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
1910년 한일합방이 막바지에 접어들 때 일본은 우리 대신들에게 합병(合幷)을 요구하였다. 결국 5천년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는 일본의 속국이 되고 말았다. 이때 만들어진 용어다. 한문(漢文)은 원래 띄어쓰기가 없다. 따라서 띄어쓰기만 잘한다면 한문을 거의 다 배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문에는 띄어쓰기가 거의 필수적인 문장 해석의 기초가 된다. 일본인이 합병을 요구하자 우리의 대신들이 한 말, `불가불가(不可不可)." 이 말은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전혀 반대의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불가 불가(不可 不可)`라고 띄어 읽으면 `안 된다, 안 된다`가 된다. 그러나 만약 `불가불 가(不可不 可)`라고 한다면 `어쩔 수 없지만 좋다`는 뜻이 된다. 띄어 읽기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바뀌는 중요한 문제였다. 매국노들은 `불가 불가`라 했다며 핑계를 대었고, 일본인들은 `불가불 가`로 해석을 했다는 말이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856C3474FE9530317)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