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04

큰마개버섯

큰마개버섯 큰마개버섯 Gomphidius roseus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못버섯과, 마개버섯속 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크지 않은 소나무와 잡목의 혼합림으로 된 서북향의 야산, 작은 능선에 가까운 경사면의 소나무 낙엽사이에 황소비단그물버섯이 발생하는 곳에 몇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의 특징이 황소비단그물버섯과의 공생이다.맛이 좋은 식용 버섯 이다.갓은 지름 4~6 cm 정도로 어릴때 반원모양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 후 얇은 깔때기모양으로 된다.  갓의 표면은 습할때는 끈적거리고 연 한 홍색에서 적색으로 변해가며 오래되면 검은 얼룩이 생긴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자루에 내려붙은 주름로 간격은 엉성하고 폭은 약간 넓으며, 색은 회백색에서 암회갈색으..

산야초의 효능 2024.08.14

독청버섯아재비

독청버섯아재비독청버섯아재비 , 담자균문,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독청버섯속 의 버섯이다.시내에 있는 평지에 조성 된 녹지 공원에 나무를 파쇄하여 풀밭에 깔아놓은 곳에 많은 수가 발생하고 있었다.맛있는 식용버섯으로 항종양 작용도 있다.이 버섯은 갓의 색이 다양하여 자주색형, 황색형, 자주+황색형, 등이 발견되는데 포도주갈색 에서 회갈색으로 된다고 한다.주름의 색은 어릴때는 흰색에 가까운 자색이었다가 점차 흑자색으로 바뀐다. 크기도 매우 다양하여 작게는 3cm 에서 크게는 15 cm 까지 발견 되었으며, 현장에서는 2cm 정도의 노란색을 하는 전혀 다른 버섯 같은 버섯도 발견 되었다.......^^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2024.08.13

흰가시광대버섯

흰가시광대버섯흰가시광대버섯담자균류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의 버섯이다.여름부터 가을까지 숲 속의 땅에 한 개씩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9~20cm이고 둥근 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턱받이의 찢어진 조각이 붙어 있다. 갓 표면은 흰색 바탕에 작은 가루가 덮고 있으며 사마귀 점이 높이 3mm의 원뿔 모양으로 많이 나 있다. 살은 흰색이고 건조해지면 불쾌한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고 흰색 또는 크림색이다. 버섯대는 굵기 1.5~2.5cm, 길이 12~22cm이고 밑부분이 불룩하며 속이 비어 있다. 버섯대 표면은 흰색 바탕에 솜털 같은 비늘조각이 붙어 있며 밑부분에 사마귀 점이 고리를 이룬다. 턱받이는 막처럼 생겼고 큰 편이다. 홀씨는 8~10.5×6~7.5㎛이고 타원 모양이다.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한..

산야초의 효능 2024.08.12

붉은점박이광대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붉은점박이광대버섯(Amanita rubescens)갓의 지름은 6-18cm로 둥근 산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하게 되며 가장자리가 위로 올라간다. 표면은 적갈색에서 회백색 또는 연한 갈색으로 되고, 가루모양인 외피막의 파편이 붙는다. 조직은 백색인데 상처를 입으면 적갈색으로 변색한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로 백색이나 적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대의 길이는 8-24cm이고 굵기는 0.6-2.5cm로 연한 적갈색이며 상부에 백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고 근부는 부풀며 대주머니의 파편이 고리모양으로 붙어 있으나 차츰 차츰 없어진다. 포자의 크기는 8-9.5×6-7.5㎛이고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아미로이드(전분)반응이다. 발생시기는 여름에서 가을사이에 침엽수 또는 활엽수림의 땅위에 단생 또는 산생한다. ..

