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오스트리아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Schemenlaufen, the carnival of Imst, Austria]요약 : 오스트리아의 티롤(Tirol)에 있는 도시 임슈트(Imst)에서 4년마다 개최되는 파슈나흐트(Fasnacht, 카니발)를 ‘임슈터 셰멘을라우펜(Imster Schemenlaufen)’이라고 한다. 이 카니발은 사순절 직전 일요일에 가면 연희자가 행렬을 이루고 춤과 음악을 선보이는 축제이다.
셰멘을라우펜은 카니발 코스튬에 가면을 쓴 연희자들이 춤을 추며 펼치는 행렬이다. 가면 연희자들은 주로 짝을 지어 거리에서 행렬을 이루는데, 어떤 연희자는 여러 개의 종들을 몸에 빙 두르고 또 어떤 연희자는 무게가 35kg에 달하는 더 큰 종을 몸에 달고 나온다. 이들은 모두 함께 폴짝폴짝 뛰거나 허리를 굽혀 절을 하면서 춤을 추는데 이렇게 하면 높고 낮은 다양한 종소리가 섞여서 울린다. 모두 55쌍이 이렇게 짝을 이루어 참가하는데, 뒤이어 다른 가면을 쓴 연희자들도 종을 단 사람들을 천천히 좇아오며 춤을 춘다.
행렬에는 다양한 복장과 가면으로 꾸민 사람들이 따라오는데 어떤 연희자는 질서를 지키도록 구경꾼들에게 물을 살짝 끼얹기도 하고, 소녀 가면을 쓴 연희자는 구경꾼들에게 향이 나는 가루를 뿌리기도 한다. 굴뚝 청소부 가면을 쓴 연희자들은 용감하게 계단을 타고 집 위로 올라가고, 마녀 분장을 한 연희자는 악단이 연주하는 불협화음에 맞춰 구경꾼들에게 소리를 지르며, 흰색이나 갈색 곰으로 꾸민 연희자들은 서로 힘자랑을 한다.
오랜 전통에 따라 사람들은 파슈나흐트를 준비하는데 카니발을 준비하는 과정 동안 임슈트 사람들은 카니발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하나로 뭉치게 된다. 임슈트의 사람들, 특히 여성들은 셰멘을라우펜에 쓸 의상을 만들기 위해 학교에서 기술을 배우고, 임슈트 지역의 대장장이들은 종을 만든다. 지역민들은 모두 나무를 깎아 가면을 만들 줄 알며, 이러한 전통적 제작법은 가족 내에서 전수되거나 특별 강습을 통해서 배우게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F893A5CBADD4701)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82E3A5CBADD480E)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E743A5CBADD4807)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B273A5CBADD490D)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A6C3A5CBADD490E)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6DE3A5CBADD4940)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8193A5CBADD4A02)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BF23A5CBADD4A09)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CEB3B5CBADD4B03)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국가 : 오스트리아(Austria)
등재연도 : 2012년
지역정보 :
셰멘을라우펜은 티롤 지방의 서쪽에 있는 임슈트(주민 9,500명)라는 도시에서만 연행되는 축제이다. 다른 형태의 티롤식 카니발이 여럿 있는데 이 카니발들은 각각 다른 면을 지니기도 하지만 임슈트의 셰멘을라우펜에서처럼 각자 색다른 코스튬을 갖추어 입은 가면 연희자가 등장한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그러나 가면 연희의 코스튬은 각 마을마다 서로 다르다.
셰멘을라우펜을 제외한 티롤식 카니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아래 마을들은 모두 티롤의 서부에 있다.
