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베트남 /레 왕조와 막 왕조(1442~1779)의 과거 시험 관련 석판 기록
[Stone Stele Records of Royal Examinations of the Le and Mac Dynasties (1442-1779)]
Row of Stone Steles of Royal Examinations
Stone Steles of Royal Examinations
Stone Steles of Royal Examinations.
Right side of the Section of Stone Steles, Van Mieu-Quoc Tu Giam
국가 : 베트남(Vietnam)
소장기관 : 반 미에우 꾸옥 뜨 잠(Văn miếu Quốc tử giám)
관리기관 : 하노이 문화·스포츠·관광국 산하의 ‘반 미에우 꾸옥 뜨 잠’ 과학 및 문화 활동 센터
등재연도 : 2011년
하노이에 있는 ‘반 미에우 꾸옥 뜨 잠(Văn miếu Quốc tử giám, 문묘국자감(文廟國子監))’ 사적은 11세기에 세워졌으며 유교 및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기원전 551~479)를 모시는 곳이다. 이 지역의 다른 나라들처럼 베트남의 왕들은 유교를 받아들여 국가를 건설하였고 유교를 사회적·정치적 기초로 삼았다. 특히 15세기 이후에는 유교로서 나라를 다스렸다. ‘반 미에우 꾸옥 뜨 잠’은 베트남 조정에서 일할 재능 있는 사람들과 관료들을 훈련시키는 교육기관이기도 했다. 이곳에서는 여러 세기 동안 나라를 위해 일할 수천 명의 띠엔 시(進士)를 배출했다. 베트남 사람들은 항상 이곳을 베트남 최초의 대학으로 여기고 있다.
‘반 미에우 꾸옥 뜨 잠’ 사적에 보존되어 있는 석판에는 레(黎)왕조와 막(莫)왕조 때 실시된 과거에 합격한 사람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석판에는 1442년과 1779년 사이의 과거에 대한 명문이 한자로 새겨져 있다. 한 해의 과거를 기념하는 82개의 석판이 1484년~1780년 사이에 세워졌다. 명문에 따르면 재능 있는 사람들을 훈련하고 채용할 것에 대한 조정의 입장이 표현되어 있으며, ‘재능이 있고 덕이 높은 사람이 나라를 일으키는 힘’이라는 신념을 여러 번 강조하고 있다. 이 신념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모든 왕은 재능 있고 덕이 높은 사람을 행정 및 국가 개발을 위해 항상 훈련시키고 등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2) 지식인들은 왕조와 국가를 위해 성심으로 봉사해야 한다는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왕조는 과거에 합격한 사람들의 이름을 돌에 새김으로써, 그들의 명예를 높여 주었다. 이러한 행동은 학생들이 훌륭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 도덕과 지식을 쌓아 스스로 수련해야 함을 장려하는 등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이러한 영향이 계속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 석판은 또 성공·지성·학덕 등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석판들은 베트남 사람뿐 아니라 외국인 학자, 정부 관리, 관광객 등에게 오늘날에도 여전히 관심을 끌고 있다. 외국인을 비롯한 수천 명의 방문객들이 날마다 석판을 보기 위해 ‘반 미에우 꾸옥 뜨 잠’에 찾아온다. 국가 지도자를 비롯한 여러 고위 관리는 역사적 기록으로서 석판의 심오한 중요성과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게다가 석판은 문학과 예술에도 기여했다. 석판의 디자인과 장식 무늬는 15세기~18세기에 나타난 독특한 작품들이다.
세계적 중요성·고유성·대체 불가능성 :
‘반 미에우 꾸옥 뜨 잠’ 의 과거 시험 관련 석판은 고유하며 대체 불가능하다. 만약 그 석판들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유실되거나 훼손된다면, 인류는 소중하고 희귀한 역사적 기록뿐 아니라 독창적인 예술 작품을 영원히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기록 자료로서 석판은 베트남에 유교가 어떻게 전해졌으며, 베트남의 문화와 이념에 적합하도록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설명해 주고 있다. ‘반 미에우 꾸옥 뜨 잠’은 1070년 공자와 유교의 제자들을 기리는 동시에 능력 있는 인물과 왕실의 자제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설립된 곳이다. 반면 중국의 문묘는 단지 공자와 그의 제자를 기리기 위한 것뿐이라는 점에서 베트남의 유교는 중국의 유교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반 미에우 꾸옥 뜨 잠’은 베트남의 대학자이자 위대한 교육자였던 쭈 반 안(朱文安, 1292~1370)을 기념하는 교육기관이기도 하다.
석판은 베트남에서 재능 있는 사람들을 선발하는 전형적인 방법이 어떤 것이었는지 보여준다. 즉 과거시험으로 재능 있는 사람들을 선발했다. 관료들은 시험 성적에 따라, 그리고 덕망과 능력에 따라 승진되었다. 그들은 규칙적으로 스스로 수련하며, 자신들의 임무를 완수했고, 능력과 덕망으로 나라를 다스리며, 나라와 백성을 위태롭게 하는 부정부패와 부정직한 행위를 피하기 위한 소양을 길러야 했다.
석판은 레 왕조와 막 왕조 시대에 베트남에서 능력 있는 사람들을 훈련시키고 모집한 300년의 역사를 보여줄 뿐 아니라 베트남 이외에서의 비슷한 사례까지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모집하고 등용하는 과거시험의 독특한 성격은 ‘국사는 능력이 있고 덕망을 갖춘 사람들이 맡아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 훈련을 통해 학생들을 조정과 국가에 봉사하는 헌신적인 관료로 만들어야 하며, 그들의 명예는 행동과 어울려야 한다.’는 등의 신념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석판은 제작 측면에서도 독특했다. 석재는 세심하게 선정되었고 디자인 및 장식을 한 뒤 글을 새겼다. 그 작업은 전부 손으로 이루어졌으므로 대단한 인내심과 능력이 요구되는 일이었다.
과거 기록에 따르면 석판을 설치하는 것은 중국과 똑같은 전통에 따랐다. 중국 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들 가운데 과거의 현판을 보존하고 있는 것은 베트남과 중국뿐이다. 이 사실은 동북아시아의 여러 나라들 사이에 이루어진 문화 교류를 연구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베트남의 과거 관련 현판은 중국의 것과 다르다. 베트남의 현판에 새겨진 명문은 베트남 왕의 이념과 정치, 그리고 능력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교육·훈련·모집했는지에 대한 왕의 생각을 보여주는 풍부한 역사적 자료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국의 과거 관련 현판은 합격자의 이름을 기록하는 단순한 명부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이들 현판은 베트남의 사신들에 관한 소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베트남과 다른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연구하는 데 기여한다. 이들 현판에 기록된 1,304명의 띠엔시 명단 가운데 225명이 명조(1368~1644)와 청조(1644~1912) 시대에 중국에 외교관으로 파견되었다.
‘반 미에우 꾸옥 뜨 잠’의 석판은 베트남 전통 문화의 상징이다. 오늘날 베트남인과 외국인의 관광객, 그리고 연구자 수천 명이 날마다 ‘반 미에우 꾸옥 뜨 잠’을 방문하여 그곳에 보존되어 있는 이 역사적 기록물을 감상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레 왕조와 막 왕조(1442~1779)의 과거 시험 관련 석판 기록 [Stone Stele Records of Royal Examinations of the Le and Mac Dynasties (1442-1779)]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