(aşug)’라 불리는 예술가가 등장한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각 공동체와 사회의 지역 언어와 문화에 영향을 받은 오잔 전통은 각 나라별로 다양한 버전을 형성해왔던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음유시인 예술가들을 ‘아시으크’라 부르지만, 실제 이 전통을 공유했던 무대에서 문화를 교류하며 예술을 창조했던 공연 시설은 대부분 사라져 가고 있다. 따라서 아시으클르크 전통이 지역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은 앞으로 수십 년간 하나의 프로젝트로 다루어질 것이다. 이 전통은 터키 안에서도 지역에 따라, 악기에 따라, 각 지역의 믿음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터키 전역에 널리 퍼져 있지만, 카르스(Kars)·에르주룸(Erzurum)·아르트빈(Artvin)·시바스(Sivas)·카이세리(Kayseri)·가지안테프(Gaziantep)·아르다한(Ardahan)·아다나(Adana)·초룸(Çorum)·카스타모누(Kastamonu)·토카트(Tokat)·카흐라만마라슈(Kahramanmaraş) 등의 지역에서는 특히 이 음송 전통이 잘 보전되면서 아시으클르크(음유시인) 전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문 :
    아시으클르크 전통은 구전 전통, 음악, 서사 구연이 모두 들어 있는 다면적 예술이다. 이 예술의 연행자는 아시으크 명인의 지도 아래 수년 동안 수습 생활을 한다. 아시으크는 터키 문학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운문과 산문 형태의 문학 작품을 생산하게 했고, 터키 문학에서 독특한 문체를 만들어 냄으로써 ‘아시으크 문체(Âşık Style)’ 전통으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이 전통에는 사즈 연주, 아시으크 선율, 즉흥 연기, 재담, 사랑을 주제로 한 서사 구연을 포괄한다.

    아시으클르크 전통의 원천과 형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있으나, 이 전통은 이슬람 이전 혹은 초기 이슬람 시기에 터키의 서사 구연자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정된다. 서사 구연자는 ‘오잔’ 또는 ‘박스(Baksı)’라 불렸다. 아시으클르크 전통은 16세기에 정치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여건 변화의 결과로 나타났다.

    유명한 아시으클르크 전통의 대표적 인물은 카라자올란(Karacaoğlan)·쾨롤루(Köroğlu)·카자크 아브달(Kazak Abdal)·피르 술탄 아브달(Pir Sultan Abdal)·에르지슐리 엠라흐(Ercişli Emrah)·게브헤리(Gevheri)·아시으크 외메르(Âşık Ömer)·레브니(Levni)·쿨 힘메트(Kul Himmet)·다달롤루(Dadaloğlu)·데르틀리(Dertli)·루흐사티(Ruhsati)·바이부르틀루 지흐니(Bayburtlu Zihni)·아시으크 셴리크(Âşık Şenlik)·아시으크 쉼마니(Âşık Sümmani)·아시으크 마흐수니 셰리프(Âşık Mahsunî Şerif)·아시으크 베이셀(Âşık Veysel)·다부트 술라리(Davut Sulari)·아시으크 무라트 초바놀루 베 아시으크 야샤르 레이하니(Âşık Murat Çobanoğlu ve Âşık Yaşar Reyhanî) 등이다.

    아시으클르크 전통은 구연, 시청각,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터키 문화의 다른 분야들과 마찬가지로 훈련과 교육을 통하여 스승이 제자에게 전수한다. 이러한 전수는 오로지 구두(口頭)로 이루어진다. 또한 아시으클르크 전통은 사회적인 면도 있다. 아시으크들이 음송한 시와 이야기의 소재가 사회적 사안인 경우도 있었는데 이 때문에 아시으크는 계몽과 지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아시으크 전통의 시는 음수율에 맞추어 쓰였으며 통일된 의미의 4행시로 조합되었고 각운과 리듬을 갖추었다. 아시으크의 작품은 시와 음악의 조화로운 결합이다. 사즈는 아시으크 전통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아시으크가 연주하는 사즈 악기는 밤나무와 뽕나무로 만들었다. 사즈 악기는 6개, 8개 또는 12개의 현이 있다. 사즈는 대개 픽(현악기를 연주할 때 사용하는 작은 채)의 일종인 ‘테제네(tezene)’로 연주되었다.