나세라이트(Nassereith) 지역의 셸레를라우펜(Schellerlaufen) : 셸러(Scheller, 몸에 큰 종을 달고 있는 가면 연희자) 연희 패의 카니발
아크잠스(Axams) 지역의 밤펠레라이텐(Wampelerreiten) : 밤펠러(Wampeler, 라이더가 타려고 하는 뚱뚱한 몸집의 가면 연희자)연희 패의 카니발
텔프스(Telfs) 지역의 슐라이헤를라우펜(Schleicherlaufen) : 슐라이허(좀도둑처럼 숨어사는 사람을 표현한 가면 연희자) 연희 패의 카니발
피스(Fiss) 지역의 블로흐치헨(Blochziehen) : 통나무(Bloch)를 끌어오는 연희 패의 카니발
타우어(Thaur) 지역의 물레를라우펜(Mullerlaufen) : 물러(Muller, 물러가 구경꾼의 등을 치면 행운이 온다고 한다) 연희 패의 카니발
본문 :
셰멘을라우펜은 4년마다 사순절이 시작되기 전(보통 2월)의 일요일에 임슈트 도시를 통과하는 가장행렬을 말한다. 종으로 둘러싼 의상 이름을 본뜬 가면 연희자인 ‘롤러(Roller)’와 무게가 35kg에 달하는 큰 종을 달고 다니는 가면 연희자인 ‘셸러’가 행렬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이들이 함께 폴짝폴짝 뛰거나 허리를 굽혀 절을 하면서 춤을 추는데 이렇게 하면 높고 낮은 다양한 소리의 종소리가 뒤섞여서 울린다. 이 종소리가 바로 셰멘을라우펜 카니발을 대표하며 모든 구경꾼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짝을 이룬 ‘롤러’와 ‘셸러’ 55쌍이 이 행렬에 참가한다.
‘라그게파레(Laggepaare, ‘롤러’와 ‘셸러’의 캐리커처 가면)’들은 느릿느릿 익살맞은 춤을 흉내 내며 춘다. ‘자크너(Sackner)’와 ‘슈프리처(Spritzer)’와 같은 가면 연희자들은 구경꾼들이 질서를 지키며 물러서도록 행렬 안에서 구경꾼을 살짝 치거나 구경꾼 쪽으로 물을 튀기기도 한다. 가장행렬이 계속 해서 줄지어 감으로써 지나가는 가면 연희자가 바뀌는 것을 보는 재미, 종소리를 듣는 재미, 구경꾼들이 행렬을 통해 보이는 반응을 느끼는 재미가 있다.
그 외의 다른 가면 연희자로는 구경꾼들에게 향 가루를 뿌리는 소녀 가면을 쓴 ‘퀴벨레마이(Kübelemai)’와 용감하게 집 위로 타고 올라가는 솜씨를 보여주는 굴뚝 청소부가 있다. 마녀 가면 연희자들은 구경꾼에게 소리를 지르는데 마녀 악단은 불협화음의 이상한 곡을 기괴하게 연주한다. 흰색이나 갈색 곰으로 꾸민 등장인물들은 힘자랑을 하지만 더 힘센 인물들의 지배를 받고 있는 모양이 연출된다.
예능보유자 / 기능보유자 :
카니발의 모든 준비 작업은 파슈나흐트 위원회 회장이 책임진다. 그의 임무는 국제관계와 전반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이고, 위원회 조직에 관한 문제도 담당한다. 뿐만 아니라 각 가면 연희자들은 모두 각자의 그룹에 속해 있고 각 그룹의 ‘제켈모아슈터(Säckelmoaschter)’가 그룹을 주도한다. 제켈모아슈터의 ‘제켈(Säckel)’은 ‘돈 주머니’를 뜻하고 ‘모아슈터(Moaschter)’는 ‘명인’을 뜻한다.
9월부터 ‘롤러’와 ‘셸러’는 일주일에 한 번씩 만나 임슈트 거리에서 출 춤을 연습한다. 모든 코스튬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수선한다. 임슈트의 대부분의 주민들, 특히 여성들은 이 의상을 만드는 전통 기술을 학교에서 배우며, 수많은 대장간에서는 ‘셸러’를 만들고, 특수 기계를 사용하여 수십 개의 천 조각으로 만들어진 전통 치마인 비플리히(Wiflig)를 바느질하여 ‘비플리그자크너(Wifligsackner, 전통 스커트인 비플리히(Wiflig)를 입고 있는 여성 농민으로 분한 등장인물)’를 준비한다. 마차를 만드는 사람들은 여름철에 이미 작업을 시작하는데, 약 25명이 모여 마차의 주제를 결정한다. 대개는 임슈트와 티롤의 역사를 주제로 마차를 꾸민다. 이 마차들은 술을 제공하는 이동 술집으로도 이용된다.
