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중국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Sericulture and silk craftsmanship of China]요약 : 중국의 양잠 및 비단 직조 공예(中国蚕桑丝织技艺)는 역사가 매우 오래된 기술 및 예술이다. 이 기술은 상하이(上海)와 쓰촨 성(四川省) 청두(成都) 인근의 저장 성(浙江省) 및 장쑤 성(江蘇省)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비단은 농촌 지역의 경제활동에서 전통적으로 여성이 주요한 역할을 하여 생산하였다. 비단을 만드는 공정은 뽕나무를 심고, 누에를 기르며, 누에를 켜서, 누에 실을 뽑아내고, 견사를 만들어, 천을 디자인하고 짜는 작업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한다. 양잠 기술은 가족 내 혹은 장인 – 전수생의 도제식으로 전승되어 왔는데, 대개 지역 공동체 내부에서 기술이 확산되었다.
중국 사람들은 누에의 일생을 두고 인간의 삶과 죽음, 환생을 보여 준다고 여겼다. 마을 곳곳에 있는 연못에 누에의 배설물을 뿌리면 물고기의 먹이가 되고, 그 연못에서 얻은 진흙은 뽕나무의 비료가 되며, 뽕나무 잎은 다시 누에의 먹이가 된다. 음력설이 다가오면, 양잠 농가에서는 악귀를 내쫓고 풍작을 기원하는 뜻에서 ‘찬센(蚕神)’ 이야기를 공연하도록 예술인들을 집에 초대한다. 양잠하는 여인들은 해마다 4월이면 찬화지에(蚕花节)을 맞아 비단이나 종이로 만든 다채로운 꽃으로 치장하고 제물을 마련하기도 한다. 비단은 비단 옷, 비단 퀼트, 비단 우산, 비단 부채, 비단 꽃 등과 같이 특별한 형태로 만들어져서 중국 농촌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국가 : 중국(China)
등재연도 : 2009년
지역 정보 : 양잠 및 비단 생산과 관련된 공예 기술 및 민속 풍습은 고대 시대부터 중국 전역에 확산되어 있었다. 비단과 관련된 공동체 및 단체는 주로 저장 성 북부 타이후(太湖) 호수 지역, 장쑤 성 남부, 쓰촨 성 청두를 중심으로 밀집해 있다. 아울러 안후이 성(安徽省), 산둥 성(山東省), 신장(新绛) 자치구 등을 비롯한 일부 성과 자치구 등지에서도 뽕나무를 심고 누에를 치고 있다.
본문 : 양잠 및 비단 직조 공예는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전승되어 온 것으로, 전통 방식으로 누에 기르기, 비단 염색, 직조하기, 그리고 그로부터 파생된 해당 민속 풍습 전체를 통칭한다. 중국의 양잠 및 비단 직조 공예는 5,00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비단 조각, 초기 베틀, 그리고 누에 문양으로 장식된 도자기가 타이후 호수 인근 유적에서 발굴됨으로써 이 지역 양잠 및 비단 생산이 4,000년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어, 비단과 관련된 유구한 역사를 알 수 있다. 역사의 흐름과 함께 비단을 만드는 전통 기술도 발달하였는데,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뽕나무 식목 : 뽕나무 묘목 재배, 뽕나무 가지치기 및 다양한 접목(接木) 방식 포함.
양잠(누에 기르기) : 누에씨 선정, 교잡, 사육, 누에 알까기, 누에 사육을 위한 연모, 온도 및 습도 조절기, 선반 설치 방법 포함.
누에 켜기(실뽑기) : 고치 선별 및 벗기기, 염색 및 가염과 같은 고치 보존법, 온도 조절 및 고치 삶는 과정, 잠사를 켜기 위한 시설 및 기술 등 포함.
견사 생산 : 헹구기 및 가르기 기술 포함.
직조 도구 : 발틀 베틀, 복수의 용두머리와 복수의 발틀로 구성된 무늬 짜는 베틀, 짧은 쇠꼬리 베틀, 긴 쇠꼬리 베틀 등을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베틀, 잉앗대 배치, 공인기(空引機)를 이용한 문양 설계 포함.
직물 디자인 및 직조 : ‘압석(壓石)’을 이용해 광택을 내는 돈수(緞子, 광택과 무늬가 있고 두꺼운 수자직의 비단), 항저우(杭州)의 날실이 교차하는 무늬 있는 사(紗, 발을 성기게 짠 얇고 가벼운 견직물), 평직(平織) 문양이 있는 수진(蜀錦, 쓰촨 특산품인 색채가 아름답고 값진 채색 비단.), 송(宋)대 스타일의 돋을무늬 비단(lampas, 랑파) 짜기 및 태피스트리 구조로 짠 비단 자수 등을 비롯해 다양한 조직과 문양의 디자인 및 직조 기술 포함.
