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2

선화삼(다릅나무)의 효능

선화삼(다릅나무)의 효능 다릅나무 - 조선괴,양괴,먹감나무,개물푸레나무,개박달나무, 다릅나무는 콩과의 낙엽교목으로 아카시아 잎과 비슷하다. 거풍,제습,관절염에 쓰이며, 특히 림파선암,자궁근종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겉껍질을 버리고 속껍질을 사용하는데, 10월에 채취한것이 좋다. 고혈압이나 동맥경화환자는 사용금기이며,어지럽거나,의식불명등 명현현상이 나타날수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다릅나무(선화삼)의 효능 ▶ 항암작용(위암, 갑상선암, 임파선암), 진통작용, 관절염, 종양, 상처, 사마귀, 가골(假骨),임파선 및 갑상선 질환에 효험있는 다릅나무 에서는 다릅나무를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폐암, 임파선암, 직장암, 자궁근종, 자궁물혹, 자궁암, 생리통,생리불 순, 다릅나무의 효능을 정리하면 임파선염, 임파선암,..

산야초의 효능 2021.01.04

쥐눈이콩(서목태)의 효능

쥐눈이콩(서목태)의 효능 쥐눈이콩은 검은 콩의 일종으로 검은콩 보다 훨씬 작아 마치 쥐 눈처럼 생겼다고 하여 쥐눈이콩이라 불린다는데요. 쥐눈이콩은 식용보다 약 콩으로 쓰였답니다. 좋은 영양제이면서 해독작용을 갖고 있는 식품이기도 하다네요. 작지만 영양이 풍부해 꾸준히 섭취하면 뼈도 튼튼해지고 피부도 탱탱해져 젊음을 유지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답니다. 오늘은 쥐눈이콩에 대해 알아봅니다. ​쥐눈이콩의 효능●두뇌 건강: 쥐눈이콩에 함유된 ‘레시틴’성분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티콜‘의 생성에 관여하여 두뇌활동을 촉진시켜주는 효과가 있다는데요. 꾸준히 섭취하면 성장기 어린이들의 두뇌발달과 노인성치매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된답니다. ●성인병 예방: 쥐눈이콩에는 '리놀산'성분이 풍부하여 나쁜 콜레스테롤을 배출시켜주어..

산야초의 효능 2021.01.03

누리장나무(臭梧棟:취오동) 효능

누리장나무(臭梧棟:취오동) 효능 누리장나무(臭梧棟:취오동,마편초과) 꽃은 8~9 월에 연홍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열매는 핵과고 둥글며 10월에 진한 남색으로 익는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누리장나무는 마편초과에 딸린 넓은잎떨기나무다 나무 근처에만 가도 누린내가 난다고 하여 누리장나무라고 부른다. 취오동(臭梧桐)취목 향추 등의 다른 이름도 이 나무의 특이한 냄새와 관련이 있다. 황해도에서는 이아리나무, 전라도에서는 피나무, 강원도에서는 구린내나무, 경상도에서는 누룬나무, 누리개나무, 깨타리나무라고 부르고, 약명으로는 상산 해주상산이라 부른다. 누리장나무(臭梧棟:취오동) 개똥나무, 노나무, 개나무, 구릿대나무, 누기개나무, 이라리나무, 누룬나무, 깨타리, 구린내나무, 누르나무 잎 잎은 ..

산야초의 효능 2021.01.02

측백나무의 효능

측백나무의 효능 ◎ 약성 및 활용법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의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다. 좋은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지만 나쁜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진딧물을 닮은 자잘한 벌레가 생겨서 시신을 갉아 먹는데, 이 벌레를 염라충이라고 부른다. 측백나무를 묘지 옆에 심으면 시신에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측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거듭하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몸에서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빨과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 부인들의 하혈이나 피오줌,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도 구증구포한 측백 잎이 효과가 크다. 장복하면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

산야초의 효능 2021.01.01

잣과 잣나무의 효능

잣과 잣나무의 효능 ** 자양강장제 역할을 하는 잣 잎이 5개씩 모여나는 소나무 종류를 합쳐서 잣나무류라고 말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잣나무로는 잣나무, 눈잣나무, 섬잣나무, 아메리카에서 건너온 스트로브잣나무(미국오엽송)의 4종이 있다. 주로 씨앗을 사용하는데 씨앗을 해송자라 한다. 소나무 중에서 씨가 가장 큰 소나무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잎이 소나무는 2장인데 잣나무는 5장이 붙어 있어 오엽송(五葉松)이라고 부른다. 잎에 흰 가루를 씌운 듯 창백한 녹백색을 띠고 있으면서 매우 아름다워서 흡사 서리를 뒤집어 쓴듯하다 하여 상강송(霜降松)이라고 부른다. 재목이 색깔이 붉은빛을 띠고 아름답다고 하여 홍송(紅松)이라고 한다. 잣은 주로 잣나무 맨 꼭대기 상층부에 달리는데 그것을 따기 위해서는 나무를 잘 ..

