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1

명아주의 효능

명아주의 효능 ◈ 명아주 ⊙ 학명 :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nrum ⊙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 ⊙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 명아주는 아주 흔한 잡초다. 보리나 밀이 이 땅에 들어올 때 함께 들어왔다고 추정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명아주가 실리는 바람에 어떤 풀이냐고 묻는 이가 많다. ▒ 명아주 꽃은 6월쯤부터 피기 시작해서 여름내 피고 진다. 작은 꽃송이가 가지 끝에 송글송글 뭉쳐 달리는데, 꽃 한 송이는 너무 작은 데다 꽃잎도 없어 눈을 크게 뜨지 않으면 잘 보이지도 않는다. 하지만 이렇게 작은 꽃송이가 여름내 피고 지면서 7만 개가 넘는 씨앗을 맺는다. ▒ 명아주는 꽃보다는 잎이 더 아름답다. 가을에 명아주 ..

산야초의 효능 2020.10.15

매자기의 효능

매자기의 효능 매자기 : 사초과(莎草科 Cyp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분포지 : 전국의 들녘 연못가 등지 높 이 : 80 - 150 cm 개화기 : 7 - 10 월 결실기 : 9 - 10 월 꽃 색 : 갈색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특 징 : 땅속 줄기에 덩이 줄기가 달린다. 용 도 : 관상용. 공업용. 약용. 효 능 : 뿌리 줄기를 학질. 최유. 어혈. 악심. 구토. 통경. 진통등의 약으 로 쓴다. *항종류. 흡수촉진. 건위작용 매자기 물가에서 흔히 자란다.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는 지름이 3~4㎝ 정도 되는 덩이뿌리가 달리기도 한다. 줄기는 세모나고 곧게 서서 1.5m까지 자란다. 잎은 긴 끈처럼 생겼으며 서로 어긋난다. 꽃은 진한 갈색이며 6~7월에 줄기 위에서 산방(繖房)꽃..

산야초의 효능 2020.10.14

말냉이의 효능

말냉이의 효능 ◑ 말냉이 科 名 :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 말냉이속(―屬 Thlaspi) 學 名 : Thlaspi arvense L. 英 名 : Field penny cress 日 名 : グンバイナズナ (Gumbai-nazuna Zoku) 生活型 : 越年草 발생지 : 논둑, 밭 및 草地 번 식 : 種子 세계에 약 80종, 우리나라에는 1종, 1년초 또는 다년초. 영어 이름은 둥근 씨꼬투리에서 따온 것으로 때때로 이 씨꼬투리를 얻기 위해 심고 있다. 말냉이속에 속하는 60여 종(種)은 대부분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나, 몇몇 종은 아메리카 산악지대가 원산지이다. 말냉이는 우리나라 전역의 나지막한 산이나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풀인데, 우리가 봄나물로 먹는 냉이와 같은 집안이지만 냉이보다 훨씬 ..

산야초의 효능 2020.10.13

며느리 배꼽의 효능

며느리 배꼽의 효능 (신경초) 며느리배꼽 속명 : 하백초. 사광이풀 분포지 : 전국의 집근처 빈터나 길가 구릉지 개화기 : 7 - 9 월 꽃색 : 연녹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2m 안팎 특징 : 줄기와 잎자루 등에 밑으로 굽은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덩굴식물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한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 여름에 연한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는다. 효능 : 전초는 강판귀, 根(근)은 강판귀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며느리 배꼽은 삼각형의 잎 뒷면에 약간안쪽으로 잎자루가 달린모양이며,잎자루가 잎끝에 붙어 있으면 며느리밑씻게 풀 이다. 며느리 밑씻게는 잎자루가 바깥쪽에 바로 붙어있다↑ 며느리 밑씻게 ;; (뒷면) 는 잎자루가 바깥쪽에 바로 붙어있다↑ 며느리 밑씻게와 . 며느리 배꼽 (신경초...

산야초의 효능 2020.10.12

마편초의 효능

마편초의 효능 허브식물로 한국에서도 잘 자라는데 바닷가 해안 지역처럼 습한 지대에에서 자생한다. 마편초는 내복할 때 보다는 외용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상처난 곳을 씻거나 양치물로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보인다. 유럽에서는 상처부위를 소독하거나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외상에 사용한다. 마편초로 제조한 화장품은 피부의 독소를 제거하고 따라서 목욕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마편초를 살균과 신경안정을 위한 약재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우울증과 편두통을 해소하고 화를 잘 내지 않게하는 효능이 있다. 생선을 먹고나서 체했을 때 체내 정화를 위해 차로 마시면 기분을 좋게하고 치육염에도 좋으므로 양치제로 사용한다. 이 밖에도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풀어주며 이뇨, 인후염, 간질환, 관절염, ..

