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06

홍경천의 효능

홍경천의 효능 돌꽃인 홍경천은 산소가 부족하고 매서운 추위를 이기면서 자라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로 뿌리에는 잔뿌리가 5~15개 정도 붙어 있고 주된 뿌리가 고산지대의 암석을 용해하면서 계속 뻗어나가기 때문에 그 뿌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홍경천은 강장제이다. 홍경천은 주로 중국 티벳 히말리아산맥 ,백두산의 해발 1천8백 미터에서 2천3백 미터 사이의 이끼낀 원시림 속 자작나무숲 과 협곡의 바위틈에서 많이 자란다. 한국에서는 참돌꽃이라고도 부르며 비슷 한 약효가 있는 식물로 돌꽃, 기린초, 애기 기린초, 낙지다리, 큰꿩의비름, 섬기린초 등이 있다. 홍경천은 전초를 약으로 쓸 수도 있지만 대개 굵은 뿌리를 약으로 쓴다. 최근 중국에서는 홍경천이 인삼을 능가하 는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인삼..

산야초의 효능 2023.11.18

패랭이꽃의 효능

패랭이꽃의 효능 여러해살이풀로서 온몸에 흰 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는 듯한 색조를 보인다. 한 곳에서 여러 대의 줄기가 자라는데 높이는 30cm 안팎으로 자라고 위쪽에서 여러 개의 가지를 친다. 잎은 줄꼴의 모습이고 마디마다 두 장이 마주 자리한다. 가지 끝에 한 송이 또는 두 송이의 꽃이 피는데 꽃받침은 2cm 안팎의 길이를 가진 원통꼴이고 그 위에 다섯 매의 꽃잎이 수평으로 펼쳐진다. 꽃받침과 꽃잎의 생김새가 옛날 서민들이 쓰고 다니던 패랭이 모자와 흡사하다고 해서 패랭이꽃이라고 부른다. 패랭이꽃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한자로 구맥(瞿麥)은 열매속의 까맣고 납작한 씨의 모양이 보리를 닮았고 또는 씨를 맺을 때의 모습이 마치 보리와 같다고 해서 불여진 이름이다. 꽃의 지름은 2.5cm 안팎이고 분홍빛으로 핀..

산야초의 효능 2023.11.17

피나무의 효능

피나무의 효능 ▶ 항암작용(위암), 발한, 해열, 감기, 폐결핵,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열이 나는 데, 신경쇠약, 불면증, 진해거담약, 완화약, 진경진통제,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암, 고창, 위장병에 좋은 피나무 피나무는 피나무과 피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키는 20m 가량 자란다. 잎은 심장형이며 끝은 매우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뒷면 맥에 갈색 털이 있으며 꽃은 연한 노란색의 산방화서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피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3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9종이 분포되어 있다. 피나무(달피나무), 섬피나무, 규슈피나무(구주피나무), 연밥피나무, 찰피나무, 염주나무(구슬피나무), 둥근잎염주나무, 보리자나무(보리수나무), 웅기피나무(선봉피나무), 털피나무, 개염주나무,..

산야초의 효능 2023.11.16

초피나무의 효능

초피나무의 효능 (초피나무와 초피나무 꽃) 별명 : 제피나무, 젠피나무, 전피나무, 좀피나무 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과명 : 운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분포 : 중부 이남의 산기슭이나 야산, 평지의 잡목림 나무그늘에 자생 하며 일본, 중국 등 동부와 북미의 온대에 분포한다고 한다. 생김새와 특성 낙엽관목으로 산기슭·산허리·산골짜기 등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고 키가 3m에 달한다. 암, 수나무가 따로 있다. 가지를 많이 치며 가지에는 턱잎[托葉]이 변한 가시가 마주나며, 어린가지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사라진다. 잎은 5~9쌍의 기수우상복엽으로 잔잎의 가장자리에 물결치듯 거치가 있고 두텁다. 가지나 잎자루의 밑쪽에 가시가 1쌍씩 대생(對生:마디마다 두 개씩..

산야초의 효능 2023.11.15

주목과 그 열매의 효능

주목과 그 열매의 효능 주목 [Japanese yew, 朱木]식물 주목과(朱木科 Taxaceae)에 속하는 관상용 상록관목 또는 교목. 주목은 '붉은 나무'라는 뜻인데, 열매만 붉은 게 아니라 나무속까지 붉다. 일본이 원산지이며 북반구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키가 약 16m까지 자라 서양주목(T. baccata)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이보다는 내한성이 강하며 빨리 자란다. 각 잎의 아래쪽에는 2줄의 노란색 띠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목은 많은 원예품종들이 만들어져 있다. 줄기 옆에 달린 가지를 꺾꽂이하면 그 식물체는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관목으로 되나, 줄기 윗부분에 달린 가지를 꺾꽂이하면 식물체는 곧추서고 대칭을 이룬 원뿔 모양으로 자란다. 주목과 서양주목을 교잡하여 만들어진 잡종들도 있는데, 이들 가..