산야초의 효능 2020.12.31

오리나무더부살이의 효능

오리나무더부살이의 효능 오리나무더부살이(초종용:草蓯蓉) Boschniakia rossica {Chzm. et Schlecht.} B. Fedtsch.)는 두메오리나무뿌리에 기생하는 1년초이다. 중국에서는 오리나무더부살이를 '초종용(草蓯蓉)'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것이 잘못 와전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오리나무더부살이가 원래는 '초종용(草蓯蓉)'인데, '육종용(肉蓯蓉)'으로 갯더부살이가 '초종용(草蓯蓉)'으로 부르게되었다. 아마도 중국에서 나는 육종용이나 쇄양이 우리나라에 없기 때문에 갯더부 살이와 오리나무 더부살이를 비교하다 보니 그렇게 불린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그 효능도 비슷한 것이 많아 그렇게 불릴 수도 있다. 잘못된 것은 바로잡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열당과는 전세계에 약 14속 180여종이 있..

산야초의 효능 2020.12.30

노나무(개오동)의 효능

노나무(개오동)의 효능 노나무(개오동) 중국원산으로 전국에 심어 기르는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20m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넓은 난형 또는 둥근 모양으로 얇게 3갈래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10~25cm, 밑이 얕은 심장형으로 끝이 뾰쪽하다. 잎자루는 6~18cm이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피며, 연한 노란색이 도는 흰색, 깔때기 모양, 길이 2~3cm다. 화관은 위쪽이 5갈래로 갈라진 입술 모양, 윗입술은 2갈래, 아랬입술은 3갈래로 안쪽에 검은 보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2개만 완전하고 3개는 헛 수술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기둥모양, 길이 20~35cm이고, 한꽃에서 2개씩 달린다. 능소화과(Bignoni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喬木)으로..

산야초의 효능 2020.12.29

세이지(Sage)의 효능

세이지(Sage)의 효능 세이지(Sage) 학명: Salvia officinalis L. 영명: Sage, Common Sage, Garden Sage 원산지:지중해연안,유럽남부 이용부위:잎 강장작용외에 신경계통이나 소화기계통에 뛰어난 약효적방부, 항균등의 살균 소독작용이 있어 각종 염증에 소염제로 뛰어나다. 해열, 구풍, 정혈작용도 있는 만병통치약이다. 두뇌와 근육의 발달을 강화하여 기억력을 높이고 중풍이나손발이 저려 고생할 때 심한 운동 후의 피로나 통증을 씻겨준다.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 포기전체에 강한 향기가 난다. 심어서 2년째의 포기에 정유의 함유량이 높다 재배 해가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며 배수가 잘 되는 다소 건조한 듯한 석회질 토양 내한성이 있는 편으로 중부지방가지도 재배가 가능한다. 여..

산야초의 효능 2020.12.28

호랑가시나무의 효능

호랑가시나무의 효능 뼈 질환 다스리는 호랑가시나무 구골목(枸骨木)이라면 아는 사람이 별로 없으나 크리스마스 철에 장식용으로 널리 쓰는 잎이 육각 꼴이고 가시가 많고 빨간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면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구골목을 우리나라 말로는 호랑가시나무라고 하며 서양에서는 홀리(Holly)라고 부른다. 호랑가시나무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육각 꼴의 잎결각 끝에 붙은 날카로운 가시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랑이가 이 나뭇잎에 붙은 가시로 등을 긁는다 하여 ‘호랑이 등긁기 나무’라고 부르다가 ‘호랑가시나무’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의 가시가 고양이 발톱을 닮았다 하여 묘아자(猫兒刺) 또는 늙은 호랑이의 발톱을 닮았다 하여 노호자(老虎刺)라고 부른다. 구골목이라는 이름은 나무 줄기가 개뼈를..

산야초의 효능 2020.12.27

아스파라거스의 효능

아스파라거스의 효능 1. 아스파라거스( asparagus) 학명: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 Asparagus officinalis) 아스파라거스속에 속하는 백합과, 여러해살이 속씨식물. 남유럽이 원산지인 아스파라거스목의 식용식물로 전세계에 약 300여종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그린 아스파라거스, 퍼플 아스파라거스를 칭합니다. 모습은 우리나라의 두릅 나물과 비슷합니다. 아스파라거스는 덥지않은 우리나라 기후에 잘맞아 전국 어디에서든 키울수 있는 식물입니다. 파종은 1~2월에 하며 새순 부분을 주로 식용으로 먹습니다. 최소 3년동안은 뿌리를 발달시키기 위해 수확하지 않으며 이후에는 과실수처럼 반복적으로 15년 가까이 수확 할수 있습니다. 봄에 뿌리에서 나오는 새순의 맛은 연한 단맛과 쓴맛이 어우러져 독특하..

산야초의 효능 2020.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