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에 대한 다양한 생리 활성을 검정할 계획이다.

<약재의 활용방법>
열매
가을에 열매가 누렇게 익었을 때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폐경,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폐를 튼튼하게 하고 담을 삭이며 단단한 것을 흩어지게 하고 대변을 잘 통하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항암작용이 밝혀졌다.
담열로 기침이 나는데 흉비, 결흉, 폐위, 소갈, 황달, 변비, 부스럼 초기에 쓴다.
하루 12~30g을 달여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다.
외용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비위가 허한하고 대변이 묽으며 한습담이 있는데는 쓰지 않는다.
하늘타리 열매껍질은 폐렴, 이질, 황달, 콩팥염, 요로감염, 기관지염, 편도염, 젖앓이, 부스럼, 덴데 등에 쓰고 하늘타리 줄기와 잎은 더위를 먹고 열이 나는데 쓴다.

씨앗
가을에 열매가 누렇게 익었을 때 따서 씨를 받아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폐를 튼튼하게 하고 대변을 잘 통하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항암작용을 나타내고 사포닌성분이 가래를 삭이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담, 열담으로 인한 기침, 마른기침, 기관지염, 변비 등에 쓴다.
하루 9~12g을 달이거나 가루약, 알약으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으로 쓸 때는 가루내어 기초제로 개어 바른다.
오두와 섞어 쓰면 독성이 세지고 건강과 섞어 쓰면 독성이 약해진다.

뿌리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 겉껍질을 벗긴 다음 썰거나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폐경,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추며 담을 삭이고 독을 풀며 부스럼을 낫게 하고 고름을 빼낸다.
또한 달거리를 통하게 하고 황달을 낫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적리균을 비롯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균작용을 나타낸다.
소갈병, 기침, 젖앓이, 부스럼, 치루, 달거리가 없는데, 황달 등에 쓴다. 하루 9~12g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형태로 먹는다.
외용으로 쓸 때는 가루내어 뿌리거나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