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2

바위솔의 효능

바위솔의 효능 바위솔 학명 : Orostachys japonicu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 속의 바위 위 번식 : 측지(側枝) 약효 부위 : 뿌리를 제거한 온포기 생약명 : 와송(瓦松) 키 : 10~30cm 과 : 돌나물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여름~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시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8~15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꿩의비름·기린초·돌나물· 둥근바위솔의 온포기 잎 잎은 육질이고 두꺼우며 주로 녹색이지만 더러는 자주색 또는 분백색을 띠는데 다닥다닥 어긋나서 마치 기왓장을 포갠 것처럼 보인다. 뿌리잎은 방석처럼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같이 된다. 원줄기에는 잎자루가 ..

산야초의 효능 2020.10.25

민백미꽃의 효능

민백미꽃의 효능 민백미꽃 [흰백미] [개백미] [민백미] 학명 :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분류군 : Asclepiadaceae(박주가리과) 일어 : クサタチパナ 영문 : Cruel Plant, Mosquito Plant 개화기 : 5,6,7월 결실기 : 7월 꽃색 : 백색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에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8-15cm, 폭 4-8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위 에 굽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열매 : 골돌과로서 길이 4-6mm, 지름 8mm로서 뿔모양이며 털이 없고 8~9 월에 결실한다. 종자는 넓은 달걀모양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

산야초의 효능 2020.10.24

미국 제비꽃(종지나물)의 효능

미국 제비꽃(종지나물)의 효능 미국 제비꽃(종지나물) 분 류 :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 학 명 : Viola papili onacea Pursh 원산지 : 북아메리카 분포지 : 북아메리카, 한국 전역 미국 제비꽃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미국에서 건너온 귀화 식물이다. 이명으로 종지나물이라고도 부른다. 밑동에서 잎이 다보록하게 솟아나고, 잎자루는 잎 몸보다 길다. 잎은 종지 모양이고, 심장형이며, 끝은 약간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자색, 흰색, 황록색이 섞여 있고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녹색 또는 검은 자주색이고, 씨는 검은 갈색이다. 산록 양지에서 자란다. 무더기로 자라서 높이 20∼40c m이고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

산야초의 효능 2020.10.23

미치광이풀의 효능

미치광이풀의 효능 미치광이라고도 함. 가지과(―科 Sola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식물 전체에 털이 없으며, 굵고 마디가 있는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는다. 키는 30㎝ 정도이다. 깊은 산골짜기의 그늘에서 자란다. 잎은 자리공(장록나물) 잎과 비슷하며 난형이며 어긋나고 잎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종 모양이고 진한 보라색이며 4~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피는데, 밑으로 처져 대롱대롱 매달린 것처럼 보인다. 꽃은 통꽃이나 꽃부리 끝만 5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꽃받침도 5갈래로 조금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는다. 잎이 연하며 이른 여름에 떨어지기 시작한다. 땅속줄기는 가을에 캐서 말린 다음 진경제·진통제로 쓰고 있는데, 조금 쓴맛이 나고 자극적이다. 미치광이풀은 강한 독..

산야초의 효능 2020.10.22

미나리의 효능

미나리의 효능 특성 미나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아시아 원산의 다년생초로서 습기가 있는 곳이나 도랑, 물가에서 자란다. 흔히 논(미나리꽝)에서 가꾼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만주,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야생도 하고 재배도 한다. 미나리는 전세계에 2,600여 종이나 있는데 한국에는 강활, 기름나물, 미나리, 바다나물, 어수리, 시호, 전호 등 80여 종이나 분포하고 있다. 미나리의 다른 이름으로는 근채, 수채, 수영 등이 있다. 이용 제철은 초봄부터 초여름으로 곧게 자라 있고 잎의 녹색이 진하며 싱싱한 것이 신선하며 떫은맛이 강하므로 살짝 데쳐서 사용하며 국이나 감칠 맛 나는 양념으로 버무려 무침, 전골 등에 이용한다. 미나리는 달면서 맵고, 서늘한 성미를 지녔고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섬유질이 풍부한 ..

