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오만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Al ‘azi, elegy, processional march and poetry]
요약 : 오만 왕국(Sultanate of Oman)의 북쪽 지역에서 연행되는 알 아지(Al ‘azi)는 시를 노래로 부르는 장르이다. 오만의 문화적·음악적 정체성이 잘 나타나는 것 가운데 하나로, 발걸음과 칼의 움직임, 노래하는 시인과 합창단 사이의 시적 교류가 강조되는 시가(詩歌) 경연의 형태를 띤다. 한 촌락이나 한 부족에서 여러 사람이 참가할 수 있고, 아랍어로 된 시를 즉흥적으로 짓거나 외워서 낭송하는 시인이 이들을 이끈다. 참가자들은 시인의 동작이나 낭송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가 적절한 대꾸와 동작으로 응답해야 한다. 낭송되는 시는 자신의 부족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고, 중요한 인물이나 역사적 순간 등을 칭송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알 아지는 기존의 시를 창조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공동체의 문화적·지적인 요소를 풍요롭게 하며, 사회의 구전 문화를 보존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단결과 소통을 장려하고, 사회 구성원 사이의 이견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사회적 자부심과 힘, 그리고 단결의 상징으로서 알 아지는 모든 국가적·사회적 행사에서 연행된다. 2012년 현재 100여 개의 그룹이 알 아지를 연행하고 있다.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국가 : 오만(Oman)
등재연도 : 2012년
지역정보 :
오만의 문화와 정체성을 대변하는 알 아지는 오만 토후국 북쪽 지역의 여러 부족사회에서 연행되고 있다. 도시와 촌락의 행사에서 오랫동안 연행되어 오면서 알 아지는 오만의 여러 부족 사회가 지니는 집단적 기억(collective memory)을 전승하는 역할을 한다.
부족 중에는 대중적인 공연 예술을 전문으로 하는 그룹이 많다. 알 아지는 오만의 북쪽 지역에서 연행된다. 이들 지역은 단크(Dank)·이브리(Ibri)·양쿨(Yanqul) 등을 포함하는 알다히라흐(Al-Dhahirah) 지방, 소하르(Sohar)·알수웨이크(Al-Suweiq)·사함(Saham)·루스타크(Rustaq) 등을 포함하는 알바티나흐(Al-Bathinah) 지방이다. 또한 알무타이비흐(Al-Muthaibih)·이브라(Ibra)를 포함하는 샤르키야흐(Sharqiyyah) 지방, 나즈와(Nazwa)·바흘라(Bahla)·사마일(Samail)·아담(Adam)·비드비드(Bidbid)를 포함하는 알다흘리아(Al-Dakhlia) 지방, 무스카트(Muscat) 지방 등이 있다.
본문 :
알 아지는 행진하면서 시를 노래로 부르는 장르이다. 검을 든 개인 가창자와 합창단 사이에 노래를 메기고 받는 식의 시적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 경연이다. 이는 오만 검예(劍藝, Sword Art)의 하나로 여겨진다.
알 아지의 시에는 리듬감 있는 북의 반주가 없다. 알 아지는 부족 사회의 문화에서 생긴 시의 장르로, 그 기능은 소속감을 갖게 하는 역할과 역사적 일화를 표현하거나 부족과 중요한 인물 및 역사적 사건 등을 찬양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장르는 기본적으로 오만의 베두인족(Bedouin)과 다른 여러 부족의 일상생활에 스며들어 있는 전통이다.
