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명 : 조황연.상황련.천연.황연.토황연.모황련분포지 : 남부. 중부. 북부지방의 산골짜기 낮은 곳 개화기 : 4 - 5 월 꽃 색 :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결실기 : 7 월 높 이 : 25 cm 안팎 특 징 : 원줄기는 없고 뿌리줄기에서 여러개의 잎이 나온다. 잎이 연잎을 축소한 모양 같아 황연이라 한다. 용 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효 능 : 뿌리 줄기를 이뇨. 하리. 당뇨. 임질 건위 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복통과 설사에 깽깽이풀 뿌리 1 - 2 돈을 물 2홉에 넣고 그 반이 될 때까지 달여서 1일 3번씩 식후에 데워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원래 위장이 약한 사람도 평상시 복용하면 위장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다.<단방요법> 황련(깽깽이풀) 강장 동맥경화 병후쇠약 중풍 피부병에 효험
▶ 항미생물 작용 및 항병원충작용, 순환계에 대한 작용, 아세틸콜린 등에 대한 작용, 평활근에 대한 작용, 담즙의 분비와 혈액에 대한 영향, 항암 작용, 항방사선 작용 및 세포 대사에 대한 작용,강장, 동맥경화, 중풍, 어지럼증, 병후쇠약, 피부보호, 변비, 염증약, 진정약, 신경불안, 소화불량증, 위염, 눈염증, 류마티즘, 출혈, 매독, 방사선피해, 유행성 열병, 장티푸스, 열이 나며 번민하는 병, 비만구역(痞滿嘔逆), 세균성 이질, 열성 설사 및 복통, 폐결핵, 구토, 코피, 하혈, 소갈증, 감적, 회충, 백일해, 인후의 부종 및 동통, 트라코마 결막염, 눈의 충혈 및 염증, 구창(口瘡), 옹저 창독, 습진, 화상,
탕상에 효험 황련은 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에 속하는 산지의 수풀이나 그늘지고 습한 땅에서 자라는 늘푸른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가 10~27cm이며, 땅 속에 검은빛을 띤 노란 뿌리 줄기가 옆으로 뻗고 잔뿌리가 많다. 잎은 3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두껍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이고, 3~4월에 꽃줄기가 자라서 하얀 꽃이 핀다. 열매는 대과(袋果)로 방사상으로 달리고 씨앗이 검고 둥글다. 우리나라 남부, 중부, 북부의 산골짜기에서 자생한다.
해설: ① 습열이 장위(腸胃)에 쌓여서 일어나는 설사, 이질에 현저한 반응을 보 이고, ② 위열로 인한 구토에 유효하다. ③ 또한 명치끝이 갑갑하며 단단한 덩어리가 만져지고 누르면 통증을 호소 하는 증상에 탁월한 반응을 보인다. ④ 열을 내리고, 해독 작용이 신통하며, ⑤ 위장의 화(火)로 인하여 음식의 소화가 지나치게 잘 되고, 가슴 속이 답 답하고 편안치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갈증이 나 면서 음식을 많이 먹는 소갈증에유효하며, 이로 인한 치통에도 쓰인다. ⑥ 간화(肝火)로 협통이 있는 것을 제거시키고, ⑦ 심화(심화)를 내리므로 가슴 속이 답답하면서 편안치 않고 잠을 이루 지 못 할 때에 쓰인다. ⑧ 열로 인한 코피, 토혈, 변혈에 활용되며, ⑨ 열로 인한 정신혼몽, 의식불명과 헛소리를 할 때에 해열 작용을 한다. ⑩ 열로 인한 종기 및 각종 염증(특히 귀, 눈 등의 염증)에도 널리 쓰인다. 성분: 베르베린(berberine) 5~8%와 그밖에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베르베린(berberine)은 비교적 강한 항균 작용이 있어 이질균, 결핵 균, 대장균, 녹농균, 뇌막염쌍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 연쇄상구균 에 억균 효과가 크고, ② 해열, 호흡, 흥분 작용과 진정, 근육 이완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에 일정 한 반응을 보인다. ③ 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 혈압을 내리는 데, ④ 여러 종류의 실험성 심장 박동 이상에 고르게 대항하는 작용을 보인다. ⑤ 국부 마취 작용이 있고, 이뇨 작용을 저지하며, 지사(止瀉)작용, 토끼의 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① 세균성 이질에 여러 제제를 복용시키고, ② 급성위장염, 장염, 소아복통, 설사에 임상 효과가 높다. ③ 구강과 얼굴의 염증을 치료하며, ④ 음식물 중독, ⑤ 폐결핵, ⑥ 사안(沙眼), ⑦ 화농성중이염, ⑧ 심박동 이상, ⑨ 고혈압, ⑩ 손가락 골수염, ⑪ 피부염 등의 치료에 유효하였다."
