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05

굴피나무의 효능

굴피나무의 효능 굴피나무/화향수과 과 : 가래나무과 속 : 굴피나무속 국명 : 굴피나무 별명 : 구낭, 굴낭(제주) 약초명 : 화향수엽化香樹葉 분류 : 낙엽활엽소교목 원산지 : 한국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기 이남의 표고 50~1,200m의 산지에서 자란다. 전체크기 : 높이 12m, 직경 53cm이지만 일반적으로 높이 3m, 직 경 10㎝정도이다.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으로 길이 15~30cm로서 7-19개의 대가 없는 소엽으로 되며 엽축(葉軸)과 엽병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 진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0 cm로서 긴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약간 낫과 비슷하게 구부러 지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양면에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

산야초의 효능 2023.11.27

컴프리의 효능

컴프리의 효능 한방에서 컴프리를 감부리(甘富利)라하여 잎과 뿌리를 변비, 건위, 소화기능 향상, 피로회복, 자궁근육 수축, 식욕 증진, 보익, 고혈압, 진정, 간염, 황달, 소화 불량, 위산과다, 위염, 위십이장궤양, 기관지염, 위궤양, 발기부전, 빈혈, 종기, 악창, 피부염, 영양제, 천식, 골절, 종독 등에 약재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최근 "간에서 나오는 혈류를 막아 간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여 FDA에서 금지약물로 등록... 사용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참고사항] 1. 2세 이하 어린이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 2. 임산부나 산모는 사용하지 말 것. 3. 간염, 간경화 등 간질환 환자들과 알콜 중독자는 사용하지 말 것. 4. 꼭 써야 할 경우 용량을 초과하지 말고 3개월 이상 사..

산야초의 효능 2023.11.26

차풀의 효능

차풀의 효능 눈밝게하며 암세포 죽이고 위를 보호하는 차풀 ▶ 건위작용, 정장작용, 항암작용, 청열해독, 생진지갈, 이뇨, 통변, 신염수종, 해수다담, 습관성 변비, 칠창(옻이 오른데), 정창, 청간이습, 산어화적, 습열로 인한 황달, 여름식중독, 토사곽란, 피부종창, 옻나무독, 폐결핵, 간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는데, 비장의 기능을 조화시키는데,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데, 눈앞이 아찔해지는 데, 어혈, 야맹증, 편두통, 부종, 각기, 위경련, 황달, 간을 보호하여 암세포 죽이며 위를 튼튼하게 해주는 차풀 차풀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인 차풀이다. 차풀속은 전세계에 약 450종이 분포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는 현재 1종이 야생에서 자라고 있다. 높이는 약 30~60센티미터이고 잎은 짝수 깃곂잎이고 줄기와 열매..

산야초의 효능 2023.11.25

치자의 효능

치자의 효능 노란색을 내기 위해서 사용해왔던 치자는 맛이 독특해서 음식으로도 쓰입니다. 치자가루를 내서 사용한다면 쓰고 매운 씨의 맛이 많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치자를 먹으면 우리 몸의 열이 떨어지는데 좋다고 합니다. 이런것 말고도 치자효능은 오래전부터 사용해왔기 때문에 한약재처럼 쓰인다고 합니다. 불면증 개선 평소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분들은 치자를 드셔보세요. 이런 불면증 증상들은 우리 몸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잠 자는 시간이 줄어들도록 만든다고 합니다. 불면증을 줄이려면 치자를 활용해야 합니다. 치자를 먼저 달여내고 물처럼 마시면 좋습니다. 식사를 하고 난 다음에 세번 나누어서 먹는다면 불면증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서 잠을 잘 잔다고 합니다. 목감기 예방 치자를 이용하면 목이나 기..

산야초의 효능 2023.11.24

접시꽃의 효능

접시꽃의 효능 분포지 :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중국원산 개화기 : 6 - 8 월 , 결실기는 10월 특징 : 원줄기는 털이 있고 둥글다. 용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두해살이 풀 (여러해살이도 있음) 다른이름 : 촉계화. 설기화. 마간화. 과목화. 대근화. 기단화. 단오금. 촉규근. 덕두화 중국이 원산지며 꽃이 아름다워서 정원에 흔히 심는다. 키는 2미터 넘게 자라고 잎은 넓은 심장 꼴로 6∼7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6월에 무궁화를 닮은 크고 납작한 꽃이 핀다. 지방에 따라 명칭이 달랐는데, 서울지방에서는 어숭화·평안도에서는 둑두화 삼남지방에서는 접시꽃이라 불렸다. 또 옛날에는 촉규화(蜀葵花)라고도 불렸는데, 신라시대 최치원이 촉규화에 대한 시를 지은 것으로 보아 재배된 역사가 무척 오랜 꽃으..

