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인도 /차우 댄스
[Chhau dance]
요약 : 차우 댄스(Chhau dance)는 〈마하바라타(Mahabharata)〉와 〈라마야나(Ramayana)〉 등의 서사시와 지역의 민담, 추상적 주제에 나오는 에피소드들을 연행하는 인도 동부의 전통 춤이다. 오리야(Oriya) 어로는 ‘RD_ÐQ’이고 벵골어로 ‘েছৗনাচ’라고 쓴다. 세라이켈라(Seraikella)와 푸룰리아(Purulia), 마유르반지(Mayurbhanj) 지역은 뚜렷이 구별되는 3가지 양식을 보이며, 세라이켈라와 푸룰리아의 댄스는 가면을 사용한다. 차우 댄스는 지역의 축제들, 특히 봄에 열리는 차이트라 파르바(Chaitra Parva) 축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 기원은 토착 무용과 무술에서 찾을 수 있다. 춤사위에는 모의 전투 기술과 새와 동물의 걸음걸이, 그리고 마을의 가정주부들이 집안일을 하는 모습을 모방한 동작도 있다. 전통 장인의 가족이나 지역 공동체에서 남자 무용수들에게 차우 댄스를 가르친다. 이 춤은 모후리(mohuri)와 셰나이(shehnai) 피리로 연주하는 전통 민속 멜로디에 맞추어 공터에서 밤에 연행된다. 다양한 북 소리의 울림이 반주 음악의 주를 이룬다. 차우는 이 공동체의 문화에 중요한 부분으로, 사회적 관습과 신앙·직업·언어 등이 서로 다른 여러 사회계층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계속되는 산업화와 경제적 압박,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공동체가 집단으로 참여하는 일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차우 댄스의 뿌리가 단절되어 가고 있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차우 댄스
국가 : 인도(India)
등재연도 : 2010년
지역 정보 :
인도 동부의 오리사(Orissa)·자르칸드(Jharkhand)·서벵갈(West Bengal) 주 접경지역의 부족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다.
- 자르칸드 주의 세라이켈라 차우
- 오리사 주의 마유르반지 차우
- 서벵갈 주의 푸룰리아 차우
2010년 현재 이들 공동체에 속해 있는 일부 연행자들과 교사들이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였고, 도시 지역에서 여러 지역으로부터 온 학생들에게 이 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본문 :
차우는 〈마하바라타〉·〈라마야나〉·〈푸라나스(Puranas)〉 등의 서사시와 전통 설화 및 지역의 전설과 추상적 주제에 나오는 에피소드들을 연기하는 인도 동부의 전통이며, 주로 전통 북으로 만들어낸 반주 음악과 춤이 함께 어우러진다. 자르칸드·오리사·서벵갈 주에 접해 있는 세라이켈라·마유르반지·푸룰리아 등의 지역에서 그 독특한 양식을 볼 수 있다.
세라이켈라의 차우는 가면을 사용하며, 연행자인 동시에 안무가였던 이전의 귀족들에 의해 기법과 레퍼토리가 개발되었다. 마유르반지 차우는 세라이켈라와 비슷한 방법으로 추지만 가면을 사용하지 않는다. 푸룰리아 차우는 가면을 사용하며 민속 예술의 즉흥성을 띠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도시화와 농지에 대한 압력이 커져 가면서 작은 마을의 사람들은 주로 비숙련 노동에 의지하고 있다. 힌두교 신자와 이들의 신앙, 축제 및 제례는 이전부터 전해오던 부족의 관습들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전통적 맥락에서 차우 댄스는 이 지역의 축제 및 제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중에서도 4월에 열리는 카이트라 파르바(Chaitra Parva)가 중요하다. 힌두 달력에서 카이트라 달은 봄과 수확철의 시작을 기념한다.
13일간의 자트라 가트(tJatra Ghat), 만글라 가트(Mangla Ghat), 칼리카 가트(Kalika Ghat), 브린다바니(Brindabani)의 춤과 같은 의식은 모든 우주 창조의 근원으로서 시바(Shiva)와 샤크티(Shakti)에게 바치는 것이다. 강렬한 춤의 축제로 절정을 이루는 이 의식은 이전 통치자들의 지원이 있어 중요한 행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10년 현재는 주 정부가 제공하는 자금 지원을 받으며 부족한 자금은 지방 후원자들로부터 도움을 받아 메운다.
