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조용헌 살롱] (5)

eorks 2023. 8. 9. 04:25

풍수지리(風水地理)

[조용헌 살롱] (5)
후천개벽 주장한 ‘正易’의 김일부 선생
숙신비결은 탄허가 계룡산 학하리의 자광사에 머무르던 시절 입수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시기가 1970년대 초반이었다. 학하리는 명당으로 소문난 곳이었다. 일명 추성낙지(樞星落地)의 명당으로 불렸다. 추성은 중심이 되는 별이니 북극성을 가리킨다. 북극성이 떨어진 자리니 그 의미가 심중하다. 계룡산 전체가 명당이 수두룩한 곳이지만 탄허는 그중에서도 학하리를 아주 좋아하였다. 자광사 터는 원래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공부하던 집성사(集成社) 자리로, 우암이 여기에 주자(朱子) 영정 모셔놓고 공부하던 곳이다. 지금도 우암이 심은 소나무가 남아 있어 옛날의 자취를 전하고 있다.

탄허가 머무르던 1970년대 초반의 자광사에는 괴물들이 많이 모여들었다. 그 괴물 가운데 한사람이 해운(海雲)이었다. 해운은 탄허보다 대략 7~8년 연상쯤의 나이였으니 지금 살아 있다면 100세 정도 되었지 않나 싶다. 그는 한일합방이 되자 중국으로 건너가 중국 천지를 방랑하였다. 태산을 비롯한 중국의 명산들에 올라가 산세를 굽어보고, 대천을 방랑하면서 수많은 기인들과 만났다. 1920~30년대 중국에서는 독자적인 무력을 보유한 군벌들이 이곳 저곳에서 할거하고 있었는데, 그 군벌들의 우두머리들과 교류하면서 관상도 보아주고 사주도 봐줄 만큼 중국말에도 능통하였다.

그는 1년 열두달 항상 시커먼 중국 옷을 입고 다녔다고 한다. 누가 욕하더라도 한번도 성질을 내는 법이 없을 정도로 그릇이 컸던 인물이었다. 기분 나빠도 ‘허-허’ 웃고 나면 끝이었다. 배고프면 아무것이나 먹고 잠이 오면 잠자리를 따지지 않고 잘 수 있는 낭인과의 전형이었다. 산에 가면 도인이요, 세속에 내려오면 영락없는 시정잡배였다. 잡배적인 기질은 그가 접촉한 여자만 해도 800명에 달했다는 고백에서도 나타난다. 미국의 소문난 플레이보이 클린턴도 200명 선에 그쳤다고 하니 해운에게 비교하면 족탈불급이다.

사나이 대장부가 1,000명을 채워야 하는데, 그것을 못 채워 좀 아쉽다고 한탄할 만큼 해운은 무애(無碍)의 기질을 지녔던 괴물이었다. 승속에 전혀 걸림이 없었다고나 할까. 그는 중국 일대를 방랑하는 과정에서 주역과 관상, 그리고 수많은 비결을 입수할 수 있었다. 걸림이 없는 성품에다 관상과 주역에도 능통했던 만큼 누구를 만나도 긴장하는 법이 없었다. 그런가 하면 한시(漢詩)에도 대가의 경지에 들어 있었다. 박금규(원광대·한문교육과) 교수가 탄허 스님을 시봉하던 시절이었던 1968년 서울 대원암에서 해운을 만났을 때, 해운이 즉석에서 지어준 칠언절구는 다음과 같다.

水裏月何天上月
(물 속에 있는 달이 어찌 천상의 달이겠는가)
鏡中人不案前人
(거울 속에 비치는 사람은 책상 앞의 사람이 아니듯)
靜觀形影相依處
(고요히 관찰하면 형상과 그림자는 서로 떼어놓을 수 없다)
無是假時無是眞
(가짜가 없으면 진짜도 또한 없는 법이다)

즉석에서 ‘무시가시무시진’(無是假時無是眞)이라는 절창을 읊을 정도의 사상적 깊이와 문장을 지녔던 해운. 그런 해운이었기에 당대의 고승이자 석학으로 알려진 탄허에게도 천연덕스럽게 반말을 사용하였다. 스님이라고 하지 않고 신도가 옆에서 보든 말든 ‘어이, 탄허!’가 호칭이었다. 한마디로 탄허는 해운의 밥이었다. 그런데도 탄허는 해운을 끔찍하게 좋아하면서 돌봐주었다. 필자가 추측하기로는 숙신비결은 바로 해운에게서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옛 고구려 땅인 만주 일대를 돌아다니면서 많은 비결을 접하였다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숙신비결을 입수하였던 것 같다. 숙신비결은 탄허에게 넘어갔고, 탄허의 제자들을 통해 세상에 알려진 셈이다.

1960년대에서 1970년에 걸쳐 계룡산파가 운집했던 자광사. 그 자광사에서 이루어졌던 해운과 탄허의 만남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숙신비결보다 ‘정역’(正易)이다. 해운은 ‘정역’에도 전문가였던 것이다. 지금 생각해 보면 탄허가 해운에게 매료된 부분은 아마도 이 대목이었지 않나 싶다. 구한말 김일부(金一夫) 선생이 저술한 ‘정역’은 기존의 주역에 하도낙서·음양오행·십간십이지·고천문학·사서삼경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인 책이라서 난해하기 그지없다. 이 분야를 전부 알아야만 이해가 가능하다. 이는 마치 김일부라는 천재가 평생 공부한 것을 요약한 박사논문과도 같아서 범상한 IQ 가지고는 접근이 안되는 학문이다.

‘정역’의 요점을 간단하게 말한다면 지축이 바뀐다는 것이다. 요즘 식으로 표현하면 어마어마한 거대담론이 후천개벽설이다. 한·중·일 3국 가운데 후천개벽을 주장하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일본·중국에서는 후천개벽이라는 용어가 아예 없다. 그만큼 독창적인 사상이자 예언이 바로 후천개벽설인데, 남들이 이야기 하지 않는 독창적인 예언인 만큼 위험부담은 따른다. 일부 선생이 주장한 후천개벽의 초점은 지축이 바뀐다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현재 1년 365일이 360일로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되면 지구상의 총체적인 변화가 뒤따른다.


......^^백두대간^^.......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헌 살롱] (7)  (0) 2023.08.11
[조용헌 살롱] (6)  (0) 2023.08.10
[조용헌 살롱] (4)  (0) 2023.08.08
[조용헌 살롱] (3)  (0) 2023.08.07
[조용헌 살롱](2)  (2) 2023.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