    오늘날 아시으크는 축제, 경축행사, 결혼, 아시으크 커피하우스, 젬(Ayin-i Cem, 수피즘의 하나인 알레비 종파의 샤머니즘적 의식) 의식에서 연주한다. 아시으크의 중요한 공연 무대인 전통 예식에서는 청중을 즐겁게 할 뿐만 아니라, 일화나 이야기를 통하여 가르침과 지침을 주기도 한다. 카르스·에르주룸·카이세리와 같은 도시에서는 아직도 아시으클르크 전통이 생생히 살아 있어서 아시으크 커피하우스에서 아시으크가 공연을 한다. 알레비 벡타시(Alevi-Bektaşi) 의식은 ‘자키르스(zakirs)’로 알려진 아시으크가 알레비 벡타시 철학의 세계관과 믿음을 반영한 시를 낭송하는 것이다. 본래의 연행 무대 외에 비정부기구나 지방 자치체가 조직한 다양한 활동과 축제는 아시으크가 공연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대두되고 있다.

    아시으클르크 전통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아래와 같다.

    • 도제 제도(Master/Apprentice Discipline)
    아시으클르크 전통은 단지 가창, 음송 또는 악기연주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전통은 전수 훈련에 근거한다. 아시으크는 일반적으로 명인에게 훈련을 받는 과정에서 스승의 기교, 표현 및 시를 익힌다. 제자가 자신의 기예를 완성하여 명인 수준에 이르면 제자는 다시 수하에 견습생을 훈련시키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전통은 보존된다.

    • 건배 제의(Drinking Bade)
    아시으크가 될 운명의 젊은이는 꿈속에서 현명한 영적 지도자(피르(Pir))나 그가 소중히 여기는 사람으로부터 건배 제의를 받는다. 그 순간부터 젊은이는 영적으로 깨어나 운문을 짓고, 노래를 부르고, 시를 음송하도록 영감을 받는다.

    • 마흘라스 짓기(Choosing The Mâhlas)
    마흘라스는 아시으크의 실제 이름 대신 사용하는 예명(藝名, 음송시나 재담을 문학으로 간주할 경우는 ‘필명’이라고 볼 수도 있음)이다. 아시으크는 자신의 예명을 4행시의 마지막에 언급하는데, 이러한 행동은 ‘관객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것’ 또는 ‘예술가로서 스스로를 인정하는 것’을 뜻한다.

    • 수수께끼(Riddle)
    수수께끼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이 숨겨진 시의 한 장르이다. 애용하는 수수께끼를 노래로 부르거나 수수께끼를 푸는 것은 아시으크 사이에서는 능수능란한 기교로 현대까지 보존되어 왔다. 수수께끼에 대한 반응이 없으면 아시으크 자신이 이를 푼다.

    • 재담/즉흥 연기(Repartee/Improvisation)
    재담은 구전 전통과 관련된 연설이나 말재간의 형태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 기교는 가르침을 주고 재미를 불러일으킨다. 아시으크는 서로 맞서는 언쟁으로 시작하여 능수능란함, 시의 재미와 아름다움, 교대로 시를 즉흥적으로 만드는 재능, 청중 앞에서 재치 있는 험담을 하는 등의 경연을 하며 연행한다.

    • 레브 데메즈(Leb-değmez)
    입술 사이에 바늘을 놓고 음송하기로 이와 입술로 발음이 되는 알파벳 자음 ‘B·P·M·V·F’을 이용하지 않고 시를 낭송하는 것으로 아시으크의 탁월한 재능을 보여 준다. 아시으크는 자신의 입술 사이에 바늘을 놓고 시를 음송한다.

    • 민담(Folk Tales)
    아시으크는 ‘서술자(narrators)’로도 알려져 있으며, 스승-제자 간의 관계에서 발전되고 보존되어 온 ‘민담’은 서술 방식, 시, 음악을 포괄하는 장르이다.

    1986년에 터키 문화관광부의 연구 및 교육국은 민속 문화 정보 및 기록 센터 내에 살아 있는 민속 시인들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2008년 현재까지 557명의 아시으크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살아 있는 민속 시인은 다음과 같다.

