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에스토니아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112)

eorks 2019. 9. 23. 00:22

세계무형유산 /에스토니아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Seto Leelo, Seto polyphonic singing tradition]
요약 : 에스토니아 남동부와 러시아 연방의 페크호뤼(Pechory) 지역에 거주하는 세토 민족(에스토니아어 : 세투(Setu))은 고대 폴리포니 전통인 ‘렐로(leelo)’를 연행하고 있다. 이 전통은 오늘날 세토 민족의 정체성의 근간이다. 전통 의상을 차려 입고 전통 멜로디로 연행하는 렐로는 리드 싱어가 한 절을 시작하면 이어서 합창으로 마지막 절을 부르고 나서 전체 소절을 반복하는 형식이다.

가사는 이전의 연행을 보고 배우게 되지만, 탁월한 리드 싱어는 가사를 즉흥적으로 짓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합창단 대부분은 여성으로 구성되고, 가장 뛰어난 리드 싱어가 ‘세토 왕국의 날(Seto Kingdom Day, 에스토니아어 : 세투 왕국의 날)’에 왕의 ‘노래의 어머니(Mother of Song)’가 되는 영예를 갖는다. 비록 오늘날에는 공연할 무대가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예전에는 세토의 농촌 지역에서 거의 모든 일상생활 중에 렐로를 불렀으며, 아직도 활기찬 세토 문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렐로는 공동체의 행사에 늘 연행되는 예술이다. 렐로 연행은 관광객에게 인기 있으며, 세토 인들에게는 자부심의 원천이어서 렐로 합창단은 공동체의 중심축이자 지역 정체성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국가 : 에스토니아(Estoni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렐로는 세토 전 지역에서 나타나는 세토 문화 중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렐로 합창단은 오늘날 세토 인들이 거주하는 에스토니아의 큰 도시 세토마(Setomaa, Setumaa)에서 창설되었다. 렐로는 세토인의 정체성의 근간으로서 세토 공동체의 거의 모든 행사에서 들을 수 있다. 렐로 합창단과 세토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함께 렐로를 부른다. 뿐만 아니라 합창단은 에스토니아 인들과 외국 관광객들에게 렐로와 세토의 전통을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 세토 합창단은 인접 국가들과 유럽 너머 해외에서도 상당히 자주 공연하고 있다.

    세토 렐로는 예전에 발토핀니크 족(Balto-Finnic, 발트핀)이 시를 노래로 부르던 전통에서 발전한 고유한 폴리포니 음악이다. 발트 해 주변에 사는 발트핀 족들, 즉 보트 족(Votians)·이조르 족(Izhorians, ижорцы)·카렐리야 족(Карелия, Karelians)·핀 족 등은 시를 노래하는 전통이 있었다. 세토 렐로의 특징 가운데는 음성을 내는 방식과 성부를 나누어 부르는 방식이 있는데, 이것은 러시아의 노래 전통과 유사하다.

    본문 : 세토 렐로(글자 그대로 ‘노래’라는 뜻)는 세토 민족의 전통적 노래 양식·레퍼토리·문화를 의미한다. 세토 렐로의 시적 구조와 음악적 특징은 천 년의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과 운율은 발트핀 족의 루노 노래(runo-song, 루놀라울루(Runolaulu, 에스토니아와 핀란드의 노래 전통)) 전통에서 나온 지역 버전의 형태로, 렐로는 솔로 부분과 합창 부분이 번갈아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리드 싱어가 한 소절을 부르면 마지막 소절을 합창단이 함께 부르고 다시 전체 소절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전통적 작시와 시적이고 운율적인 체계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세토의 리드 싱어들은 특정한 상황에 맞게 그때그때 새로운 가사를 지어낸다. 예전의 훌륭한 연행을 보고 배운 가사로 노래를 부르기도 하지만, 가사를 잘 짓는 재능은 좋은 리드 싱어가 꼭 갖추어야 할 자질이다. 사용할 수 있는 멜로디의 양은 제한적이고 안정적이며, 노래를 부를 상황에 따라 특정한 노래 장르가 정해져 있다. 대체로 오늘날의 세토 가창자는 새로운 멜로디를 만들어 내지는 않고 적합한 전통 곡조 중에서 선택해서 부른다.

    세토의 전통에는 단성 가창 음악도 있지만, 렐로의 독특한 특성은 다성부의 노래를 함께 불러 특별한 음색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합창단은 리드 싱어가 부르는 소절을 두세 성부로 반복해서 부른다. 합창단의 대부분은 단원이 리드 파트인 토러(torrõ)를 부른다. 앞 선율보다 낮은 토러를 편차를 두고 추가하여 동일한 선율을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동시에 연행한다. 렐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다성 고음부인 킬러(killõ)인데 이것은 강하고 높은 음색을 가진 가창자가 부른다. 리드 싱어는 선창할 때는 마치 말을 하는 것처럼 변화를 주면서 좀 빠른 템포로 부르지만, 합창 부분에서는 좀 더 느리게 안정적이고 듣기 좋게 부른다.

    의례와 관습은 물론 일·여가활동·축제 등 세토 인들의 삶 구석구석에는 노래가 등장한다. 공동체의 생활방식이나 규칙은 노래를 통해서 전해지고, 노래를 통해 사회에 대해 의견이나 비판을 하기도 한다. 세토 문화는 민속적이면서도 종교적인 삶이 서로 얽힌 특징이 있다. 에스토니아에는 주로 프로테스탄트가 많지만 세토에는 러시아 종교가 주를 이룬다. 교회의 주일과 사순절이 그들의 달력을 구분하며 교회의 절기와 종교적 관습에 따라 가창을 하는 횟수가 정해지다.