누구나 나무로 깎아 가면을 만들 수는 있지만, 모든 가면이 셰멘을라우펜에서 쓸 수 있을 정도로 훌륭하지는 않다. 그래서 위원회는 재무, 총무, 기록, 언론 대변자 역할을 하며, 보관하는 역할도 맡아 의상과 가면을 보관하고 나누어 주는 일을 맡는다. 가면을 쓴 집단의 일원이 될 것인지는 각자 결정한다.
전승 정보 :
파슈나흐트를 준비하는 동안에 연장자인 참가자들은 각자의 기술을 보여주는데, ‘롤러’와 ‘셸러’의 춤 스텝과 마녀의 외침 소리, 바로크 시대의 부유한 시민으로 가장한 ‘알트프란크슈프리처(Altfrankspritzer)’가 구경꾼을 향해 물을 뿌리는 동작 등을 보여준다. 오랜 전통에 맞게 파슈나흐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들은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서 가면 연희자들은 초보 연희자들이 제대로 연행할 수 있도록 가르쳐 준다. 이들은 리허설을 하는 동안 초보들의 동작을 보고 필요하면 적절하게 바로잡아 주기도 한다.
전통 기술에 대한 지식은 주로 가족 내에서 전수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특별 강습을 통해서 배운다. 마차를 만드는 것과 같은 실용적 기술 지식은 직접 만들어봄으로써 배운다. 셰멘을라우펜이 열리기 몇 개월 전부터, 카니발에 참여할 여성들은 만나서 서로 할 일을 의논한다. 적어도 1명의 여성은 옛 기술을 알고 있어서 이러한 만남을 통해 그 지식을 전수해준다.
셰멘을라우펜의 전통에 관한 지식은 학교에서도 가르치며 전승되는데, 파슈나흐트는 임슈트의 초등학교 3학년이라면 필수적으로 배우는 주제이다. 학생들은 파슈나흐트 박물관을 찾아가서 가면들과 사진을 보고 동영상도 본다. 설명하는 안내원은 경험이 많은 사람들로, 학생들에게 셰멘을라우펜의 전통에 대해 들려준다. 부모가 자식들에게 전해주는 셰멘을라우펜 전통에 관한 이야기도 공공기관이나 교육에서 가르쳐주는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종종 자녀들은 셰멘을라우펜 전통에 대해 몹시 배우고 싶어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아버지가 직접 특별한 스텝이나 동작을 보여주기도 한다. 오늘날의 전승은 구전으로 그치지 않고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같은 기록으로도 전해지고 있다.
무형유산의 의미 :
옛 전통에 따라 파슈나흐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 카니발은 공통의 목표를 가진 임슈트 주민들을 하나로 뭉치게 해주었다. 셰멘을라우펜이 선조들로부터 오늘날의 세대까지 전해져 왔듯 이 전통은 또 다음 젊은 세대들에게 전수되어야 한다. 이 전통은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라고 여겨지고 있으므로 전통의 전승자와 연희자들에게 있어 전통의 보전에 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과거의 파슈나흐트와 이전 참가자들에 관한 이야기는 임슈트 카니발에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필수적 요소이다. 이것은 3가지 ‘파슈나흐트 페이퍼’로 완전히 정리되었는데, 여기에서 카니발에서 나타나는 ‘말장난과 낱말 놀이’는 정통 지역 문학의 훌륭한 사례라고 하였다.
행렬의 통합 프로세스는 모든 가장행렬의 그룹에서 비슷하게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은 리허설과 레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중요한 가면 연희자는 ‘롤러’와 ‘셸러’이며, 이들은 사람들에게 널리 존경받는다. 과거에는 가면 집단들 사이에 사회적 차별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셰멘을라우펜의 문화적 중심지는 ‘파슈나흐트 하우스’이며, 이곳에서 회원들은 회의를 하고 음료를 즐기며 어울린다. 회원들은 가면의 조각, 파슈나흐트의 사진과 그림 전시회 등에 관한 문제를 의논한다. 때로는 국제적인 공연 참가작이 이곳에서 공연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셰멘을라우펜, 오스트리아 임슈트의 카니발 [Schemenlaufen, the carnival of Imst, Austria]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