    아흐메트 포이라졸루(Ahmet Poyrazoğlu)·아흐메트 아시으키마미(Ahmet Âşıkimami)·아흐메트 모르타슈(Ahmet Mortaş, 모르술탄(Morsultan))·알리 바슈투(Ali Baştuğ, 아시으크 알리 바슈트(Âşık Ali Baştuğ))·알리 귀치(Ali Güç, 아시으크 알리 귀치(Âşık Ali Güç))·알리 자비트 조슈쿤(Ali Cavit Coşkun, 오잔 시네미(Ozan Sinemî))·알리 파즐 보즈다(Ali Fazıl Bozdağ, 아시으크 제부니(Âşık Zebunî))·아이텐 츠나르(Ayten Çınar, 귈츠나르(Gülçınar))·베흐람 악테무르(Behram Aktemur, 아시으크 베흐라미(Âşık Behramî))·두르셴 메르트(Durşen Mert, 아시으크 누르샤흐(Âşık Nurşah))·하산 바스리 클르치(Hasan Basri Kılıç, 아시으크 바시리(Âşık Basirî))·일킨 마니아(İlkin Manya, 아시으크 사르자크즈(Âşık Sarıcakız))·이스마일 알라달르(İsmail Aladağlı, 아시으크 이스마일 알라달르(Âşık İsmail Aladağlı))·이스마일 첼리크(İsmail Çelik, 아시으크 페르바니(Âşık Pervanî))·이스마일 메틴(İsmail Metin, 데르디멘드(Derdimend))·테멜 샤힌(Temel Şahin, 아시으크 투라비(Âşık Turabi))·캄베르 나르(Kamber Nar, 아시으크 캄베리(Âşık Kamberî))·케말리 뷜뷜(Kemâlî Bülbül, 아시으크 케말리 뷜뷜(Âşık Kemâlî Bülbül))·케난 부다크(Kenan Budak, 샤흐부다크(Şahbudak))·마흐무트 에르달(Mahmut Erdal)·막수트 코자(Maksut Koca, 페리아디(Feryadi))·메흐메트 아타르(Mehmet Atar, 아시으크 아타롤루(Âşık Ataroğlu))·메흐메트 귈(Mehmet Gül, 아시으크 오르마니(Âşık Ormanî))·무흘리스 데니제르(Muhlis Denizer, 아시으크 데니제르(Âşık Denizer))·무스타파 아이딘(Mustafa Aydın, 아시으크 무스타파 아이딘(Âşık Mustafa Aydın))·무스타파 사이을르르(Mustafa Sayılır, 아시으크 무스타파(Âşık Mustafa))·니하트 코차크(Nihat Koçak)·누레틴 튀르칸(Nurettin Türkan, 아시으크 쿨 누리(Âşık Kul Nuri))·외즈튀르크 에르클르츠(Öztürk Erkılıç, 아시으크 외즈베리(Âşık Özveri))·파샤 수사놀루(Paşa Susanoğlu)·루흐사티 에롤루(Ruhsatî Eroğlu, 아시으크 루흐사티(Âşık Ruhsatî))·사브리 요쿠슈(Sabri Yokuş)·세르베트 이을드름(Servet Yıldırım, 아시으크 에마네티(Âşık Emaneti))·쉴레이만 외즈칸(Süleyman Özkan, 외즈카니(Özkani))·솀세틴 쿠바트(Şemsettin Kubat, 아시으크 욕술 데르비슈(Âşık Yoksul Derviş))·셰레프 타슐르오바(Şeref Taşlıova, 아시으크 셰레프 타슐르오바(Âşık Şeref Taşlıova))·벨리 아이쿠트(Veli Aykut, 데르틀리 디바니(Dertli Divani))·베이셀 카라니 이을드제르(Veysel Karani Yıldızer)·야쿠프 테멜(Yakup Temel, 아시으크 테멜리(Âşık Temelî))·위젤 클르치(Yücel Kılıç).

    [네이버 지식백과] 아시으클르크, 터키 음유시인의 예술 전통 [Âşıklık (minstrelsy) tradition]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