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러시아연방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
[Bolgar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Complex]요약 : 볼가르(Болгар) 역사고고유적군은 볼가(Volga) 강이 카마(Kama) 강과 합류하는 지점의 남쪽 연안, 즉 타타르스탄(Tatarstan, 타타르공화국)의 수도 카잔(Kazan)의 남쪽에 있다. 서기 7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존재했던 볼가 볼가르(Volga-Bolgars, volga-bulgar) 문명의 초기 정착지이자 13세기 이른바 ‘황금 군단(Golden Horde)’ 즉 금장한국(金帳汗國, 킵차크한국)의 첫 수도였던 중세 도시 볼가르(Bolgar)의 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이다. 볼가르 유적은 역사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문화 교류, 그리고 문명 · 관습 · 문화 전통의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했던 곳으로, 유라시아 지역이 수 세기에 걸쳐 변모해온 과정을 보여준다. 이 유산은 역사적 지속성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특별한 증거이며, 서기 922년 볼가 볼가르국이 이슬람을 수용하였음을 증명하는 상징적인 유산으로 오늘날까지 타타르 무슬림에게는 성스러운 순례지로 남아 있다.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
국가 : 러시아연방(Russian Federation)
위치 : 타타르스탄(Tatarstan)
좌표 : N54 58 44,E49 3 23
등재연도 : 2014년
탁월한 보편적 가치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은 카마 강과 합류하는 볼가 강의 남쪽 연안 지역에 있다. 서기 7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존재했던 볼가-볼가르 문명의 초기 정착지였던 중세 도시 볼가르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볼가르는 13세기에 이른바 ‘황금군단’ 즉 금장한국(또는 킵차크한국) 최초의 수도였으며, 뒤이은 카잔한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던 곳이다. 유적지에는 유서 깊은 해자 및 성곽, 그리고 지금은 다른 용도로 쓰이게 된 옛 모스크, 미너렛(minaret, 모스크의 첨탑), 여러 기의 영묘, 목욕탕, 칸의 궁전 및 성지 유적을 포함하는 다수의 종교 · 문화 구조물 등과 함께 한국의 공간적 맥락이 보존되어 있다.
볼가르 유적은 역사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문화 교류, 그리고 문명 · 관습 · 문화 전통의 형성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유라시아 지역의 수 세기에 걸친 변화상을 보여준다.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은 역사적인 지속성과 문화적 다양성, 그리고 특히 볼가 볼가르국, ‘황금 군단’, ‘카잔한국’, 그리고 러시아 국가 시대 문화전통의 상호 영향에 대한 특별한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볼가르는 무역 · 경제 · 문화 · 정치적 소통의 교차로에 있었기 때문에 유목 문화와 도시 문화가 교류했던 증거 또한 남아 있다.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은 서기 922년 볼가 볼가르국이 이슬람을 수용했음을 증명하는 상징적인 유산으로서 오늘날까지 타타르 무슬림에게는 성스러운 순례지로 남아 있다.
완전성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은 부지 내 고원지대와 도시를 둘러싼 성채 외곽 지역을 역사적으로 잇따라 차지하였던 여러 문명이 남긴 흔적이 다층적으로 완벽하게 남아 있는 유적이다. 아울러, 유적지 부지 북쪽의 비교적 낮은 지대와 볼가 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발달한 볼가 볼가르국의 초기 촌락도 모두 포함된다. 아직까지 고고학적 자원의 상당 부분이 어떠한 증거를 품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유적지에서 고고학적 발굴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어떤 중요한 유물이 출토될지 앞으로 두고 봐야 한다.
지난 3세기 동안에 걸쳐 이루어진 개발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유산의 완전성은 위협받아 왔다. 러시아는 1년에 한 번, 순례 기간에 순례자들을 위해 설치했던 텐트촌을 유산의 중심지역에서 철거함으로써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유적지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기반 시설은 이미 완성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에 뒤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향후 유적에 대한 접근 또는 관광객을 위한 해설을 할 때는 보다 신중한 사전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어떤 접근을 시도하기에 앞서, 자문 기구와의 협의 하에 세계유산센터(World Heritage Centre)의 승인을 얻기 전 유산영향평가(Heritage Impact Assessments, HIA’s)를 먼저 실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진정성
유적지 내에 건축물과 기타 침입 요소가 상당하기 때문에, 전체 유적군은 영향을 받아왔으며, 심지어 볼가 볼가르 문명을 입증할 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가 훼손된 사례마저 있었다. 재건축과 부분 개축을 포함하여 유산에서 행해진 과거의 보존 활동도 이에 포함된다. 또 다른 사례에서는 복원 조치가 너무 광범하고 명확한 근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자재와 내용, 기술과 배경의 측면에서 진정성이 훼손되기도 하였다.
