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1

질경이(차전초)의 효능

질경이(차전초)의 효능 질경이는 질경이과에속하며 다년생초본으로 6~8월 꽃을 피우는 식물로 높이가 50cm정도까지 자란다고해요. 질경이라는 이름은 특이한데 한글명으로 길에서 흔하게 밟히며 사는 식물이며, 밟혀도 강하고 질긴 생명력으로 예전에는 길경이라 불리웠다고해요. 한자명은 마차가 지나간 바퀴자국 옆에 잘 자란다고하여 차전초(車前草)라하며, 질경이의 잎을 차전이라하고 질경이씨, 종자를 차전자라고 하며 약재로 사용했답니다. 질경이를 길가에 흔한 풀, 잡초로 많이 알고계시지만 질경이는 오래전부터 민간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부를 만큼 활용범위가 넓고 약효가 뛰어나다고해요. 방송에서 다방면에 좋다고 많이 소개되면서 효능이 더욱 알려졌는데요. 요새 다이어트에 좋다고 차전자피차 많이 드시잖아요. 그게 질경이 씨앗껍..

산야초의 효능 2023.10.22

지골피의 효능

지골피의 효능 지골피 : 구기자의 뿌리 껍질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약 4m. 줄기 높이는 1∼2m로 여러 개가 모여 나며 잘 분지(分枝)한다. 가지는 회갈색이며 가늘고 긴 줄무늬가 있고 작은 가지는 가시로 변형한다. 잎은 몇 개씩 모여 붙고, 긴 타원형이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 피고, 꽃부리는 연보라색이다. 액과(腋果)는 타원형으로 길이 1.5∼2㎝이며 익으면 과피(果皮)는 광택있는 붉은색이 된다. 잎은 구기염, 열매는 구기자, 뿌리의 껍질은 지골피(地骨皮)라고 한다. 모두 베타인을 함유하여 강장약으로 쓰이고 잎은 구기차로, 열매는 다른 생약과 배합해서 고혈압·현기증·간장질환·빈혈·요통 등의 치료에 쓰인다. 지골피도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해열·강장제로서 해수(咳嗽)·토혈(吐血)..

산야초의 효능 2023.10.21

절국대(음행초)의 효능

절국대(음행초)의 효능 분 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 절국대속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분 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원산지 : 한국. 학 명 : Siphonostegia chinensis Benth. 생약명 : 전초(全草)를 유기노(劉寄奴). 금기노(金寄奴). 이 명 : 절굿때, 절굿대, 음행초. 꽃 말 : 경계. 효 능 : 타박상, 화상, 산후복통, 황달, 상처출혈. 개화기 :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엽액에 1개씩 옆을 향해 달려서 수상으로 되며 꽃받침통은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2.5-4mm로서 튀어 나온 맥이 있으며 소포가 짧다. 꽃받침은 통부가 길이 10-18mm이고 지름 2-5mm이며 튀어나온 10 맥에 깔깔한 털이 있고 피침형의 5개 조각이 있다. 화관은..

산야초의 효능 2023.10.20

팥배나무의 효능

팥배나무의 효능 ○ 팥배나무 ◦팥배나무 : 장미과(蔷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어린가지는 많은 털이 있으며 키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는 조그만 톱니들이 있다. 5월 무렵에 담홍색 또는 흰색의 꽃이 짧은 가지 끝에서 총상(总状)꽃차례로 핀다. 꽃잎과 꽃받침 잎은 모두 5장이며, 암술대 아래쪽에 잔털이 있다. 붉은색의 열매는 지름이 6~8㎜ 정도로 가을에 익는데 이 열매를 '아그배'라고 하 여 먹기도 한다. ◦팥배나무의 효능(1) 1.물앵두나무 ․ 벌배나무 ․ 산매자나무 ․ 운향나무 ․ 물방치나무 라고도 한다. 높이 15m 내외이고 작은 가지에 피목이 뚜렷하며 수피는 회색빛을 띤 갈색이 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에서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

산야초의 효능 2023.10.19

죽순의 효능

죽순의 효능 죽순 효능을 오늘 함께 알아볼 예정입니다. 옛날부터 이 죽순은 맛이 좋고 식감 또한 좋아서 많이들 사용하였고 또한 담백하고 그리고 맛이 일품이라 식용으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특히나 죽순의 효능 중에는 여러 가지 장점들이 있어서 귀한 고급 요리 재료부터 약재로 까지 쓰였다고 합니다. 죽순 효능 대표적으로 대나무가 땅에서 나와서 자라는 어린싹을 죽순이라고 하는데요. 대나무가 많은 곳 하면 떠오르는 게 중국이죠. 맞습니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싹이 나오고 나서 10일이 지나게 되면 일단 대나무로 여겨져 먹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두르지 않으면 감당이 안된다고 할 때 우후죽순이라는 말의 어원이 되기도 합니다. 죽순은 동이보감에서 나오는 말로는 달지만 인삼과는 반대로 찬 성..