산야초의 효능 2024.08.11

외대덧버섯(식용)과 삿갓외대버섯(독버섯) 구별법

외대덧버섯(식용)과 삿갓외대버섯(독버섯) 구별법가을철 버섯 중독 사고의 한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버섯이 "삿갓외대버섯" 인데 이 버섯은 식용버섯인 "외대덧버섯" 과 흡사하여 많은 분들이 오판하는 일이 많습니다.   외대덧버섯은 대체적으로 대가 굵고 실하다.(삿갓외대버섯 보다 대체적으로 2~3배 가량은 굵다) 외대덧버섯은 갓표면에 물방울 무늬와 백색의 분말(밀가루)처럼 보이는 것이 있다. 야생버섯은 자라는 자생지 환경과 자라는 과정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고광량에 따라 아주 다른 버섯처름 보여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주 흡사한 독버섯과 육안상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외형상으로 가지는 특징으로는 판단을 할 수 없는을 때가 있습니다.많은 답변자들의 각자 다른 판단으로 ..

산야초의 효능 2024.08.10

노란띠끈적버섯

노란띠끈적버섯식용버섯인 노란띠끈적버섯은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과 항종양 작용 외에도 방사성 물질 세시움과 중금속 수은을 흡수적 능력이 있어서 환경정화에 이용할 수 있는 버섯이다. 노란띠끈적버섯 Cortinarius caperatus(Pers.) Fr. (1838) =노란띠버섯 Rozites caperata (Pers.) P. Karst.   영어이름 Gypsy Mushroom. 대 중간에 턱받이가 있다.조금 전까지 노란띠버섯속(Rozites)으로 분류 하였으나  DNA 검사로 끈적버섯속(Cortinarius)으로 바뀌었다. 영어 이름 Gypsy라는 이름은 유럽에서 붙인 이름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종명 caperatus란 “주름 진”이라는 뜻이다. 5-10cm 크기의 유균일 때는 둥..

산야초의 효능 2024.08.09

뿌리자갈버섯

뿌리자갈버섯 뿌리자갈버섯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독청버서과, 자갈버섯속 의 버섯이다.계룡산에 딸린 서북향의 산, 주로 소나무가 주종이고, 잡목이 가끔 섞인 산자락 언덕 위의 좀 평평 한 곳에 지름 약 15 cm , 깊이 약 10 cm 정도의 움푹 하인 곳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식 독 불명의 버섯이다.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구, 독청버섯과), 자갈버섯속 의 버섯이다.이 버섯은 긴뿌리자갈버섯(긴꼬리자갈버섯)과 매우 유사한데, 차이점은 긴뿌리자갈버섯은 암모니아가스가 방출되는 동물의 변, 또는 시체가 썩은곳에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는 점 이다. 긴뿌리자갈버섯이 소형 내지 중형이고 자루의 기부쪽이 가늘어 지며 땅속으로 들어간 뿌리같은 곳은 좀 ..

산야초의 효능 2024.08.08

차양 끈적버섯

차양 끈적버섯차양 끈적버섯[식용버섯]☆ 분      류 : 버석목 끈적버섯과 버섯속               ☆ 발생시기 : 가을                                            ☆ 발생장소 : 광엽수림(자작나무) 내 지상에서 산생☆ 용      도 : 식용버섯                                       ♣ 차양 끈적버섯의 생김새☆ 갓의 표면은 건성이고 황갈색, 주름살은 성글다.                       ☆ 대는 유백색ㅡ 옅은 회갈색이나 성장하면서 기부쪽에서부터 또는상처시 암갈색으로 된다.                                                     적갈색의 내피막이 있고 대가 가늘고 길며 대 중간부위에 ..

산야초의 효능 2024.08.06

노랑끈적버섯

노랑끈적버섯노랑 끈적버섯 [식용버섯] Cortinarius tenuipes (Hongo) Hongo☆ 분      류 :   버섯목  끈적버섯과  버섯속                                  ☆ 밝생시기 :  가을                                                                  ☆ 벌생장소 :  활엽수림의 땅위에 군생한다                                  ☆ 용      도 : 식용버섯                                                                               상쾌한 향기가 있고 다소 점성이 있어 씹는 맛이나 혀감촉이 좋다.           ..

산야초의 효능 2024.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