꽃이 진 다음 콩팥 모양의 잎이 무더기로 돋아난다.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황련):가을에 캐어 물에 씻어서 그대로 햇볕에 말리거나(모황련),
뿌리를 다듬고 뿌리 줄기만을 말린다. 동약 황련에는 미나리아재비과의 Coptis teeta, C. sinens is 등의 뿌리 줄기도 있다.
이 식물들에는 베르베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칼로이드가
약 7% 들어 있다.
노란 뿌리가 잇닿아 있다고 하여 황련이라고 한다.
또한 열대아시아에서 자라는 현삼과의 Picrorrhiza kurror
a Royles의 뿌리도 호황련이라고 한다.
쿠트킨 C23 H28 O12이라는 쓴맛물질이 3.4% 들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깽깽이풀뿌리줄기를 황련으로 쓴다.
성분:잎과 뿌리줄기에 알칼로이드와 사포닌이 있다.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베르베린으로 보고 있으나 확실치 않다.
뿌리 줄기의 용혈지수는 400, 거품지수는 1:10,000이다.
작용:베르베린은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그 작용기전은 집토끼, 개,고양이에게 먹이면 미주신경 말단의 전기자극과 아세틸콜린의 정맥 주사에 의하여 동맥압이 낮아지는 것을 강화시키고 콜린 에스테라아제 억제작용, 아세틸콜린작용 강화와 콜린반응신경계의 자극 전 도에 일정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 작용은 비교적 세지만 지속성이 적다.
이와 같은 작용기전으로부터 운동신경 골격근계에도 뚜렷한 항쿠라레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떼낸 장기에 대해서도 항아트로핀작용이 있다.
즉 동물의 새끼집을 수축한다.
베르베린은 시험관 안에서 흰색칸디다균과 피부사상균에 대한 센 살균작용이 있다.
그리고 페닐히드라진 빈혈 또는 토루이렌디아민 빈혈에도 효과가 있다.
베르베린은 이담작용도 세게 나타나는데 작용 지속시간이 긴 것이 다른 열물내기약과 다른 점이다.
전초로 만든 팅크는 개구리의 떼낸 심장에 매우 뚜렷한 강심작용이 있다.
응용:동의치료에서 염증약, 진정약으로 신경불안, 충혈 및 염증 등에 쓴다.
쓴맛건위약으로 소화불량증, 위염에도 쓴다. 눈염증에는 우림약으로 씻는다. 민간에서는 뿌리 줄기를 류마티즘, 설사, 피나기, 매독에 쓴다.
오줌내기약, 땀내기약으로도 쓴다.
황련해독탕:깽깽이풀뿌리줄기 3g, 속썩은풀뿌리 3g, 황경피나무껍질,나무열매 각각 2g으로 200ml되게 달여 상반신의 여러 가지 피나기, 고혈압, 정신병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삼황사심탕:장군풀뿌리, 속썩은풀뿌리, 깽깽이풀뿌리 각각1g에 뜨거운 물 100 ml를 넣고 3분 동안 끓여서 거른 후 한번에 먹는다.
토혈, 코피, 잇몸출혈, 뇌일혈, 동맥경화증에 쓴다.
황련탕:깽깽이풀뿌리줄기, 감초뿌리, 마른생강, 인삼, 계수나무가지, 대추 각각
3g, 끼무릇덩이줄기 6g으로 300ml되게 달여 배아픔, 위장병에 하루 3 번 나누어 뜨거울 때 먹는다.
우황환:우황(인조우황도 있다) 15g, 깽깽이풀/뿌리줄기 300g, 속썩은풀 뿌리
150g, 울금덩이뿌리 120g, 영사 90g, 치자나무열매 180g을 가루내 어 꿀로 반죽하고 한 알의 무게가 1.7g 되게 1,000알을 만든다.
열내림약, 강심약, 안정약으로 열이 나고 숨이 가뿐 데 쓴다.
한번에 한 알씩(어린이) 하루 3번 먹는다.
안궁우황환: 우황, 깽깽이풀뿌리줄기, 울금덩이뿌리, 치자나무 열매, 속썩은풀뿌 리, 서우뿔, 석응황, 영사 각각 60g, 진주 30g, 사향 15g,용뇌15g 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고 한 알의 무게가 2g 되게 500알을 만들 어 금 박을 씌운다.
청열약, 독풀이약, 진정약, 흥분약으로 쓰는데 특히 일본뇌염 으로 머리가 심히 아프고 혼수상태에 빠졌을 때 한번에 1~2알씩 먹는다. 어린이는 반 알~한 알씩 하루 1~2번 먹는다.