반면, 유산을 구성하는 성곽과 해자는 완벽한 상태로 진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상당히 큰 규모의 고고학 유적지 역시 향후 조사연구 및 발굴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타타르 무슬림에게 그 입지, 정신, 정서의 관점에서 종교적인 기준점으로서 볼가르의 역할은 매우 높은 수준의 진정성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으며, 이런 세 가지 관점은 종교적 가치를 보완하고자 최근에 추가된 종교 구조물에 의해서도 변함없이 지켜지고 있다. 타타르족 무슬림들은 이 지역 이슬람교의 탄생지로서 볼가르를 경외하여 왔으며, 해마다 이 역사고고유적을 찾아 순례 여행을 하고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소위 ‘대성당 모스크’, 검은 방(Black Chamber), 북쪽 영묘(靈廟)와 동쪽 영묘, 칸의 성지(Khan’s Shrine), 소(小) 미너렛과 성모 마리아 영면 교회(Dormition of virgin Mary) 등 유산의 경계 안에서 발견된 기념물과 고고학 유적은 러시아연방의 ‘문화유산에관한연방법(역사 및 문화 기념물(Federal Law on Properties of Cultural Heritage(Monuments of History and Culture))’에 의거하여 국가적 수준의 중요성을 지닌 문화유산으로서 등록되어 있다(2002년).
아울러, ‘볼가르국 역사 · 건축문화 보호구역(Bolgar State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Cultural Preserve)’ 전체가 ‘연방의(러시아 전체) 역사 및 문화유산 목록 승인에 관한 러시아연방대통령령(Edict of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on the Confirmation of the Federal (all-Russi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List)’에 의거한 ‘역사적 중요 문화재 목록(List of Properties of Historic Importance)’에 등재되었다(1995년).
2013년 등재 당사국은 ‘볼가르 토지 기획에 관한 일반계획(General Plan and Scheme of Bolgar Territorial Planning)’을 수정하였고, 그 결과 현재는 완충지역에서 중요한 변경을 가할 때에는 연방과 지역, 시 집행기관의 허가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 향후, 유적의 경계 내에서의 개발 사업은 자문 기구와의 협의 하에 UNESCO 세계유산센터가 사전 승인하는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서만 허용하는 것으로 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을 관할하는, 각 분야의 유산 전문가와 학자들이 고용된 별도의 관리 기구(유적 관리청)가 설치되어 있다. 유적 관리청은 전시와 소개, 박물관 컬렉션, 연구 및 대중 홍보, 유지 및 보안 등의 4개 핵심 영역으로 업무를 나누어 전담하고 있다. 유적 관리청은 ‘문화유산의 보존 · 이용 · 홍보 · 공개 보호에 관한 본청(Head Office for Conservation, Use, Promotion and Public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을 통하여 타타르공화국의 문화부에 보고한다. 관리청의 예산은 넉넉한 편이며, 유산의 완전성 및 진정성 조건에 위반될 수도 있는 건축물의 신축이 아닌, 비침입성 연구조사활동과 적합한 보존 및 보강 조치에 우선적으로 예산을 배정하도록 되어 있다.
유산에 관한 수정된 등재 신청서를 제출할 즈음, 관리 계획에 관한 기본 지침이 입안되었고, 유산의 조율 및 관리, 지속적인 연구, 고고학 유적 및 유물의 보존 및 관리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중점 사안이 확정되었다. 기본 지침은 향후의 연구조사가 부지의 개발 및 지형의 특이성에 관한 중요 질문에 초점을 맞추고 자연과학 분야, 항공 지도 제작, 우주 위성 정보의 처리 등에서 적용하는 기술 및 방법을 포함하여 비파괴적인 방법을 기반으로 삼을 것을 적시하고 있다. 관리 계획은 최종 승인의 단계가 남아 있고, 향후 유산을 위한 가능한 최적의 관리 조치를 확보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갱신될 것이다.
등재기준
•기준 (ii):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은 역사적으로 잇따라 등장한 여러 갈래의 문화 전통과 지배자 사이에 있었던 교류와 재통합을 증명하며, 이러한 사실이 영향을 미쳐 건축과 도시 계획, 조경 디자인에 반영되어 있다. 이 유산은 투르크, 핀우그리아(Finno-Ugric), 슬라브의 전통을 비롯한 여러 갈래의 문화적 교류를 증명한다. 건축 양식의 교류에 관한 증거 중에는 산림이 우거진 지역에서 발견되는 목조 건축물, 투르크어 계열 부족이 남긴 스텝(steppe, 대초원) 요소, 이슬람과 유럽-러시아 양식을 채택한 오리엔탈 풍의 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기준 (vi): 볼가르는 오늘날까지 타타르 무슬림, 좀 더 광범하게는 유라시아 무슬림 집단에게 지역적 기준으로 남아 있다. 이 유적이 지니는 종교적 · 정신적 가치는 해마다 순례 시즌이 돌아오면 명백하게 증명된다. 볼가르 유적지는 서기 922년 볼가 볼가르국이 이슬람을 국교로 공식 채택한 뒤 처음 자리를 잡은 곳인 최북단 지역에서 형성된 무슬림 영향권에 대한 증거를 보여주며, 나아가 보다 광범한 지역적 경계 내에서 있었던 문화와 건축의 발달에 미친 지속적 영향에 관한 증거를 제공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 [Bolgar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Complex]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