양잠 및 비단 직조 공예는 최고의 소재로서 책과 그림의 형태로 요약되고 출간되었다. 남송 시대의 누숙(樓璹, 1190~1162)은 항저우 지방의 비단 제작 과정을 〈잠직도(蠶織圖)〉에 세밀하게 그려 넣었고, 진부(陳旉, 1149년)는 저작 『농서(農書)』의 한 장(章)을 할애하여 이 지역의 양잠 및 조사(繰絲, 누에고치에서 실을 켜내는 작업)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 두 자료는 지역 주민들이 축적해 온 자연에 관한 심오한 지식, 지방의 기후 및 풍토와 수자원의 여건에 따라 발달한 양잠의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양잠은 이 지방 문화유산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중국 양잠의 기원은 자연과 인간 사이의 완벽한 조화를 꿈꾸는 중국인들의 이상과 관련이 있다. 이전 세대는 알에서부터 애벌레, 번데기, 마침내 나방으로 이어지며 변태(變態)하는 누에의 일생을 탄생과 죽음, 저승에서의 환생으로 이어지는 상상 속 인간의 생명 주기와 관련짓기도 하였다. 때문에 중국인들은 누에를 숭배하여 실내에서 기르기 시작하였고, 양잠 산업의 발전과 함께 축제와 축하행사, 일상적 의례, 민간 신앙, 언어, 문학 및 전통 예술 등을 비롯한 일련의 민간 풍습이 발달하였다.
예를 들어 해마다 4월 초에 청명(清明)을 맞아 찬화지에 행사가 열리면 인근 지역 양잠 농가의 여성들이 비단이나 종이로 만든 화려한 찬화(蚕花)를 머리에 꽂고 저장 성 자싱(嘉興)과 후저우(湖州)에 모인다. 그들은 ‘찬센’ 레이주(嫘祖)에게 공물을 바치고 풍요로운 고치 수확을 기원한다. 한편, ‘사오찬화(扫蚕花)’라는 또 다른 행사가 있다. 해마다 춘절(春節, 음력 정월 초하루)이 되면 양잠 농가에서는 악귀를 내쫓고 풍요로운 고치 수확을 기원하는 뜻에서 ‘찬센’ 이야기를 공연하도록 예술인들을 집에 초대한다.
양잠과 비단은 중국 민족의 문화적 상징이다. 그래서 중국을 두고 언제나 ‘비단의 고향’이라고 일컬어 왔다. 양잠과 비단 덕분에 중국인들은 공통된 풍습과 생활환경을 공유하였고, 공동의 문화권역을 형성하였다. 뽕나무 식목과 양잠, 비단 직조와 관련해 동일한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나, 도시와 마을마다 비단과 관련된 전문 노동 분야가 따로 있다.
예를 들면, 후저우 시에서는 단자와 실크 크레이프, 자싱 시에서는 호박단(taffeta, 琥珀緞), 항저우 시에서는 사, 쑤저우 시에서는 돋을무늬 비단과 태피스트리, 청두에서는 다채로운 색상의 평직 비단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상호 교환과 보완을 통해 비단 생산 체계는 완벽한 형태를 구축하고 있다. 양잠과 비단 덕분에 이 지역 사람들은 또한 유사한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다. 이 지방 사람들은 단순히 비단 옷을 입는데 그치지 않고, 견사를 이용한 퀼트, 비단 우산, 비단 부채, 얇은 비단으로 만든 꽃(綵華, 채화) 등을 만들어 사용했다. 요컨대, 그들은 일생 동안 비단과 함께 살면서 비단을 이 지방 제일가는 특산품으로 만들었다.
양잠과 비단 생산 방식은 이 지역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가장 경쟁력이 높으며 자연 친화적이다. 그래서 비단 생산은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경제 수입원이기도 했다. 이 지역은 중국에서 수자원이 가장 풍부하며, 토양과 기온, 수자원 여건 등이 모두 양잠에 적합하다. 마을 곳곳에 산재한 연못은 긍정적인 생태 순환이 형성된 뽕나무 연못으로 변화하였다. 다시 말해, 누에의 배설물을 연못에 뿌리면 물고기의 먹이가 되고, 그 연못에서 얻은 진흙은 뽕나무의 비료가 되고, 뽕나무 잎은 다시 누에의 먹이가 된다. 사방팔방으로 연결되는 수로망은 상기한 비단 생산지 사이를 누비는 가장 좋은 운송 수단이고, 비단 교역은 이 지역 경제의 발전을 촉진한다.
전승 정보 : 양잠 및 비단 직조 공예는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전승되어 왔고, 그 와중에 끊임없는 혁신을 거쳤다. 주로 가족 내에서, 스승-도제로, 혹은 구성원들 안에서 전승되고 있다. 양잠은 전통적으로 ‘남자는 농사, 여자는 직물’을 표방하는 중국 농촌 경제의 중요한 한 단면에 보여주며, 주로 가족 내에서 전승되고 있다. 송(宋) 왕조(10세기) 이래로, 개인이 운영하는 작업장이나 명(明)과 청(淸)대(14세기~19세기)에 항저우 및 쑤저우(蘇州)에 설치되어 황제가 운영하는 작업장에서는 스승-도제의 방식을 한층 폭넓게 채택하였다. 대체로 기술은 활발하게 공유하는 직공들 사이에서 서로 전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중국의 양잠과 비단 직조 공예 [Sericulture and silk craftsmanship of China]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