산야초의 효능 2023.11.23

계뇨등(계요등)의 효능

계뇨등(계요등)의 효능 (닭똥 냄새와 같은 냄새가 나서 구린내덩굴이라고 하며 계뇨등(鷄尿藤)이라고 한다.)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 학명 : Paederia scandens 분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 분포지역 : 한국(전남 ·경남 ·충북) ·일본 ·중국 ·필리핀 서식장소 : 산기슭의 양지쪽 크기 : 줄기 길이 5∼7m, 잎 길이 5∼12cm, 나비 1∼7cm 산기슭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줄기의 길이는 5∼7m이다. 잎은 길이 5~12cm, 나비 1∼7cm의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로 마주난다. 잎의 앞면은 털이 있고 뒷면에는 잔털이 있거나 없는 것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꽃차례[圓錐花序] 또는 취산꽃차례[聚揀花序]로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산야초의 효능 2023.11.22

골담초 효능

골담초 효능 1. 고혈압을 예방한다 골담초에는 몸속의 어혈을 제거해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어혈을 제거해 혈액순환이 보다 더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혈액순환이 촉진 되면 피가 깨끗해지기 때문에 고혈압과 여러가지 다양한 성인병 예뱡 및 개선이 아주 효과적인 식물 입니다. 2. 타박상 및 골절치료에 효과적이다. 골담초는 타박상이나 골절을 입은 환자들의 회복을 돋는데 있어서 아주 뛰어난 역할을 하는데요. 그러한 이유는 골절을 입은 환자의 뼈가 붙는 과정에 있어서 뼈가 시리고 통증이 생기는 현상을 완화해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3. 관절염 개선에 효과적이다. 골담초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이죠. 바로 관절에 좋은 영양제 입니다. 특히 관절염 그중에서도 류머티즘 관절염에 아주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산야초의 효능 2023.11.21

할미꽃(백두옹)의 효능

할미꽃(백두옹)효능과 민간요법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숙근초로 한국적 정취를 가장 잘 풍기는 야생화다. 새봄 차가운 대지위를 살포시 솟구치는 역동의 모습, 꽃봉오리가 굽어서 피는 겸손한 모습, 그리고 새하얀 머리처럼 부풀어지는 솜털 모습에서 할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고향의 추억을 느낄 수 있다. 70∼80년대만해도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할미꽃은 생태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뿌리에서 발견된 항암성분과 민간약제(천식치료) 사용을 위해 무분별하게 채취되어 자생지에서 점차 소멸되어가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특히 호광성이므로 종자가 비산되어 발아되어도 산야는 잡초가 우점된 탓으로 생육이 곤란하고 번식은 더욱더 어려운 실정이다. 초장 30∼40㎝정도이고..

산야초의 효능 2023.11.20

회향의 효능

회향의 효능 회향의 효능 회향 (廻香 fennel/Foeniculum vulgare) 요약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Foeniculum vulgare 분류 : 미나리과 원산지 : 남유럽 크기 : 1∼2m 본문 남유럽 원산이며 한때 약용자원으로 재배하였다. 곧게 1∼2m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녹색이고 털이 없다. 밑에서 자란 잎은 잎자루가 길고 위로 올라가면서 짧아지며 잎집으로 된다. 잎몸은 3∼4회 깃꼴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며 길이 4c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며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작은 산형꽃차례는 10∼20개이다. 총포와 작은 총포는 없다. 씨방은 하위이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이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는 7∼8월에 결실..

산야초의 효능 2023.11.19

홍경천의 효능

홍경천의 효능 돌꽃인 홍경천은 산소가 부족하고 매서운 추위를 이기면서 자라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로 뿌리에는 잔뿌리가 5~15개 정도 붙어 있고 주된 뿌리가 고산지대의 암석을 용해하면서 계속 뻗어나가기 때문에 그 뿌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홍경천은 강장제이다. 홍경천은 주로 중국 티벳 히말리아산맥 ,백두산의 해발 1천8백 미터에서 2천3백 미터 사이의 이끼낀 원시림 속 자작나무숲 과 협곡의 바위틈에서 많이 자란다. 한국에서는 참돌꽃이라고도 부르며 비슷 한 약효가 있는 식물로 돌꽃, 기린초, 애기 기린초, 낙지다리, 큰꿩의비름, 섬기린초 등이 있다. 홍경천은 전초를 약으로 쓸 수도 있지만 대개 굵은 뿌리를 약으로 쓴다. 최근 중국에서는 홍경천이 인삼을 능가하 는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인삼..

산야초의 효능 202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