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중국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Hezhen Yimakan storytelling]
요약 : 허쩌 족의 이마칸(伊玛堪) 강창예술(講唱藝術, 이야기를 노래와 말로써 구연하는 예술)은 중국 북동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허쩌 족(赫哲族)의 세계관과 역사적 기억을 담긴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마칸’은 허쩌 족 언어로 발음한 것이며, 유산의 한자명은 ‘赫哲族伊玛堪(허쩌 족의 이마칸)’이다. 이마칸 강창 이야기는 허쩌 족 언어로 전달되며, 운문과 산문의 형식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마칸의 이야기는 부족 간의 동맹과 전투를 묘사하는 다수의 독립적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허쩌 족 영웅이 괴물과 침략자를 물리치는 내용도 있다. 이 구전 유산은 민족 정체성과 영토의 수호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토속 신앙 의식, 사냥과 낚시에 관한 전통 지식을 보전한다. 이마칸 설창자(说唱者, 강창예술인)는 반주 없이 즉흥적으로 이야기를 연행하고, 강설(講)과 노래(唱)를 번갈아 하며, 여러 인물과 줄거리를 표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율을 사용한다.
이마칸은 주로 씨족 사회나 가족 내에서 스승-도제 관계를 통해서 전수되지만, 오늘날에는 외부인을 전수자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허쩌 족에게는 표기 문자 체계가 없기 때문에 이마칸은 모국어·종교·신앙·민속·관습을 보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허쩌 족 언어는 가속화되는 현대화와 표준화된 학교 교육의 영향으로 위험에 처해 있다. 오늘날에는 나이 많은 사람들만이 허쩌 족의 고유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이마칸 전통을 부흥시키고 보존하는 데 주요한 문제점이다. 2011년 현재 오직 5명의 강창 명인만이 연행 능력이 있는데 이것은 경험 있는 설창자가 사망하고 젊은 세대는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11년
지역정보 :
이마칸 강창예술 전통은 헤이룽장성(黑龙江省)의 자무쓰시(佳木斯市)와 솽야산시(双鸭山市)에 주로 분포한다.(동경 121°13'와 135°사이, 북위 43°22'와 53°24'사이)
주요 공동체(중국 헤이룽장성)
1) 퉁장시(同江市) 제진커우 허쩌 족 민족향, 바차 허쩌 족 민족향
2) 자무쓰시 아오치향 허쩌 족 민족촌
3) 솽야산시 라오허현의 쓰파이 허쩌 족 민족향
대표적인 설창자(국가 수준 또는 지역 수준)
1) 우 밍씬(퉁장시 제진커우 허쩌 족 민족향)
2) 우 바오천(퉁장시 제진커우 허쩌 족 민족향)
3) 우 밍시앙(퉁장시 제진커우 허쩌 족 민족향)
4) 게이 위샤(솽야산시 라오허현의 쓰파이 허쩌 족 민족향)
본문 :
허쩌 족은 ‘허저 족’으로도 불리며, 아무르강(Amur River, 黑龍江), 송화강(松花江), 우수리강(乌苏里江) 등 중국 북부 3개의 강 유역에 오랫동안 살아왔다. 인구는 약 4,600명이며 중국에서 가장 작은 규모의 소수 민족 중 하나이다. 이마칸 강창예술은 여러 소절로 된 구전 장르이며, ‘나나이어(那乃語)’라고도 불리는 허쩌어로 연행된다. 나나이어는 알타이어족의 만주-퉁구스어 파에 속한다. 이마칸의 기원은 수세기를 거슬러 올라가며, 어로와 사냥에 의존하는 허쩌 족의 삶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중국에서 허쩌 족 이마칸 강창예술은 인류학자 링춘성(凌纯声)의 1934년 연구인 「송화강 하류에 거주하는 허쩌 족 족(松花江下游的赫哲族)」에서 처음 알려졌다.