참고: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Haplophyllum dubium의 잎에서 두비니딘, 하플 로 필리딘이라는 알칼로이드가 약 1% 얻어졌는데 진정약, 아픔멎이약으로 쓰이고 있다. 포도필룸(Podophyllum peltatum L.) 식물은 높이 약 5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손 바닥 모양으로 갈라졌으며 갈래조각은 다시 얇게 2개로 갈라졌다. 봄철에 흰 꽃이 한 개 핀다. 여러나라에서 재배한다. 뿌리 줄기의 알코올 추출물에 물을 넣으면 수지가 가라앉는다. 이 수지(포도필린수지)에는 결절성 입체 이성체인 포도필로 톡신과 피크로포도필린이 들어 있다. 또한 α- 및 β-펠라틴이라는 결정성 물질과 그 배당체도 있다. 뿌리 줄기 및 수지는 설사약으로 만성 변비에 쓴다. 한번에 수지 0.005~0.05g을 먹는다. 뿌리 줄기를 끓는 알코올로 우려서 알코올을 거두고 물을 넣으면 약 10%의 거둠률로 수지가 가라앉는다. 이것을 말려 가루로 만든다. 또한 열물내기약으로 열물분비장애에 쓴다. 중요하게는 후두나 방광의 유두종을 치료하는 데 쓴다. 콜키신처럼 세포 분열 중기에 유사분열을 차단하여 세포분열을 억제한다. 많이 쓰면 장출혈을 일으키는 극약이다. 인도(카슈미르 지방)에서 자라는 P. emodii Wallich의 뿌리 줄기도 성분 및 약효가 포도필룸과 같다. 중국에서 자라는 P. versipelle Hance의 뿌리줄기는 귀구라 하여 뱀독을 푸는 데 쓴다. 팔각련 P. pheianthum의 뿌리 줄기도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데 쓴다. 황련의 약리작용에 대해서 중국의<중약대사전>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약리작용] 1, 항미생물 작용 및 항병원충작용
2, 순환계에 대한 작용
3, 아세틸콜린 등에 대한 작용
4, 평활근에 대한 작용
5, 담즙의 분비와 혈액에 대한 영향
6, 항암 작용, 항방사선 작용 및 세포 대사에 대한 작용
7, 기타 작용
8, 흡수, 분포, 배출
9, 독성실험 berberin은 부작용이 극히 적어 장시간 복용해도 아무런 장애가 나 타나지 않았으므로 안전성이 상당히 높은 약제이다. berberin을 1회에 2.0g 복용하거나 황련의 분말 100g을 연속 복용하여도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동물 실험에서도 독성은 매우 낮고 마우스에 내복시켜도 대부분 사망을 일으키 지복강 내 주사의 MLD는 0.01g/kg이고 LD50은 0.066g/kg였다. 황백(黃柏)은 0.52g/kg, 황련은 0.73g/kg이라는 보고도 있다. 고양이에게 0.1g/kg 내복시킨 결과 전신 활동이 정지되고 구토하고 8~10 일후에 죽었다. 호흡은 처음에는 빨라졌고 그 후 마비되었으며 사망 직전에 경련을 일으켰다." 황련은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오보본초>:"신농, 기백, 뇌공은 쓰고 독이 없다 하였고 이씨는 약간 차다 고 하였다." 심장, 간장, 위장, 대장경에 작용한다. 화(火)를 풀고 습을 제거하며 해독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유행성 열병, 장티푸스, 열이 나며 번민하는 병, 비만구역(痞滿嘔逆), 세균성 이질, 열성 설사 및 복통, 폐결핵, 구토, 코피, 하혈, 소갈증, 감적, 회충병, 백일해, 인후의 부종 및 동통, 트라코마 결막염, 눈의 충혈 및 염증, 구창(口瘡),옹저 창독, 습진, 화상, 탕상 등을 치료한다. 하루 2~4g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또는 가루내어 복용 한다. 외용시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개어서 바른다. 눈병에는 황련을 달인 즙으로 씻거나 물에 담근 즙으로 점안 한다.
주의사항으로 음이 허하여 번열이 나고 위가 허하여 구토하거나 오심한 환자, 비가 허하여 설사하는 환자, 오경(五更: 새벽 3시에서 5시경)에 설사하는 환자는 복용을 삼가야 한다. 1, <신농본초경집주>:"황련은 황금, 용골, 이석(理石)을 사약(使藥)으로 한다. 국화, 원화(芫花), 현삼, 백선피를 꺼린다. 관동(款冬:국화과의 식물, 우리나라에서는 머위로 대용 함)은 상외하며 오두를 이긴다."
