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설채의 효능
왕고들빼기는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이다. 고들빼기, 이고들빼기, 왕고들빼기가 있다. 1~2년생 초본으로서 1~2미터 정도 곧게 자라며 가지를 치기도 한다. 손으로 꺽어보면 흰색의 유즙이 나오는데, 맛을 보면 쌉쌀한 맛이 난다. 꽃은 8~9월에 담황색으로 핀다.
전초를 고채, 산호거, 고개채, 고마채, 압자식, 약사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속명으로 새똥, 쓴풀이라고도 부른다. 키가크면서 끝에는 새순이 항상 올라오기 때문에 끝을 꺽어주면 가지를쳐서 여러 가지가 올라와 봄부터 가을까지 올라오는 잎을 계속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잎을 따서 물로 씻어 생으로 먹기도 하고 즙을 내어 먹기도 하며 살짝 으깨어 초고추장과 양념을 해서 생채로 먹어도 맛이 있다. 전국에 분포하며 산과 들에서 자란다.
가는잎왕고들빼기와 용설채도 같이 약으로 쓰거나 식용으로 사용한다. 맛은 차고 쓰다. 심장과 폐경에 들어간다. 해열, 양혈, 소종, 건위의 효능이 있고, 염증성열, 편도선염, 인후두염, 자궁염, 성기이상출혈, 유선염, 종기, 부수럼을 낫게한다. 달이거나 즙을내어 먹는다. 환처에 붙힐 때는 짓찧어 사용한다. 사용량은 하루 15~30그램을 사용한다. 종기와 악창에 생잎을 짓찧어 환부에 붙히면 잘 낫는다. 어린싹은 건위 및 소화작용을 나타낸다.
왕고들빼기는 아무 데서나 잘 자라는 풀이다. 돌 틈에서도 잘 자라고 둑의 척박한 흙에서도 잘 자란다. 어린 왕고들빼기를 뽑으면 뿌리가 통통한 것이 알뿌리와 같은 모양이다. 이른 봄에 캐는 왕고들빼기는 이 알뿌리처럼 생긴 뿌리와 잎사귀를 나물로 이용한다. 조금 더 자라면 알뿌리가 억센 뿌리가 되면서 줄기가 생기고 줄기에 잎사귀가 달리게 된다. 여름에 쌈 채소가 귀할 때 이 왕고들빼기의 보드라운 순을 뜯어 이용하면 아주 좋은 채소가 된다.
봄에 돋아나는 어린 잎사귀에서부터 여름에 돋아나는 잎사귀까지 좋은 나물이 된다. 몇 포기만 주변에 있어도 충분히 즐길만한 채소다. 봄에 돋아나는 상추와 함께 이용하면 상추만으로 쌈을 먹을 때와는 다른 쌉싸름한 향을 느낄 수 있다. 왕고들빼기는 예전부터 많이 이용하던 나물이다. 요새는 암환자들이 먹고 효과를 많이 보았다고 해서 유명해졌다. 산과 들에서 나는 나물 중에 어디 좋지 않은 것이 있을까마는 왕고들빼기, 씀바귀, 엉겅퀴 등은 항암효과가 밝혀지면서 많이 이용하는 나물이 되었다.
왕고들빼기 꽃차 꽃을 잘 따서 1 : 1의 비율로 꿀에 재운다. 15일이 지나서 마시면 좋다. 꽃을 쪄서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말려서 밀봉해 놓는다. 찻잔에 1~2분 우려내면 은은한 향이 퍼진다.
왕고들빼기 이용법 왕고들빼기는 어린잎이든 센 잎이든 상추처럼 쌈채로 먹을 수 있다.
상추보다 더 쓴 맛이 난다.
씹기가 불편하면 불에 데쳐 나물로 먹겠지만 이것은 좀 세어도 먹기가 그리 불편하지 않다.
잎을 썰어서 겉절이 무침을 해서 먹어도 좋다.
시큼하게 초고추장으로 무쳐 먹어도 좋다.
얼마나 쓰면 '고채(苦菜)'라 할까? 산과 들에서 가장 쉽게 채취하여 즐길 수 있는 쌉쌀한 맛이 사람들의 식욕을 돋워준다.
또 그 향은 피를 맑게 해준다.
왕고들빼기 쌈 재래식 된장에 마늘, 양파 다진 것, 두부 으깬 것을 넣고, 참깨와 흑미자, 들기름을 섞어 쌈장을 만든다. 왕고들빼기를 따서 깨끗이 씻어 놓고, 밥에 쌈된장을 넣고 먹는다.
왕고들빼기 생채 잎을 먹기 좋게 손으로 자른다. 잎을 간장, 파, 마늘, 고춧가루를 넣은 양념으로 무친다. 다 무치고 참기름을 넣는다. 식초가 들어간 양념고추장을 만들어서 무쳐 먹어도 좋다.
왕고들빼기 나물 4~5월에는 겨우내 땅속에 있었던 뿌리를 먹는다. 인삼처럼 생긴 뿌리를 캐어서 소금물에 데쳐서 물에 하루 정도 담가 놓고 쓴맛을 우려낸다. 쓴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살짝 데쳐서 먹고, 그냥 무쳐서 먹어도 된다. 고춧가루, 파, 마늘 등 초고추장 또는 그냥 무침양념을 넣어 나물로 해서 먹는다.
왕고들빼기 녹즙 잎을 녹즙기에 넣어 즙을 내어 마신다. 쓴 맛이 강하므로 꿀을 감미하여 물에 타서 먹는다.
왕고들빼기 효능
진정작용, 마취작용, 해열, 양혈, 소종, 이뇨, 최면, 발한, 건위, 창종, 염증성열, 편도선염, 인후두염, 자궁염, 성기이상출혈, 유선염, 악창, 부스럼, 종기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왕고들빼기는 맛은 차고 쓰며 심장과 폐경. 해열, 양혈, 소종, 건위의 효능이 있고 염증성열, 편도선염, 인후두염, 자궁염, 성기이상출혈, 유선염, 종기, 부스럼을 낫게하는데 달이거나 즙을내어 먹으며 환처에 붙힐 때는 짓찧어 사용한다. 사용량은 하루 15~30그램을 사용한다. 종기와 악창에 생잎을 짓찧어 환부에 붙이면 잘 낫는다. 어린싹은 건위 및 소화작용을 나타낸다.
용설채의 효능 잎 모양이 용의 혓바닥을 닮았다고해서 용설채라고 한다. 원산지는 우리나라로 전국 각지에서 자라며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 미네랄이 풍부하고 비타민A 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 함량도 높다.
한방으로 보면 용설채는 맛이 쓰고 성질은 차며 심장과 폐경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 용설채와 왕고들빼기는 진정작용, 마취작용, 해열, 양혈, 소종, 이뇨, 최면, 발한, 건위, 창종, 염증성열, 편도선염, 인후두염, 자궁염, 성기이상출혈, 유선염, 악창, 부스럼, 종기 등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고하여 민간약재로 사용한다.
......^^백두대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