알 아지는 또 시인의 기량이 강조되는 개인 예술이기도 하다. 모든 것이 시인의 아랍어 지식과 이를 시로써 완벽하게 구사하는 데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전통은 부족 사회의 일상생활, 역사적 사건과 관계된 시를 부단히 새롭게 함으로써 부족 사회의 집단적 기억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연행의 음악적 구조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요소인 시인은 부족 내부의 생활과 역사적 사건, 다른 부족과의 관계 등을 설명하는 내용을 즉흥적으로 가미시키기도 한다. 시인은 그의 뒤에 줄지어 따르는 많은 창자(唱者)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
예능보유자 / 기능보유자 :
오만의 여러 지역에서 많은 그룹이 알 아지를 연행한다. 알 아지를 연행하는 그룹은 한 촌락이나 부족 내의 여러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그룹 또는 그 이상의 그룹이 시를 낭송하는 지도자인 시인이 이끄는 대로 하나의 리듬으로 알 아지를 연행할 수 있다.
알 아지의 연행자에게는 알 아지의 규칙을 준수하고 이를 유지하여 다음 세대에 전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알 아지의 지도자는 시를 낭송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능력은 목소리의 우수성과 힘, 그리고 얼마나 많은 시를 암기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는 또 언제 발걸음과 칼을 움직일지, 참가자들의 동작과 행렬의 맨 뒤에서 벌어지는 연행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연행자들은 지도자의 움직임과 그가 낭송하는 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뒤따르는 연행자들은 이 연행에 알려져 있는 내용을 또록또록한 목소리로 똑같이 표현하여 응답해야 한다. 연행자들 역시 칼 동작에 대해서 알아야 하며, 동작에 대한 훈련도 받아야 한다.
알 아지를 자식에게 전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식에게 나이 많은 사람과 연행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녀가 올바른 연행 동작을 배우고, 이를 통해 알 아지의 독창성과 규칙을 지속할 수 있다.
전승 정보 :
20년에 걸쳐 활기를 되찾은 알 아지는 이제 오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그 연행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알 아지의 시적 풍부함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연행자도 많다. 학생들은 고등학교와 대학의 문화·예술 강좌에서 알 아지 연행을 배운다. 이런 점에서 알 아지는 오만의 음악과 문화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지만 지난 30년 동안 오만에서는 도시화와 중산층의 출현 등 사회적·문화적 변화로 인해 유목민 음악의 역사적 기반이 약화되었다. 베두인족의 대규모 이동도 거의 모두 사라져 버렸다. 이후 여러 해에 걸쳐 역사학·인류학·언어학·문학·음악학·민족음악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문화유산부와 교육부의 협조로 학교에서도 알 아지에 대한 인식 제고의 노력이 이루어져 여러 가지 활동과 예술, 문화 강좌를 통해 알 아지 교육을 장려하고 있다.
무형유산의 의미 :
알 아지는 이 예술을 연행하는 사회나 부족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여러 사회나 국가적 행사에서 알 아지를 연행하는 사람들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알 아지를 연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무리를 지어 행진하면서 연행하는 알 아지는 사회 구성원의 단결과 평등을 표현한다. 또한 국가와 부족 그리고 지도자에 대한 긍지를 표현하기도 한다. 알 아지의 문화적·사회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이웃이나 부족의 사람들이 모여 알 아지를 연행하는 방식은 단결과 소통을 표현하며, 연행을 통해 사회 구성원 사이에 있는 모든 이견을 해소하려고 한다. 따라서 알 아지가 사회의 긍지와 힘, 그리고 단결을 나타내는 모든 국가적·사회적 행사에서 연행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2. 알 아지는 해당 지역사회의 문화적·지성적 측면을 풍요롭게 해준다. 알 아지 연행은 사회 구성원이 창작해나가는 시에 의존한다. 알 아지는 두 가지 요소를 통해 해당 지역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첫째는 시의 창의성과 새롭게 정보가 더해지는 시의 진화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알 아지의 시는 지역 사회의 지적 풍요로움을 표현한다. 둘째는 알 아지의 연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알아지는 평등하게 일렬로 선 사람들이 같은 동작으로 연행한다. 그리고 알 아지 시를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승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구술 기억(oral memory)을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알 아지 문화 - 애가(哀歌), 행진, 시 [Al ‘azi, elegy, processional march and poetry]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