2, <약성론>:"백강잠을 꺼린다. 돼지고기는 금기이다."
3, <촉본초>:"우슬을 꺼린다."
4, <주진형>:"위장이 차거나 상한으로 심하게 설사하는 자, 음허로 하혈하는자, 비장이 상하여 혈이 귀원(歸元)하지 못하는 자는 모두 쓸 수 없 다." 5, <신농본초경소>:"혈이 적어 기가 허하고 비위가 약하며 혈의 부족으로 일어 나는 경계 불면(驚悸不眠), 신체의 온열(溫熱), 조갈(躁), 산후불면증, 혈허에 의한 발열, 설사와 복통, 소아의 두창 (痘瘡)에 의한 양허 및 설사, 행장(行漿: 두창 발열 후 6~ 7일부터 장수(漿水)가 난다) 후의 설사, 노인의 비위가 허 하고 차가워 일어나는 설사, 음이 허하여 새벽에 나는 설사, 신설자(腎泄者), 진음(眞陰)의 부족으로 속이 열하여 번열 이 나고 초조한 증상이 있는 환자도 이 약을 쓰지 못한다. 이를 주의하지 않고 약을 잘못 쓰면 위험하게 된다.
황련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반복하여 일어나는 번민오노(煩悶懊憹), 심란(心亂), 정충(怔忡:심계항진), 상열(上熱),흉중기란(胸中氣亂), 심하비민(心下痞悶), 먹은 것을 토하는 증세 주사 15g, 황련 20g, 생감초 10g을 보드라운 가루로 하여 더운 물로 반죽하여 든 찐빵을 기장쌀 크기로 환을 만든다. 1회 10알을 식후에 타액으로 삼킨다. [인재직지방 황련 안신환] 2, 소음병(少陰病)에 걸려 2~3일 이상 되고 가슴이 답답하여 편안히 눕지 못할 때 황련 150g, 황금 75g, 작약 75g, 계자황(鷄子黃: 계란 노른자위) 2개, 아교 (阿膠) 113g을준비한다. 먼저 황련, 황금, 작약을 물 6되로 2되가 될 때까지 끓인다. 찌꺼기를 버리고 그 안에 야교를 넣어 충분히 덥혀 녹인 다음 잠시 식혀서 다음 계자황(계란노른자위)을 넣고 섞는다. 7홉을 하루에 3번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상한론 황련아교탕]
3, 심신(心腎)이 통하지 않고 신경이 쇠약하여 잠이 오지 않을 때
생천련(生川連) 20g, 육계(肉桂)의 심(心) 5푼을 곱게 갈아 정제한 벌꿀로 환을 지어 공복시에 연한 염탕(鹽湯)으로 복용한다.[사과간효방]
4, 심경(心經)의 실열(實熱)
물 1잔 반에 황련을 26g을 넣고 1잔으로 될 때까지 달여서 식후에 시간이 조 금 지나면 따뜻할 때 복용한다. [국방 사심탕] 5, 심(心) 아랫부분에 비(痞:뱃속이 결리고 가슴답답할비)가 있고 누르면 유(濡: 젖을유) 하며 관맥(關脈)이 부(浮)한 때 대황 75g, 황련 37.5g을 마비탕(麻沸湯: 잘 비등시킨 탕) 2되에 조금 담가 즙으로 풀리게한 다음 찌꺼기를 제거한다. 그 즙을 2회로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상한론 대황황련사심탕] 6, 소결흉병(小結胸病)으로 위완부(胃脘部)가 창만하여 누르면 아프고 맥(脈)이 부활(浮滑) 한자 황련 37.5g, 씻은 반하 반 되, 괄루실(栝樓實: 하눌타리열매)큰 것 1개를 준비 하고 먼저괄루실을 물 6되로 3되가 될 때까지 끓이고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나 머지 약초를 가해서 2되게 되게 끓이고 찌꺼기를 버린 다음 3회로 나누어 따뜻 하게 복용한다. [상한론 소함흉탕] 7, 열이 몹시 나며 속이 울렁거리고 신음하며 헛소리를 하고 자지 못하는 증세 황련 113g, 황금 75g, 황백 75g, 치자(梔子) 14개를 각각 썰어 물 6되로 끓 여 2되가 되게한 다음 그것을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돼지고기와 냉수를 금한다. [외대비요방 황련해 독탕]
8, 상한으로 흉중(胸中)에서 열이 나며 위(胃)속에 사기(邪氣)가 있어 배가 아프고토하려 할 때 황련 113g, 볶은감초 113g, 건강 113g, 껍질(코르크층)을 제거한 계지(桂 枝) 113g,인삼75g, 씻은 반하 반 되, 대추 12개를 물1말로 6되가 될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