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 이야기

73. 치욕의 남한산성

eorks 2024. 11. 23. 14:54

73. 치욕의 남한산성


    김삿갓은 三田渡(삼전도)에서 청태종 공덕비를 보는 순간 병자호란의 치욕
    이 번개 처럼 머리를 때렸다.

    우리의 임금 인조가 세자와 신하들이 보는 앞에서 소위 受降壇(수강단)이라
    는 높은 단 위에 오만하게 앉아 내려다보는 저 북녘 오랑캐 청태종에게 三拜
    九叩頭 (삼배구고두)를 했던 바로 그 자리가 아니던가.

    항복을 받은 후에 그들은 왕세자와 봉림대군을 볼모로 하고 무고한 백성을
    50만 명이나 포로라는 이름으로 잡아가면서도 皇恩(황은)이 망극함을 감사
    하라 면서 항복을 받았던 그 자리에 소위 <大淸皇帝功德碑(대청황제공덕비)
    >를 세우라고 하여 온 조정과 백성이 울면서 세운 그 비석이다.

    먼저 비문의 초안을 써 받치라고 해서 張維(장유)등 대신들에게 쓰게 하여 瀋
    陽(심양) 에 보냈으나 그것으로는 미흡하다 하여 다시 써 보내게 되었고,

    그 때 仁祖(인조)는 문장력이 좋은 李景奭(이경석)(호: 白軒(백헌) 당시 부제
    학)에게 명하여 부 득이 본의 아니게 치욕의 글을 천추에 남긴 이경석은 한
    평생 글 배운 것을 한탄했다고 한다.

    글 배운 것을 한탄하기로 하면 김삿갓 자신도 마찬가지였다.

    글재주가 아니었던들 영월백일장에서 자기 할아버지를 매도하는 글로 장원
    급제를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저러한 생각을 하면서 남한산성 문루에 올라서서 사방을 둘러보다가 문
    득杜甫(두보)의 시를 연상하였다.


              나라는 망해도 산하는 남아 있어
              봄이 오니 산성에 초목이 무성하구나.
              느끼는 바 있어 꽃에 눈물 뿌리고
              이별이 한스러워 새소리에 놀라노라.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春城草木深(춘성초목심)
              感時花濺淚(감시화천루)
              恨別鳥驚心(한별조경심)


    나라가 망한다는 것처럼 슬픈 일이 없다. 그는 이곳에서 병자호란의 치욕 적
    인 역사를 새삼 되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국호를 淸(청)이라 하고 스스로 황제가 된 청태종은 인조 14년(1636, 병자년)
    에 십만대군을 이끌고 12월 2일 심양을 출발하여 14일에는 개성을 점령하고
    16일에는 선봉대가 남한산성을 포위하기 시작했으니 불과 두 이레만의 일 이
    다.

    임진왜란을 겪은 지 불과 40년이요,

    10년 전 정묘호란 때도 왕이 강화도까지 蒙塵(몽진)하는 곤욕을 치르면서 저
    들과 굴욕적인 강화조약을 맺지 않았던가.

    그 동안 전쟁위협을 수 없이 받았고 그들의 침공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는
    데 朝野(조야)는 무엇을 하고 있었다는 말인가.

    당시 남한산성에는 13,000 명의 군사와 50일분의 식량이 있었다.

    명나라에 急使(급사)를 보내어 구원병을 청하고 8도에 勤王兵(근왕병)(임금
    에게 충성을 받치는 군사)을 모집하는 격문을 붙였으나,

    제 코가 석자나 빠진 명나라가 구원병을 보낼 리 없었고 적의 포위망을 뚫고
    달려오는 용맹한 근왕병도 없었다.

    45일이 지나면서 성 안에서는 현실을 직시하고 항복하자는 主和論(주화론)
    과 다함께 죽을지언정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는 斥和論(척화론)이
    대립하여 입씨름만 하고 있을 뿐,

    10만대군의 포위 속에 고립된 조정은 속수무책이었다.

    생각이 이에 미친 김삿갓은 한숨을 푸-푸- 쉬면서 무거운 발 거름으로 산성을
    돌아보았다.

    김삿갓이 오늘의 우리현실을 보았으면 무어라고 했을까.

    전쟁위협은 그 때와 다를 바 없는데 한미공조냐 민족공조냐 하고 공론만 분
    분한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김삿갓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5. 무악재의 봄  (0) 2024.11.25
74. 서울 木覓山(목멱산;지금의 남산)  (2) 2024.11.24
72. 봄은 다시 오건만  (0) 2024.11.22
71. 利川(이천)의 郭風憲(곽풍헌)영감  (0) 2024.11.21
70. 여주 신륵사  (2)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