이마칸 강창예술은 주제와 이야기 양식에 따라 다르며, 영웅적인 업적과 부족 동맹을 기리는 확장된 서사 전통과 유사하다. ‘머르겐(莫日根)’은 가장 오래된 상징적 초인 영웅이며, 이러한 고대 전사를 주로 묘사한 영웅 서사가 가장 인기 있는 이야기이다. 기본적인 줄거리는 영웅이 수많은 도전과 고난을 이겨낸 후 부족의 족장이 되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 마침내 허쩌 족의 영토를 회복하여 부족민을 평화롭게 살게 해준다는 이야기이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이야기 중 하나는 〈실얼다루 머르겐(什尔达鲁莫日根)〉이며, 지역민들은 이를 ‘세상이 창조된 이래 최초의 영웅 이야기’로 간주한다. 후에 〈안투 머르겐(安徒莫日根)〉·〈만두 머르겐(满斗莫日根)〉·〈썬쑤 머르겐(香叟莫日根)〉 등의 본래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들이 만들어졌다. 영웅적 서사 외에도 사냥과 낚시, 미와 용기, 사랑과 지혜, 지역 지식과 일상적인 일에 관한 이야기도 있다. 이런 이야기에는 〈김터커웨이 아나부란(Gimtekewe Anaburan)〉과 〈무주린 머르겐(木竹林莫日根)〉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 〈만두 머르겐〉·〈야르궈(亚热勾)〉·〈시르궈(西热勾)〉·〈잉투궈궈벤위에(英土格格奔月, 달로 날아간 잉투 공주)〉를 포함한 50개의 이야기가 녹음되었다. 〈만두 머르겐〉의 이야기는 8시간~9시간 분량이다.
이마칸 공연은 노래와 구술이 혼합되어 있으며 경험 많은 설창자가 반주 없이 연행한다. 일반적으로 이 전통은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주제의 내용과 이야기의 길이에 따라 ‘사그드 자림쿠(sagdi jarimku)’와 ‘우스쿠르 자림쿠(uskuli jarimku)’, 또는 ‘큰 노래(大唱)’와 ‘작은 노래(小唱)’로 분류된다. 큰 노래는 길이가 길고, 주로 영웅적 이야기나 창조 신화를 다루며, 구술 형태이다. 작은 노래는 길이가 짧고, 연애 이야기나 낚시와 사냥 등 일상생활과 가까운 주제를 다루며 특정한 선율이 있다.
혼자 공연하는 설창자의 음색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 곡조, 노인 곡조, 여성 곡조 등이 특정한 인물이나 줄거리에 따라 곡조가 적용된다. 이야기의 음률은 대개 장소에 따라 다르고, 주어진 장면과 즉석에서 각색하는 줄거리에 맞춰 계속 달라진다. 이에 따라 듣기 좋은 부분과 지루한 부분, 빠르고 느린 움직임을 혼합하여 생생하게 다양한 서술적 음조를 만들어낸다. 정형화된 노래와 구술은 다양한 면에서 ‘전통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즉흥적인 요소가 아직도 흔하며 설창자와 청중 간의 감정적 교류의 수준에 따라 즉흥적 요소가 달라진다.
전통적인 이마칸 설창자는 ‘이마칸치 마파(Yimakanqi mafa)’라 불리며, 대개는 비전문가이다. 이들은 씨족이나 가족 안에서 형성된 도제제도로 양성된다. 20세기 초반부에 씨족이나 마을 내에서 뛰어난 설창자가 속속 등장했으나, 지금은 외부인도 제자로 받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허쩌 족 사회에서 이마칸치 마파는 고도의 언어 능력과 재치가 있는 인물로 인정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큰 존경을 받는다. 언어의 연금술사인 이들은 전통적인 이야기 형태, 소재 및 정형화된 어법을 꼼꼼히 따르면서도, 공연 도중에 자연스럽게 즉흥적인 임기응변을 할 수 있다.