사회의 전 분야를 대표하는 주민들로 이루어진 조직 위원회에서는 이 축제에 대한 모든 계획을 준비한다. 다양한 지역민들은 각자 직업에 따라 차우 댄스의 각 부분을 맡는다. 이러한 분업은 시간이 흐르면서 약해지긴 했지만 악기 제작, 음악, 가면, 머리에 쓰는 장비를 만드는 일과 같은 활동에서는 여전히 직업과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왕실의 후원이 세라이켈라와 마유르반지 차우에는 확대되었지만, 푸룰리아 차우는 주민들 스스로 개발하고 지켜 왔다. 이런 전체 과정은 일반인의 참여를 촉진하고, 지역 사람들에게 여전히 예술에 대한 뚜렷한 책임감을 갖게 만들어 주었다.
차우의 기원은 토속 무용과 무술에서 찾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파이카(Paika) 전통이 중요했다. 파이카는 오리사의 원주민 통치자들에 의해 양성된 군사들이었다. 세라이켈라 차우의 파리칸 켈라(Parikhand khela, 창과 방패 놀이)와 마유르반지 차우의 룩마르나크(ruk-mar-naach, 공격과 방어의 춤이라는 의미)는 이런 무술 용구를 가리킨다. 초크(Chowk)와 다란(Dharan)의 기본자세는 공통적으로 본질적인 강한 무술적 특징을 띤다. 이런 기법에 아주 뛰어났던 무용수들은, 가령 세라이켈라 전통의 파이카는 사회적 의식이나 종교적 의식에 초대를 받아 연행하였다.
이 지역 사람들은 아름다움 자연 환경 덕분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찰리스(Chalis)와 톱카스(Topkas)라고 불리는 양식화된 걸음걸이는 동물과 새의 움직임과 닮았다. 유플리스(Uflis)나 우팔라야스(Upalayas)라고 하는 동작은 마을 아낙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일들을 모방한 동작이다. 이런 동작들은 무술 기법과 함께 차우의 기본 동작이다.
차우는 전통적으로 남자들이 연행하고 배우며 아카다(Akhada)라고 하는 공터에서 구루 또는 우스타드(Ustad, 교육자)가 가르친다. 차우 댄스는 또한 가족 전통이기도 하다. 이 댄스와 음악과 가면 제작의 여러 가지 측면에 관한 지식 전수는 구두로 전해진다.
차우를 추기 위해서는 리듬이 아주 중요하다. 차우 리듬의 일부는 이 지방의 가정에 일어나는 탄생과 죽음, 그 밖의 여러 통과의례에서 고수(鼓手)들의 레퍼토리에서 유래했다. 고수들이 댄스에서 반주자가 되는 것은 사회생활이 지역의 공연예술과 얽혀 있는 형태를 보여 주는 완벽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리듬의 구성이 아주 조직적이므로 리듬만으로도 춤의 정서적 내용을 표현할 수 있다. 돌(Dhol, 원통형 북)과 둠사(dhumsa, 큰 냄비형 북), 카카(Kharka) 또는 차드차디(chad-chadi)의 울림소리가 반주 음악의 주를 이룬다.
멜로디는 모후리(mohuri), 투리베리(turi-bheri), 셰나이(Shehnai)와 같은 리드 관악기들로 만들어진다. 차우의 연행에서 성악은 사용되지 않지만, 멜로디는 키르탄(Kirtan)의 주무르(Jhumur)풍 종교적 노래의 민속 전통에서 유래하는 노래, 오리사와 고전적인 힌두스탄의 라가(Hindustani ragas)에서 유래하는 전통적인 노래 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세라이켈라와 푸룰리아 양식의 차우는 가면을 쓰고 춤을 춘다. 무용수들은 춤사위를 통해 가면에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가면은 실제보다 등장인물에게 과장된 느낌을 주고 신화적 특성을 부여한다. 항상 빛이 나는 느낌을 주도록 화려하게 장식된 머리쓰개를 착용한다. 마유르반지 차우에서는 맨얼굴에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분장을 해서 가면을 대신한다.
차우 공연은 아카다(Akhada) 또는 아사르(Asar)라고 하는 공터에서 밤에 열린다. 청중은 아카다의 사방으로 빙 둘러앉는다. 세라이켈라에서는 자트라갓(Jatraghat)으로, 마유르반지에서는 랑바자(Rangbaja), 푸룰리아에서는 주동(Judon)이라고 하는 북으로 연주하는 전통 리듬에 의해 춤이 시작된다. 이것은 수호신에게 제사를 바치는 상서로운 시작이며, 연행에 적절한 심미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차우는 지역의 공동체 문화에서 빠질 수 없이 중요한 부분이며 공동체의 정체성에 기여한다. 이것이 바로 비록 경제적으로는 곤궁함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사람들이 차우 댄스 전통을 여전히 지속하고 있는 이유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차우 댄스 [Chhau dance]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