    렐로는 주로 여성들이 전승 및 발전시켜 왔다. 노래를 잘 짓고 풍부한 레퍼토리를 가진 사람이 주로 노래를 주도하는데 이런 여인을 ‘서놀리네(sõnoline, 말재주가 있는)’ 또는 ‘라울루이매(lauluimä, 노래의 어머니)’라고 부른다. 1986년부터 오비니차(Obinitsa) 마을에서는 ‘노래의 어머니’를 기념하고 있다. 현재 가장 유명한 사람으로는 민나 하인소(Minna Hainsoo)·레이다 헬리스테(Leida Heliste)·마리아 쿠카(Maria Kukka)·안나 커이브(Anna Kõiv)·안네 린누푸(Anne Linnupuu)·알렉산드라 로흐크(Aleksandra Lohk)·마리아 노르메츠(Maria Noormets)·어이에 사르브(Õie Sarv)·안네 세파매기(Anne Sepamägi)·올가 티크(Olga Tiik)·마레트 바바르나(Maret Vabarna) 등이 있다. 세토 렐로를 부른 남자들에 대한 기록이나 연구는 별로 없지만 2008년 현재 2개의 남성 렐로 합창단이 있다.

    20세기 초까지 ‘합창(choir)’이라는 말은 한 가정이나 마을 사람들이 즉흥적으로 모여 노래를 부르는 것을 의미했다. 점차 세토 공동체 밖에서도 연행하게 됨으로써 합창이라는 것이 서서히 정착되었지만 반면 민간에서 좀 더 친밀하고 즉흥적으로 노래를 부를 기회는 줄어들었다. 소비에트 시대와 문화 전반에 대한 변화의 제약 때문에 세토의 렐로는 무대에 올리는 ‘아마추어 예술’이자 ‘전통 문화’일 뿐이었다. 조직된 합창단에서는 가창자들이 전통 절기를 따르거나 장소에 따라 특정한 노래를 부를 수 없다. 따라서 특정 의식이나 시기에 따라 부르지 않아도 되는 장르가 더 오래 남게 되었다.

    합창단에서는 비교적 고정된 레퍼토리를 채택했다. 따라서 노래 가사를 즉흥적으로 잘 만들어내는 가창자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자신감을 가지고 즐기며 노래를 부르고 있고, 세토 청중들은 렐로의 가사가 시의적이며 통렬하다고 여기고 있어서, 활기가 넘치고 강렬한 공연이 되고 있다. 렐로는 렐로에 관한 논의와 의견을 통해서도 그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세토 렐로 전통은 지역 공동체의 행사에서도 눈에 띤다. 합창단은 전통을 전승하고 있는 중요한 주체이다. 세토의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승하고 있는 합창단들은 공동체의 핵심이자 세토마 지역 너머에서도 세토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서로 다른 연령의 여성들은 모여서 세토의 전통지식을 전승한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세토 어 사용이 줄고 있으므로 세토 어 사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린이 합창단을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에스토니아와 사회·정치적으로 통합된 세토의 전통·종교·교회는 이들 공동체에게 특별한 역할을 한다. 세토 인이라면 세토 어를 말하고 전통 노래를 하고 관습을 따라야 한다. 최근 몇 십 년 사이에 세토 인들은 즉흥 가창의 가치를 재인식하면서 렐로를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 불러들이고자 하고 있다. 가창자는 과거와 반드시 연관될 필요가 있다. 노래 그 자체가 옛 세대들로부터 물려받은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과거 기록으로부터 배운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 렐로 가창에 입는 전통 의상과 장신구는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온 것들이며 이런 것들을 축제 행사에서 착용한다.

    1991년 에스토니아가 독립하고 난 후 세토의 문화적·정치적 활동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몇 개의 합창단이 새로 결성되었다. 렐로는 지역의 새로운 축제와 전통 축제 모두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종교 축일인 키르마스(kirmas)와 같은 마을 축제가 이전보다 자주 열리고 사람들은 전통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세토 어로 노래를 부른다. 1977년에 ‘렐로의 날’ 축제가 시작되어 거의 모든 렐로 합창단이 참여한다. 1994년부터 ‘세토 왕국의 날’을 매년 기념하면서 세토의 정체성을 강하게 보여 주고 있다. 전통 문화에 바탕을 둔 이 행사들은 모두 키르마스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축일에는 즉흥 가창이 주를 이루며, 렐로 짓기 경연대회가 열리고 우승자는 ‘노래의 여왕’이라는 최고의 영예를 얻는다. 어린이날에도 세토 문화유산과 관련된 활동과 행사를 한다.

    세토 렐로에 관한 학문적 기록과 연구가 과거 150년간 계속되어 세토 렐로에 관한 기록물은 상당량 있다. 다양한 출판물에서 세토 노래의 여러 장르를 찾아볼 수도 있다. 에스토니아의 몇몇 작곡가들은 세토 음악을 자신들의 작품에 이용하였고, 최근에는 렐로를 대중적 양식으로도 편곡한 경우도 있다. 렐로 편곡들은 공동체의 인정을 받지는 않았지만, 렐로와 그 관련 요소를 젊은 세대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세토 렐로, 세토 민족의 폴리포니 가창(歌唱) 전통 [Seto Leelo, Seto polyphonic singing tradition]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