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Klapa multipart singing of Dalmatia, southern Croatia]요약 : ‘클라파(Klapa)’는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 지역의 다성부(多聲部) 가창(歌唱) 전통이다. 다성부 가창, 아카펠라 단선율(單旋律) 가창, 구전, 그리고 단순한 음악이 클라파의 주된 특징이다. 각 노래 그룹의 리더는 제1테너이며, 여러 명의 테너, 바리톤, 베이스가 그를 따른다. 공연을 하는 동안 가수들은 반원형을 이루어 조밀하게 붙어 선다. 제1테너가 노래를 시작하면, 다른 가수들이 그 뒤를 이어 부른다. 주목표는 가능한 한 최선의 화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클라파 가수들은 열린 후두음, 비음 소토보체(sotto voce, ‘소리를 낮추어, 작은 소리로’), 아주 높은 음역(音域)에서는 팔세토(falsetto, 가성)를 이용해 느낌을 살린다.
가수의 또 다른 특징은 악보의 도움 없이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는 재능이 있다는 점이다. 클라파 노래는 흔히 사랑, 인생사, 그들이 살고 있는 배경 등을 주제로 한다. 클라파 전통의 전수자 및 연행자들은 그들의 선대로부터 전통을 물려받은 숙련된 아마추어들이다. 그들의 연령대는 매우 다양해서, 많은 젊은 가수들이 연장자인 가수들과 함께 노래하기도 한다.
‘전통 클라파’는 그 지식이 구전을 통해 전승되어 왔다. ‘축제 클라파’는 공연과 발표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공식적으로 조직되며, 현대의 클라파는 젊은 가수들이 공연에 참여하고 녹음된 음악을 들으면서 경험을 쌓는다. 이 지역사회에서는 클라파를 다양성, 창의성, 소통에 대한 존중의 정신을 담은, 그들의 음악 전통성을 상징하는 주된 표식으로 여기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6BD505CBD685D21)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055505CBD685D1F)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54F505CBD685D2A)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423505CBD685E26)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057505CBD685E1F)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099505CBD685F1F)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C2B505CBD685F17)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55B505CBD686021)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FF8455CBD68602A)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국가 : 크로아티아(Croatia)
등재연도 : 2012년
지역정보 :
클라파 노래는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크로아티아 남부의 달마티아 지역과 깊은 연관이 있다. 클라파 노래는 민속 전통의 하나로, 연안의 도시 및 두브로브니크(Dubrovnik), 스플리트(Split), 시베니크(Šibenik) 및 자다르(Zadar) 자치주 등의 교외 지역, 달마티아 섬, 그리고 배후 도시인 메트코비츠(Metković), 이모트스키(Imotski), 신(Sinj), 드르니시(Drniš) 및 크닌(Knin) 등에서 연행되었으며, 오늘날도 이 지역이 주요활동 지역이다. 1990년대 이래로 자그레브(Zagreb)와 리예카(Rijeka), 그리고 이스트리아(Istria) 전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클라파 중심지가 형성되었고, 클라파는 크로아티아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근 클라파 스타일의 가창이 큰 인기를 얻고 있어 크로아티아 국경 밖인 크로아티아 이민 사회(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도 연행되며 뿐만 아니라 다성부 가창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점점 더 많은 클라파가 연행되고 있다. 클라파 가창은 슬로베니아와 보카코토르스카(Boka Kotorska) 만에 있는 몬테네그로는 물론 헤르체고비나(Herzegovina)와 보이보디나(Vojvodina) 자치주까지, 이웃한 국가에서도 인기가 높다.
본문 :
클라파 가창은 달마티아 도시 지역의 다성부 가창 전통이다. 본래 ‘클라파’라는 이름은 달마티아 지역의 클랍스카 페스마(klapska pjesma, 클라파 노래) 중 특정한 레퍼토리를 부르는 중창단(4명~10명의 남성 가수들-클라파)을 일컫는 말이었다. ‘클라파’라는 용어는 ‘친구들 무리’를 뜻하는 말로, 19세기 중반에 달마티아 지방에서 나타났다. 당시에 나타난 중창단이 훗날 이 용어와 연관되었다.
중창단의 리더는 가장 높은 소리를 내는 제1테너이고, 여러 명의 제2테너, 바리톤, 베이스 가수가 뒤따른다. 다성부 가창, 아카펠라 단선율 가창, 구전, 그리고 단순한 음악이 전통적인 클라파의 주된 특징이다. 또 다른 특징은 곡조와 화음을 악보 기록에 도움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다. 공연하는 동안 가수들은 일관된 형태로 반원형을 이루어 조밀하게 붙어 서고, 필요시에는 손동작이나 리더인 제1테너의 움직임을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 제1테너가 노래를 시작하면, 제2테너와 제3테너가 동시에 노래하고, 베이스가 주요 음에서 특징을 주고, 바리톤이 화음을 채우는 특정한 방식(노래 공식)에 따라 다른 가수들이 뒤따라 노래를 부른다. 기술적으로, 클라파 가수들은 열린 후두음, 비음, 세레나데와 같은 소토보체, 아주 높은 음역에서는 팔세토를 이용해 느낌을 표현한다. 주목표는 가능한 한 최선의 화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클라파 노래는 흔히 사랑, 익숙한 인생사, 삶의 배경 등을 주제로 삼고 있는데, 역시 가장 흔한 주제는 ‘사랑’이다.