산야초의 효능 2020.10.21

목화의 효능

목화의 효능 1. 문익점과 목화의 유래 1909년 (순종3년)에 지방 유지들이 목화씨를 처음 심고 원전에 기념비를 건립하여 그 공을 오래 잊지 않도록 했다. 그 후 1935년 12월 현 의성군 금성면 대리동 간선도로변에 이 비를 새로 건립하여 현재까지 전래되고 있다. 고려 공민왕 12년 (1363년) 삼우당 문익점이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교지국에서 유배생활을 함. 3년 뒤 귀국시 금주성(중국)에서 목화씨를 붓 뚜껑에 10여개를 넣어 가지고 와 장인 정천익으로 하여금 시험 재배하여 전국에 널리 재배하였다 한다. 문익점은 추운 겨울에 떨던 백성들에게 열심히 목화를 심게 하고 무명천을 짜는 방법을 익히게 하여 값비싼 비단 대신 무명 옷감으로 따뜻한 옷을 입게 하여 의생활에 일대 혁신을 가져오게 하였음. 2..

산야초의 효능 2020.10.20

미역취의 효능

미역취의 효능 미역취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꽃: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12-14mm이고 흔히 3-5개의 산방상 수상화서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3-6mm로서 털이 있고 포는 길이 1mm정도입니다. 설상화는 길이 6.5-8mm, 나비 1.5-2mm로서 황색이며 양성화는 보다 짧습니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길이 7-9cm, 나비 1-1.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고 엽병이 없어집니다. 줄기: 높이 35-85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성 분 : 전초는 phenol 성분, tannin, 精油정유), saponi..

산야초의 효능 2020.10.19

바보여뀌의 特徵 및 效能

바보여뀌의 特徵 및 效能 바보여뀌 식물계 : 속씨식물문(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미분류) 석죽목 마디풀과 여뀌속 한해살이풀 학명 : Persicaria pubescens (Blume) H. Hara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동부 아시아,말레이시아,인도 등 국내분포지 : 전국 서식지 : 물가 크기 : 높이 40∼80cm 꽃색깔 : 흰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 개화시기 : 8월 개화계절 : 여름 이명 : 점박이여뀌,바보역귀·유모료(柔毛蓼) 가.特徵 꽃말 : 학업의 마침 다른 이름 : 여뀌, 들여뀌, 매운여뀌 유래 : 바보여뀌는 다른 여뀌와는 달리 잎에서 매운맛이 없기 때문에 다시 대 하여 둔하다고 하여 바보여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특성 : 바보여뀌.유모료라고도 한다. 물가에서 자란다. 잎은 타원..

산야초의 효능 2020.10.18

물레나물의 효능

물레나물의 효능 물레나물 목 명 : 측막태좌목 한 글 물레나물 과 명 : 물레나물과 한 자 長柱金絲桃 속 명 : 향 명 물레나무, 메대채, 황해당, 금사조, 한연초 구 분 학 명 : Hypericum ascyron L. 영 문 : Giant saint-John`s wort 일반정보 원산지 : 한국. 분 포 ▶일본, 동부아시아, 오대, 알타이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 태 다년생 초본. 크 기 높이가 50-100cm정도 된다. 잎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이 원줄기를 마주 싸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1-2cm로 투명한 점이 있다. 꽃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4-6cm로서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큰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고 길이 ..

산야초의 효능 2020.10.18

목향의 효능

목향의 효능 목향향기로운 목향… 기혈순환제로서 진통작용·방향성 건위제로 효험 우리나라에서 향(香)의 전래를 보면 신라시대의 귀부인들이 처음 사용하여 대중화를 이루었다고 한다. 신라시대에 이미 향낭, 향대라는 것이 있었는데 신라시대의 귀부인들이 향기가 좋은 꽃을 베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녔던 것이다. 목향은 초본식물인데 마치 나무같이 보이며 향기가 좋다고 하여 ‘목향(木香)’이라는 이름이 붙혀 졌다. 또한 목향은 꿀 향기가 난다고 하여 ‘밀향’이라고도 하며 다섯 향기라고 하여 ‘오향’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의하면 이 한약은 국화과의 다년생초본식물인 목향의 뿌리를 기원으로 한다고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목향은 국화과에 속하는 유럽 원산의 숙근성 다년생 초..

산야초의 효능 202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