이마칸은 허쩌 족 사회와 문화의 일부분이며 허쩌 족 지역에서 발전해온 주요한 여흥문화이다. 허쩌 족은 사냥이나 낚시, 혼인이나 건축 의식 또는 축제행사 중 이러한 설창자의 연행을 즐기며 귀 기울여 듣는다. 특히, 전통적으로 춥고 긴 겨울 동안 설창자는 특별한 연행을 하게 된다. 이야기를 강창한다는 것은 문화적 복합체로써 허쩌 족의 깊숙이 새겨진 중요한 전통이다. 오늘날 이 전통은 젊은 세대에게는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계기가 되며, 외부인들에게는 허쩌 족 공동체를 이해하게 되는 경로이다.
허쩌 족에게는 문자 체계가 없기 때문에 이마칸은 허쩌 족의 역사를 구전 방식으로 보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야기 구술 전통은 살아있는 구전 역사의 이념적인 형태로써 허쩌 족의 역사적 발전, 사회 여건 및 인식 구조를 담고 있다. 이는 또한 일상적인 삶, 자연 숭배, 무속신앙, 관습, 풍속 및 잔존하는 허쩌 족의 모계 친족 사회를 생생히 묘사하며, 허쩌 족의 빈약한 문서 기록을 일정 수준 보완하기도 한다. 이 전통은 허쩌 족 문화의 독창적 면모를 고스란히 드러낼 뿐만 아니라, 허쩌 족 언어를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허쩌 족의 언어는 ‘위험에 처한 언어 목록’에 보고된 바와 같이 ‘심각한 소멸 위험에 처한 언어’이기도 하다. 때문에 이마칸을 익힌다는 것은 허쩌 족의 일상 언어, 성스러운 노래, 신성한 음악을 보전하기 용이해진다는 것이며, 어쩌 족 모국어의 전파와 개발에 따른 문화 부흥까지도 현실적 가능성으로 다가오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이마칸 이야기 강창은 의심할 여지없이 허쩌 족의 전통, 역사, 가치관 및 정신에 깊은 영향을 줄 것이다. 이 전통은 허쩌 족의 역사적 기억과 문화적 표현을 보존하는 주요한 수단이므로, 민족을 단결시키고 정체성을 고취하는 대체할 수 없는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살아있는 기억의 총체로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면서, 이마칸은 허쩌 언어를 유지하는 귀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비록 이마칸은 소멸 위협을 받고 있지만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마칸은 생생하게 살아있는 문화적 다양성의 특정한 사례이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 존속 가능성 평가
옛날에는 이마칸 강창예술은 허쩌 족의 일상생활 및 생산 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마칸 강창예술은 한동안 의사소통의 유일한 실제적인 형태이자 사람들의 전형적인 삶의 방식이었으며, 모든 허쩌 족 공동체에는 고유의 이마칸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이마칸 강창예술은 축제를 위하여 특별하게 연행되거나, 개인적 전수를 위해 훈련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만 연행된다. 과거 이미칸 설창자는 허쩌 공동체의 모든 이에게 존경과 찬사를 받았다. 이들 설창자로 인해 다수의 뛰어난 연행자가 유지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모든 이마칸 설창자는 원래의 이마칸 레퍼토리를 통달했다.
통계에 따르면, 1980년대에는 강창의 수준의 뛰어나고 레퍼토리를 통달한 설창자가 20명 이상 있었다. 그러나 2011년 현재에는 오직 5명의 이마칸치 마파(설창자)만이 이마칸 중 일부를 연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마칸 강창예술의 세대간 전승이 영원히 끊길 수도 있는 큰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기에, 헤이룽장성의 각급 문화 담당국이 민속 기관, 지역 공동체, 설창자와 협력하여 이 구전 예술이 허쩌 족 사이에 전파될 수 있도록 양성과정을 조직하기 시작하였다. 평균적으로 1년 동안에 자무쓰시에서 50회, 퉁장시에서 12회, 바차향에서 6회, 제진커우촌에서 12회, 라오허현에서 24회, 아오치촌에서 5회 등의 훈련 활동이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허쩌 족 전체 인구의 1.5% 수준인 70명 이상이 실습 교육을 받았으며, 대부분은 젊은 사람이다. 이에 따라 일부 연수생들은 다양한 수준의 성과를 거두고 기법을 터득하여 강창예술을 공연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들은 약간의 운문과 짧은 이야기 두어 가지, 특정한 장면 몇 편을 공연하고 있다.