산야초의 효능 2020.10.11

개감수의 효능

개감수의 효능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감수. 낭독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20∼40cm로 줄기는 가늘고 둥글며 곧게 선다.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붉은 자주색을 띠는데 끊으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다. 줄기 끝에 5개의 긴 타원형 잎이 돌려난다. . 잎 길이 3∼6cm, 나비 0.7∼2cm로 밑이 좁고 끝이 뭉뚝하며 톱니가 없다. 줄기 끝에 5개의 긴 타원형 잎이 돌려난다. 총포는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길이 1∼4cm, 나비 0.8∼2.5cm이다. 꽃대는 우산 모양으로 5개 나고, 작은꽃대는 2갈래로 갈라지며, 포는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없다. 7월에 녹황색 꽃이 피는..

산야초의 효능 2020.10.10

는쟁이냉이(산갓나물)의 효능

는쟁이냉이(산갓나물)의 효능 는쟁이-냉이 (학명 /산갓: Cardamine komarovi 는쟁이냉이)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겨자과'인데 잘못인 듯)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ardamine komarovi 분포지역 : 한국(경남·경북·강원·경기·평북·함남·함북), 중국(만주) 서식장소 : 깊은 산의 그늘진 냇가 크기 : 높이 20∼50cm, 줄기잎은 어긋나고 길이 2∼8cm, 줄기잎폭1∼ 6cm이며 원형 또는 난상 원형 는쟁이냉이(산갓)는 십자화과 황 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주적냉이, 는장이냉이, 주걱냉이, 숟가락냉이, 산갓으로도 불리 운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가지나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엽신이 흘러 날개처럼 되고 밑부분에는 귀처럼되어 줄..

산야초의 효능 2020.10.09

띠의 효능

띠의 효능 띠의 효능 속명 : 모근. 백모근. 황모. 황모초. 모침. 삐비 예전에는 삐삐 혹은 삘기라고도 불려진 띠. 또한 길쭉하게 꽃대가 나오려고 할때 뽑아서 먹으면 달착지근한 맛이 있었죠. 시골서 군것질거리가 없다보니 먹었던거 같습니다. 줄기를 잘라보면 속은 담황색을 띄고 있으며 약으로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분류 : 화본목 > 벼과 > 띠속 꽃색 : 백색, 자주색 학명 :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개화기 : 5월 분포지역 : 동북아시아 온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길며 백색이고 땅속 깊숙이 뻗는다. 근경을 모근(茅根)이라 하며 약용한다. 용도 : 화수는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고 근경도 단맛이..

산야초의 효능 2020.10.08

뚝깔의 효능

뚝깔의 효능 뚝깔 참 평범하다고 생각했었다. 우리나라의 이 산 저 산 혹은 이 섬 저 섬, 깊은 산이나 뒷동산, 중부 지방이건 남부 지방이건 불쑥 불쑥 만나게 되는 뚝깔을 보며 그리 생각 했었다. 그리 흔하지도 않고 그리 귀하지도 않게 문득 문득 발견되는 뚝깔을 그동안 크게 대수롭게 여긴 적이 없었다. 그리고 그런 뚝깔이 새로이 보이는 계기가 있었다. 심지어 향신료까지도 우리 식물만을 가지고 음식을 만든다고 하는 한 음식점에서 였다. 샐러드에도, 생선을 싸서 먹는 재료로도 등장하는 어딘가 낯익은 잎이 있어 유심히 보았더니 뚝깔의 잎이었다. 깻잎처럼 자극적이지도, 상추처럼 심심하지도 않은 뚝깔의 잎새는 풋풋하니 참 좋았다. 무성하리만치 흔한 잎이 맛깔스런 음식에 적절히 귀한 음식으로 등장하니 아주 새롭고 ..

산야초의 효능 2020.10.06

떡쑥(서국초)의 효능

떡쑥(서국초)의 효능 떡쑥 (서국초) 목 명 : 초롱꽃목 한 글 떡쑥 과 명 : 국화과 한 자 향 명 : 본속, 본숙(제주), 모자초(전남 완도) 학 명 : Gnaphalium affine D. Don 일반정보 원산지 : 한국 분 포 : 전국 각지의 들과 산에 야생한다. 형 태 : 이년초 크 기 : 높이 15-40cm 정도로 자란다.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주걱형 또는 도피 침형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4-12mm로 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쌀알같은 황색의 꽃이 달리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3mm, 나비 3.5mm정도이며 포린은 3줄로 달리고 누른빛이 돌며 ..

산야초의 효능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