예능보유자 / 기능보유자 :
클라파 전통의 전수자 및 연행자들은 그들의 선대로부터 전통을 물려받은 숙련된 아마추어들이다. 대개의 경우는 비슷한 관심사나 직업별로 조직되는 경우가 많지만 교수와 농부 또는 의사와 어부가 함께 노래하는 것처럼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다만 노래하는 즐거움을 얻는 것이 비공식적으로는 물론 공식적으로도 클라파 그룹을 이루는 기본적이 바탕이다. 공연 무대는 물론이고, 거리의 한 모퉁이에서, 세레나데가 울리는 창문 아래에서, 코노바(konoba, 와인 저장실, 식당으로 발전했다.) 안에서도 흔히 클라파 공연을 볼 수 있다.
연행자의 연령대는 매우 다양해서, 많은 젊은 가수들이 더 나이가 많은 가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함께 노래하기도 한다. 아버지와 아들, 또 다른 가족 관계로 엮인 가수들을 클라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음악적·사회적 맥락을 고려할 때, 클라파는 역사적으로 널리 퍼진 몇 가지 모델이 있는데, 전통 클라파, 축제 클라파, 현대 클라파로 구별할 수 있다. 조직화된 클라파 모델의 경우에는 전승 과정에서 새로운 역할이 도입되었다. 즉, 클라파 리더와 작곡가들은 꼭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개 훈련을 받은 전문가인 경우가 많다. 클라파의 인기가 높아진 덕분에 최초의 클라파 가창 축제, 다양한 클라파 축제 및 공연 활동의 네트워크가 조직되기도 했다. 수년에 걸쳐 클라파 그룹, 가수, 리더, 작곡가, 연행자는 점점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들은 클라파 가창 운동의 창시자로서 달마티아 지역에서 뿐만 아니라 지방과 지역사회의 경계를 넘어서까지 클라파를 널리 전파하였다.
전승 정보 :
각각의 클라파 모델에 따라서 클라파 가창의 전통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저마다 고유한 방법으로 전승받 있다. 우선 구전 방식으로만 다음 세대에 지식을 전달하는 전통 클라파의 경우, 클라파 파그(klapa Pag)·클라파 프르비치(klapa Prvić)·클라파 벨라 루카(klapa Vela Luka) 등이 있다.
축제 클라파는 명확한 목표가 있는, 공적으로 조직된 가수 그룹이다. 노래를 부르는 즐거움 자체가 이들을 묶어 주는 끈이지만 이들의 주된 목표는 노래 공연과 발표이다. 각각의 축제 클라파는 기본적인 지식 전달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훈련된 리더가 가수와 레퍼토리를 선택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정기적으로 클라파를 연습하여 규칙적인 연습을 통한 스타일과 가창 기예를 반복하여 습득하는 식으로 전통 지식을 전승하고 있다.
현대 클라파의 경우, 젊은 가수들이 공연을 듣거나 다양한 클라파 녹음 음반을 듣고 감상함으로써 경험을 습득한다. 현대 클라파를 노래하는 가수들은 연습, 레퍼토리의 선정, 녹음된 매체를 통해 접근 가능한 가창 방법 등이 성공의 지름길이라는 사실을 점점 더 분명하게 깨닫고 있다. 따라서 자료로 보관되어 있는 음반, 다른 클라파의 음반 등이 지식 전달의 주된 방법이 되고 있다. 현대 클라파에서는 훈련된 리더가 담당하던 역할을 홍보 담당자, 콘서트 담당자, 클라파의 방송 홍보 담당자 등으로 나누어서 각자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구전 전통은 오늘날까지 모든 클라파 가수들 사이에서 살아 있다.
무형유산의 의미 :
지방 및 지역사회는 음악적 정체성의 핵심적 지표로서 클라파 가창의 전통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클라파 가창을 즐겁게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클라파 가창 공연에서 보여준 낙관주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메시지는, 앞으로도 클라파의 다양성, 창의성, 소통에 대한 존중의 정신을 통합하고 있으며, 클라파 가창을 지원하고자 하는 지역사회의 새로운 세대에게 하나의 역할 모델이기도 하다. 이들은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 국가 및 국제 공동체와의 관계에서는 물론, 지역사회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클라파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달마티아의 현대 생활에서 클라파 가창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다음 문장에서 더욱 뚜렷하게 알 수 있다.
“클라파 다성부 가창이야말로 달마티아의 사람들이 그들의 감정을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비록 연행자의 직업·이력 등은 완전히 다르지만, 클라파 가창은 오늘날까지 가장 견고한 음악적·사회적 생활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노래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의 영감의 원천이자 피난처와 같다. 한편, 가수들이 그들의 목소리를 훈련하여 조화를 끌어내고 최대한 완벽한 수준의 화음을 훈련한다는 것은, 민속을 전승한다는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창조함에 있어서도 특별하고 주목받을 만한 일이다.”
- 유레 샤반-스타니치(Jure Šaban-Stanić), 카슈텔 수추라츠(Kaštel Sućurac)
“클라파 그룹과 그룹의 일원이라는 인식은 가수들 개개인에게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끊어지지 않는 끈으로 한데 묶여 있으며, 클라파를 향한 사랑은 습관처럼 자연스러운 것이어서 클라파는 우리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이바나 보슈코비치 이비치치(Ivana Bošković Ivičić), 볼(Bol)
“클라파 가창은 슬라브의 영혼, 중창에 대한 애정, 지중해의 랩소디, 용맹함의 고유한 조합이다.”
- 유리차 보슈코비치(Jurica Bošković), 크로아티아 클라파 협회(Croatian Klapa Association)
[네이버 지식백과] 크로아티아 남부 달마티아의 클라파 다성부 가창(多聲部 歌唱) [Klapa multipart singing of Dalmatia, southern Croatia]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