산야초의 효능 2023.10.18

명이나물(산마늘)의 효능

명이나물(산마늘)의 효능 고깃집 반찬으로 종종 나오는 명이나물 아시죠? 명이나물은 산에서 나는 나물 중 유일하게 마늘향이 난다고 하여 산마늘이라고도 불리는 산나물인데요. 산마늘은 먹을 것이 귀했던 시절 겨울 얼음을 뚫고 올라오는 새싹과 뿌리로 죽을 끓여 먹으며 명을 이어갔다고 하여 '명이나물'이라고도 부르고, 신선이 먹고 무병장수하였다 하여 '신선초'라 부르기도 한다고 하네요. 1. 면역력 증진 명이나물에는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항균작용이 뛰어나 각종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 주어 면역력 강화와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2. 소화능력 촉진 명이나물에는 알리신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알리신 성분은 위점막을 자극해 위 기능을 활발하게 해주는 역할을..

산야초의 효능 2023.10.17

부지깽이나물의 효능

부지깽이나물의 효능 부지깽이나물은 섬쑥부쟁이를 부르는 울릉도의 방언인데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해주는 부지기아초(不知飢餓草)"에서 부지깽이나물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하고, 국화과에 속하며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부지깽이나물은 독특한 향취가 있어서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또 식용유에 튀겨 부각으로도 만들어 먹는다. 부지깽이나물의 학명은 Aster glehni Fr. Schm.이인데 2003년 신현철교수와 현진오 박사의 이름을 따서 새로운 이름인 Aster pseudoglehni Lim, Hyun & Shin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인 당개(糖芥 ; Erysimum aurantiacum)와는 다른 식물이다. 섬쑥부쟁이, 부지깽이나물의 특성 부지깽이나물은 키높이가 50∼1..

산야초의 효능 2023.10.16

벗풀,질경이택사의 효능

벗풀,질경이택사의 효능 벗풀(arrowhead, 뜻: 신뢰) 벗풀은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Sagittaria trifolia 땅 속에 주경이 뻗으며, 잎은 뿌리로부터 뻗어나온다. 어릴 때는 물에 잠기는 가느다란 잎만을 가지지만, 어느 정도 자란 후에는 긴 잎자루를 파진 잎이 곧게 뻗어 물 위로 나온다. 잎몸은 밑부분이 둘로 갈라진 화살 모양인데, 길이는 7-15cm 정도가 된다. 꽃줄기는 높이 20-80cm 정도로, 8-10월경이 되면 3개의 꽃이 돌려난다. 일반적으로 아래쪽에는 암꽃, 위쪽에는 수꽃이 달린다. 달걀 모양의 포엽이 있으며 2개의 녹색을 떤 꽃받침조각을 가지고 있다. 한편, 3개의 흰색 꽃잎이 있는데, 하나하나의 길이는 8-10mm 정도이다. 수꽃에는 여러 개의 편평한 수술이 있다..

산야초의 효능 2023.10.15

칠해목의 효능

칠해목의 효능 o 해열, 해독, 감기, 옻독을 풀어주는 칠해목. o 까마귀밥여름나무(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는 범의귀과 까치 밥 나무속의 갈잎떨기나무이다. o 높이는 1~1.5미터까지 자라며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o 나무껍질은 자갈색이거나 회갈색이며 가지에 가시가 없다. o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둥글 게 붉은색으로 익는데, 약간 쓴맛이 난다. o 잎은 어긋나고 보통 크게 세갈래로 갈라지면서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 다. 효 능 o 부인허열핍력,월경불순,통경,청열,생진지갈,생리통,해열,갈증제거, 진액의 생성 촉진, 해독,감기를 다스리며 옻독을 안전하게 깨끗이 치료한다. o 뿌리에 부인허열핍력, 월경불순, 통경의 효능이 있고, 열매는 청열,..

산야초의 효능 2023.10.14

박주가리의 효능

박주가리의 효능 길가나 풀숲 어디서나 자생하는 박주가리, 멀리서보면 잎과 줄기 그리고 열매까지 하수오를 닮았습니다. 줄기길이는 약 3m정도로 보이며 잎이 변색이 되는것을 보면 성장은 멈춘것같네요. 잎은 삼각형태이며 끝부분은 뽀족하고 열매는 줄기 전체에 6~7개를 맺은상태입니다. ​아직은 익지않은 상태로 실밥같은 솜털은 아직 보여줄수가 없네요. ​ 그럼 아래에서 박주가리효능과 함께 잠시 살펴보고가기로합니다. ​ 7월경에 흰색으로 꽃이피어 열매는 10월경에 ​​익으며 하얀 유액속에는 독성분이 들어있으며 나물로 먹을때는 함부로 드시면 안되며 끓는물에 데쳐 잘 우려낸 후 ​드셔야합니다. 잎과 열매는 약용으로도 쓰이며 박주가리효능을 살펴보면 성질은 평한 편이며 ​원기를 돋구어주고 허약체질을 가지신분이나 폐결핵을 ..

산야초의 효능 202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