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99463D505CE230F437)
『일성록(日省錄)』 서문. 이복원(李福源)이 지은 것이며, ‘日省錄序文 紙數八枚’라는 기록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436505CE230F536)
조선시대 왕의 일기 일성록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3A3505CE230F52A)
일성록『일성록(日省錄)』 표지와 본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603505CE230F638)
일성록 본문『일성록(日省錄)』 내용 부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2FF505CE230F623)
『일성록(日省錄)』, 규장각 편, 필사본, 1760년(영조 36)~1910년(융희 4), 국보 제153호, 규장각 도서.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이다. 정조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는데, 정조가 직접 작성하다가 규장각 설치 후에는 각신(閣臣)이 담당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D2D505CE230F706)
일성록(등초본) 본문 『일성록(日省錄)』 1862년 3월 1일 부분, 이왕직실록편찬회 편, 필사본, 장서각 도서. ‘이왕가도서지장(李王家圖書之章)’이 찍혀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50A505CE230F703)
일성록(등초본) 본문 『일성록(日省錄)』 내용 부분, 이왕직실록편찬회 편, 필사본, 장서각 도서. ‘이왕직(李王職)’이 찍힌 원고지를 사용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301505CE230F827)
일성록(등초본) 표지 『일성록(日省錄)』, 이왕직실록편찬회 편, 필사본, 장서각 도서. 고종과 순종의 실록편찬사업을 주관한 이왕직에서 실록 편찬에 활용하기 위하여 1927년 4월~1930년 3월 사이에 등초한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DFA4C5CE230F832)
일성록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으며, 1783년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규장각 편, 조선 후기, 1760~1910년, 필사본, 2,329책, 국보 제15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C374C5CE230F937)
일성록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으며, 1783년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규장각 편, 조선 후기, 1760~1910년, 필사본, 2,329책, 국보 제15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E174C5CE230F902)
일성록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으며, 1783년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규장각 편, 조선 후기, 1760~1910년, 필사본, 2,329책, 국보 제15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A814C5CE230FA04)
일성록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으며, 1783년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규장각 편, 조선 후기, 1760~1910년, 필사본, 2,329책, 국보 제15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F0E4C5CE230FA03)
일성록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으며, 1783년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규장각 편, 조선 후기, 1760~1910년, 필사본, 2,329책, 국보 제15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E604C5CE230FA02)
일성록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편년체 기록물.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왕세손 시절에 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으며, 1783년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규장각 편, 조선 후기, 1760~1910년, 필사본, 2,329책, 국보 제153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