이마칸의 특수성 때문에 설창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해에 걸쳐 훈련이 필요하며, 지름길이란 없다. 오늘날 새로운 기술 개발, 그리고 전자책, 인터넷, 텔레비전, 기타 대중 매체를 비롯한 현대 통신기술의 광범위한 영향으로 인하여, 귀에서 귀로, 입에서 입으로, 설창자에게서 설창자에게로 전승되는 전통적인 방법은 위협받고 있다. 스승-도제 간의 교육이나 전통적인 방식으로 전승하는 것은 수 세기 동안 새로운 설창자를 가르치는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인 교육 및 전승 방식은 공동체 안에서 수 백 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허쩌 족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토착 지식을 이야기로써 보전하고 전파하는 것은 이마칸의 구전 예술과 지역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앞으로를 대비하여 이마칸의 스승-도제 전승 방식을 개발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중국 정부는 이마칸 이야기 강창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더 나은 실천을 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이마칸 이야기 강창 전통은 안팎으로 위협받고 있다. 전 세계적 경제 통합의 급속한 진행과 문화적 충돌의 여파로 인하여 허쩌 족의 생활환경과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여건은 이마칸 전통을 유지하는 사회적 여건과 문화적 환경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가속화되는 현대화와 학교 교육 표준화의 영향으로 극히 소규모의 민족 집단인 허쩌 족 내에서 급격하고 광범위한 언어 전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들의 모국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현재에는 나이든 사람들만이 허쩌 족의 원래 언어를 말할 수 있고 대다수의 장년층과 청소년은 모국어를 잃어가고 있으며, 조상의 유산에 대한 인식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마칸 전통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인 허쩌 언어는 소멸 직전에 있다. 허쩌 언어를 말할 능력을 잃어가는 것은 이마칸 전통의 생명력, 생존 및 지속가능성을 진작시키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자신들의 문자 체계가 없는 허쩌 족은 문화유산을 구두로 세대 간에 전승한다. 전통적인 가르침과 배움의 방식이 이마칸 강창예술을 전승하는 유일한 수단으로 남아 있다. 이 방법은 실질적인 경험과 얼굴을 맞대고 전하는 구두 방식에 의존한다. 허쩌 족 사회의 구조적 변화로 가족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 학습 체계를 이어가기 힘들게 되었으며, 공동체 기반의 문화 전파 구조는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위기는 경험 있는 설창자가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고 농촌의 젊은 세대가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남에 따라 더욱 심화되어 왔다. 토속 언어와 전통 레퍼토리를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늙어가고 수도 감소하는데, 젊은 세대는 더욱 현대적 삶의 방식으로 전환하며 중국의 지배적 언어를 배우고 있다. 그래서 전통적인 연행자와 그 전승자의 수는 매우 적다.
관광 산업이 부흥은 이마칸 강창예술의 사회적 여건을 쇠퇴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상업적 이익을 위하여 이마칸 공연을 부적절하게 이용하게 됨으로써 민속 전통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게 되었다.
종합해 보면, 허쩌 족 이마칸 강창예술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 문화적 공간은 갈수록 좁아지고, 이러한 위협으로 인해 세대 간 전승도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이 가치를 따질 수 없는 구전 인류 유산을 전파하는 데 긍정적인 전략과 효과적인 대책이 취해져야 할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허쩌(赫哲) 족의 이마칸 강창예술(講唱藝術) [Hezhen Yimakan storytelling]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