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알제리, 말리, 니제르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309)

eorks 2020. 4. 9. 02:55

세계무형유산 /알제리, 말리, 니제르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Practices and knowledge linked to the Imzad of the Tuareg communities of Algeria, Mali and Niger]
요약 : 임자드(Imzad)는 투아레그(Tuareg) 족의 음악 장르를 상징하는 악기와 그 음악 유형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임자드는 1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현악기로 여성들만이 악기를 만드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임자드 악기의 제작과정은 세 단계로 나뉜다.

- 말려서 속을 파낸 박으로 몸통을 준비한다.
- 껍질에 장미 모양으로 한 두 개의 소리구멍을 뚫는다.
- 나무 부품을 준비한다. 브릿지는 짤막한 두 개의 막대로 V자 모양으로 만들고, 목은 한 뭉치의 말 털로 악기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을 연결한다. 그리고 둥글게 휜 나무막대를 말의 털을 양 끝에 묶어 활로 사용한다.

임자드 음악을 연주하는 여성은 임자드 악기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앉아서 연주한다. 여성 연주자는 가끔 말 털로 만들어진 하나의 현에 송진이나 침을 발라 보통 D음으로 맞춘다. 임자드를 연주하는 동안, 연주자는 의식을 주최한 주인의 자리인 중앙에 앉아 모든 참여자의 행동을 통제한다. 연주자의 머리는 악기를 향해 약간 기울인다. 선율은 시적이기도 하고 음악적이기도 하다. 여성 연주자들은 공동체의 기억 속에 있는 옛 영웅의 모험 및 공적과 관련 있는 전통적 가사를 연주한다. 남성들은 임자드 연주자의 반주에 그들 자신의 노래나 대중문화의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국가 : 알제리(Algeria), 말리(Mali), 니제르(Niger)
    등재연도 : 2013년
    지역정보 :
    아하가르(Ahaggar) 지역; 아제르(Ajjer)- 알제리/리비아; 아다그(Adagh) - 알제리/말리; 팀북투(Timbuktu)와 가오(Gao), 아자와그(Azawagh) - 말리/니제르; 타멘스나(Tamesna) - 말리/니제르; 아이르(Aïr), 아데르(Ader), 마라디(Maradi)의 북부, 다메르고우(Damergou)- 니제르, 오우달란(Oudalan) 지역 - 부르키나파소 그리고 차드(Chad) 동부의 키닌(Kinin) 지역.
    예능보유자 / 기능보유자 :
    임자드의 관습적 요소를 전승하고 있는 사람들은 악기를 만드는 여성들, 악기를 연주하는 여성들, 시를 짓고 암송하거나 노래하는 남성들이다. 또 변조음이나 고음의 외침소리를 내거나 여성들을 위해 ‘유-유’ 외침소리를 내면서 목소리로 함께 하는 여성과 남성들도 전승자이며 연주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전통을 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임자드는 다양한 행사에서 연주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행사는 아할 의식(Ahal ceremony)인 것으로 보인다. 이 의식에서는 캠프 장소에서 음악과 시가 어우러진다. 이러한 시와 음악의 만남은 언제나 ‘탐그하르트 느 아할(tamghart n ahal)’ 라고 불리는 대모의 관리 하에서 연행된다(투아레그는 모계중심 사회이다). 이 대모는 투아레그 족의 조직체를 돌보고 기관을 통치하며 도덕적·미적·행동적 규칙을 확립하는 역할을 한다.

    대모는 이 연주회의 지휘를 담당한다. 한편 시인들은 대모 가까이에 있으려고 노력하는데, 거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시인이 대모 곁에 자리 잡음으로써 연주자가 시인들 곁에 앉게 되는 것을 뜻하며, 두 번째로는 시인들의 작품이 임자드의 시적·음악적 레퍼토리와 엮이어 시인들이 만든 시가 작품으로서 굳어지고 오랫동안 전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자드의 지식과 전통은 투아레그 공동체의 기술인 대장간 기술 같은 다른 기술의 경우처럼 특정한 집단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임자드에 관한 지식은 일상생활에서 관찰되고 전수받음으로써 습득된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임자드에 흥미와 재능을 가지고 있어서 투아레그 족에게 인정과 존중을 받는다.

    전승 정보 :
    임자드 음악 지식의 전수와 학습은 관찰 및 동화라는 전통 방식에 따라 구전으로 전승된다. 이런 전파 방식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가치 및 기술을 영구적으로 전승·재현하는 전통 지식의 사회화를 실현시켜 준다. 이러한 구전 전승 방식은 임자드 문화를 습득하는대로 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에 좋다. 투아레그 언어인 타마세크(Tamashek, 팀북투 인근에서 쓰이는 투아레그 언어)는 학습 언어이다. 임자드 음악에 맞춰 노래를 하는 시인은 스스로 작시를 터득하고 암송할 수도 있고 다른 시인들이 낭송한 내용을 들어서 시를 혼합하여 만들기도 한다.

    음악적인 노래와 마찬가지로 공동체에게 전해지지 않는 작자 미상의 임자드 작품은 공동 문화적 배경의 일부가 되었으며, 역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다. 임자드 음악 작품들이 계속해서 전승되는 것은 동반되는 임자드 악곡이 지속적으로 전승된다는 것을 뜻한다. 알제리·말리·니제르 세 국가에서, 임자드의 제작 기술 및 예능은 축제, 축하행사, 환영행사, 야간행사, 문화적 모임 등과 같은 행사와 의식에서 전해지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임자드 대회나 어린 소녀들에게 악기 연주법을 가르치는 워크숍과 같은 홍보활동으로도 전승되고 있다.

    무형유산의 의미 :
    임자드의 연주는 임자드 예능보유자인 여성들이 담당하고 있다. 임자드 음악에는 두 가지 주요한 기능이 있다. 첫 번째 기능은 악령을 쫓아내고 병자의 고통을 덜어주는 치료적 기능이며, 또 다른 기능은 남성들이 시적 노래를 붙여 부르는 오락의 기능도 있다. 임자드 음악은 영웅이라고 할 만한 남성들의 정직함과 용감함을 찬양하는 도구로도 쓰인다. 그리고 의사소통과 교육의 수단이기도 하다.

    임자드의 소리는 연주자의 감정이 표현되고 연주자의 기분을 나타내기도 한다. 임자드 악기는 부족에게 중요한 사건을 예견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만약 연주자가 임자드를 연주할 때 주인의 손가락 사이에서 소리가 나지 않으면 불행이 닥칠지도 모른다고 여겨진다. 임자드 음악은 투아레그 사회에 널리 퍼져있기 때문에 그 사회의 가장 상징적 사회 문화적 관습이다. 멀리 여행을 떠난 남성들도 임자드 음악을 들으면 이전에 자연 속에서 보낸 일상생활과 그들이 머물렀던 안식처에 대한 온화한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 임자드 음악은 대지의 어머니로서의 여성의 전통적 지위와 역할을 표현하는 동시에 모든 투아레그 공동체가 공통의 문화공동체임을 반영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 알제리, 말리, 니제르 [Practices and knowledge linked to the Imzad of the Tuareg communities of Algeria, Mali and Niger]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