산야초의 효능 2023.11.14

전나무열매의 효능

전나무열매의 효능 전나무 열매를 맺으려면 최소 100년 이상이 되어야 열매가 맺힌답니다. 전나무는 주로 추운 지방에 자라면서 작은 수관에다 곧고 긴줄기를 한껏 뽐낸다. 4월하순에 황록색의 꽃이 피며 10월경에 길이 10센티정도의 원통형 솔방울이 익는다. 전나무는 소나무과에 딸린 나무이며 잎이 바늘처럼 날카로워 살을 찌른다. 소나무와 잣나무 곁에서 자란다고 하여 측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측백나무과에 딸린 나무인 향나무처럼 잎이 부드러운 측백나무와 혼동하기십다. 전나무는 쪽 곧은 줄기와 우산을 펼친 듯이 뻗은 가지의 자태가 매우 웅장하고 아름다운 나무이다. 수형이 아름답고 웅장하여 옛날 사대부 집 문앞에 햇볕을 가리는 차일로 즐겨 심었고 서양에서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인기가 있다. 전나무잎은 옛 선가의 수행..

산야초의 효능 2023.11.13

어린보릿잎의 효능

어린보릿잎의 효능 요약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분류 화본과 분포지역 스코틀랜드, 노르웨이, 시베리아, 알프스, 아프가니스탄, 히말라야, 티베트, 페루, 한국 서식장소 중국 양쯔강 상류의 티베트 지방, 카스피해 남쪽 터키 부근 크기 높이 약 1m 본문 주요 재배식물의 하나로서 높이 1m 정도다. 마디가 높고 원줄기는 둥글다. 속이 비어 있고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의 바소꼴로,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너비 10∼15mm이고,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잎혀[葉舌]는 짧다. 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고, 한 이삭에는 15∼20개..

산야초의 효능 2023.11.12

산사자(아가위)효능

산사자(아가위)효능 산사나무 [山査-] 아가위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산사자(山査子)라고 하며 건위제,소화제·정장제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고기를 많이 먹은 다음 소화제로 쓴다. 유럽에서는 유럽산사나무의 열매를 크라테거스(Crataegus)라고 하는데, 강심제로 쓰고 5월에 꽃이 피므로 메이플라워(May flower)라고도 한다. 한국·중국·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1.이용부위 5월과 6월 사이 피기 직전 혹은 막 피어난 산사나무 꽃과 잎, 9월 하순에서 10월에 익은 산사나무 열매, 산사 (아가위) 아가위는 능금나무과에 딸린 아가위나무의 열매다. 산사, 적과자, 산과자, 찔광이, 질구배, 아가배, 야광, 이광, ..

산야초의 효능 2023.11.11

산해박(서장경)의 효능

산해박(서장경)의 효능 불면증 , 신경쇠약에 특효 산해박 신경쇠약은 정신노동자에게잘생기는 질병으로쉽게흥분하고몸이늘피곤하며 머리가 아프고 잠을 잘 자지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경쇠약증 환자에게는대개여러가지 정신 증상과 신체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그 증상은 대략 다음과 같다. 1.울화병 증상 쉽게 화를 낸다. 사소한 일로 몹시 슬퍼하고 눈물을 흘린다. 별일도 아닌 일로고민하고늘긴장하고흥분하며과거에어려웠던일을회상하며슬퍼하다가기뻐하다가 한다. 잠들기가 어렵고 깊이 잠들지 못하며 꿈에시달리다가놀라서깨어나곤한다. 머리 부분의근육이당기고온몸근육이 아프고 사지가 뻣뻣해지곤 한다. 2.체력저하 병이 깊어지면서 체력이달리고힘이 없어진다. 모든 일에 의욕이 없고 늘 피곤해서 졸리며 깊이 잠들지 못하고 깨어난뒤에도..

산야초의 효능 2023.11.10

나문재(갯솔나무)의 효능

나문재(갯솔나무)의 효능 이 식물의 유래는 옛날 늘 이 나물만 반찬으로 먹던 사람들이 날마다 이것만 먹으려니 맛이 없어 늘 밥상 위에 남는 채소라 하여 '남은채' 라고 부르던 것이 '나문재'가 되었다고 합니다. 잎이 솔잎처럼 좁고 가늘어서 '갯솔나무' 라고도 부르는 나문재는 서해안 개벌이나 모래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라 바닷가 사람들이 나물로 즐겨 먹고 있습니다. 나문재에는 칼슘, 칼륨, 인, 철분, 나트륨 등의 미네랄과비타민 A, B₁, B₂, C 등이 매우 풍부해서 봄철 입맛을 돋워주고 기력을 회복시켜 주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주로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랍니다. 함초, 칠면초, 해홍나물, 수송나물과 함께 우리 나라 갯벌에서 자라는 염생식물 5종 중의 하나로간척지나 넓..

산야초의 효능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