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0

보리볏집버섯

보리볏집버섯보리볏집버섯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버섯이 얼마나 종류가 많은지..이번에 포스팅을 하면서 새삼느끼는데요 과연 끝까지 할 수 있을지...아!! 전 포기가 빠른데 지치면 안돼겠죠잉..혼합림 산길등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보리볏집버섯은 여름에서 가을에 발생하며 산생 또는 소수 군생을 형태로 자라나네요.갓의 모양은 반구형에서 편평해지며 색은 암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또렷해지는 걸 확인 가능하죠활엽수와 침엽수 혼합림 산길 공원 초지 등에서 산생 소수 군생하는 보리볏집버섯은 조직은 비교적 얇고 유백색 옅은 갈색을 띄며 맛과 향기는 분명하지 않은 버섯이네요.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2024.07.31

볏집버섯

볏집버섯볏집버섯입니다. 균심균류/주름버섯목/소똥버섯과로 숲속의 초지등에 주로 발생하는 버섯이구요. 봄에서 초여름에 발생하는 형태는 군생이라고 하네요.갓의 몽양은 반구형태에서 편평해지구요 암갈색이였다가 황갈색으로 점점 변모하는 모습을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숲속 공원 초지 도로변에 군생하는 볏집버섯 조직은 다소 두껍고 유백색이며 주름살 바로 위쪽은 올리브갈색을 띕니다.맛은 다소 쓰며 밀가루 냄새가 난다구요......^^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2024.07.30

큰눈물버섯

큰눈물버섯큰눈물버섯 -  눈물버섯과 구분 :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큰눈물버섯속학명 : Lacrymaria lacrymabunda(Bull.) Pat갓은 지름 3~8cm로 종형~반구에서 볼록편반구형이 된다.갓 표면은 다갈색~황갈색이며 섬유상의 인편으로 덮이고 주변부는 내피막의 흔적인 섬유상의 털이 붙어있다.주름살은 바른주름살로 암자갈색인데 검은반점이 생기며, 주변부는 흰 가루모양이다.자루는 3~10cmx3~10로 표면은 균모와 거의 같은 색의 섬유로 덮이나, 상부는 백색 분상이다.고리는 불완전하고 사마귀로 덮이고 9~11.5x6~7.5㎛이다.시기 : 봄~가을장소 : 공원, 정원, 길가등 에 군생한다.​분포 : 북반구 일대 ※ 식용 가능한 버섯이나 사람에 따라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   ..

산야초의 효능 2024.07.29

재먹물버섯

재먹물버섯재먹물버섯,Coprinus cinereus재먹물버섯은 늦은 봄에서 가을까지 퇴비 또는 소똥, 말똥 주위에 무리 지어 난다. 갓의 지름은 2~5cm이고 높이는 1.5~4.5cm이며 초기에는 난형, 원통형이었다가 점차 종형 혹은 편평형으로 변화하며 종종 위쪽으로 말려 올라간다. 표면은 초기에는 연한 누런색 바탕에 흰색의 솜털 모양의 피막이 있으며, 점차 자라면서 중앙부위는 황토빛 갈색을 띠고 방사상의 홈선이 점차 갈라진다. 조직은 얇고 흰색이며 점차 회색으로 변화한다. 주름살은 좁은완전붙은주름살의 형태로 대에 붙으며 빽빽하고, 조직과 같은 색을 띤다. 버섯대의 길이는 3~8cm이고 두께는 2~5mm로 위아래 굵기가 비슷한 원통형이나 기부쪽이 다소 굵다. 속이 비어 있으며 쉽게 부러진다. 홀씨는 달걀..

산야초의 효능 2024.07.28

갈색먹물버섯

갈색먹물버섯갈색먹물버섯 [반들먹물버섯, 반짝이는 잉크뚜껑, 운모뚜껑]학명 : Coprinellus micaceus (syn. Coprinus micaceus, Agaricus          micaceus)영명 : Glistening Ink-cap, Glistening Ink cap, mica cap, shiny cap,          glistening inky cap 반들먹물버섯은 북한명이다.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썩은 줄기, 밑둥, 뿌리목, 그루터기 또는 그 주위에 뭉쳐서 자란다.버섯갓은 지름 1∼4cm로 달걀 모양이다가 생장함에 따라 종 모양, 원뿔 모양으로 변하며 더 펴지면 주변부는 위로 말린다.갓 표면은 연한 황갈색으로 어릴 때에는 작은 운모와 같은 가루로 뒤덮여 있지만 나중에는 떨어져 ..

산야초의 효능 2024.07.27

노랑먹물버섯(노랑쥐눈물버섯)

노랑먹물버섯(노랑쥐눈물버섯)밤에 피는 버섯을 보셧나요!노랑먹물버섯은 주로 밤에 갓이 펴진모습을 볼수 있다.낮에는 이미 펴져서 쭈그러진것만 볼수있기에 활짝핀건 거의 볼수 없다.그래서 밤에 관찰하기로 마음먹고 울산대 교수님과 밤샘을하여 그 모습을 담을수 있었다.아직 제가 보기에는 노랑먹물버섯 갓이 활짝 펴진 모습을 본 사진이 없어요.8월4일 밤10시30분부터 아침 5시까지 관찰한 노랑먹물버섯 사진입니다.2010.08.04~05일 새벽,사오정 울산 가지산 석남사에서,사오정의 쉼터노랑쥐눈물버섯 봉우리입니다.이 버섯이 활짝핀 모습이 인터넷이나각나라 싸이트를 봐도 없기에휴가 기간에 큰맘먹고 피는걸 보려고 철야 작업에 들어갔지요~^^*노랑쥐눈물버섯은 뿌리부분에 노랑모양이 있읍니다~^^*잘 보이나요~^^*우선 7/17..

산야초의 효능 2024.07.26

먹물버섯

먹물버섯먹물버섯(Inky cap)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먹물버섯속에 속하는 버섯. 학명은 'Coprinus comatus (Muller &Fr.) Pers.'이다.    전세계적으로 약 100종이 나무나 거름 위에서 자란다. 포자가 갓에서 터지면 갓이 잉크 같은 액체로 되면서 없어지기 때문에 'inky cap'이라는 영어 이름이 붙었다. 흰 달걀처럼 발생하여 솟아오르다가 갓이 피면서 속의 포자가 액화 현상을 일으켜 검은 먹물 같은 액체를 흘린다. 이 버섯에서 나오는 검은 액체를 서양에서는 잉크로 사용했다고도 한다. 액화 현상 전의 개체는 식용하며, 여러 질환에 약효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2024.07.25

주름버섯

주름버섯주름버섯 Agaricus campestris L. var.분류 :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발생 : 여름~가을까지 잔디밭, 목장, 골프장 등의 땅위에서 발생이용 : 식용                                                                     관찰 : 갓의 크기는 3~11cm정도이고, 자실체 전체가 백색으로 되어 있으나 나중에는 담홍색으로 변한다.                     갓표면은 평활하나 섬유상 인편으로 되어 있으며, 건조시에는 광택이 난다.                                                        조직은 백색으로 두꺼운 ..

산야초의 효능 2024.07.24

진갈색주름버섯

진갈색주름버섯진갈색주름버섯[식용. 약용] 여름~가을에 숲 속 침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식용버섯이지만 사람에 따라 위통 등의 심한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담니다.그러나 약용으로는 항균, 항진균, 항돌연변이 작용이 있다고 합니다.버섯대가 저런 형상은 식용으로 권하지는 않습니다.대부분 독버섯 많더라고요.갓의 지름은 7~20cm로 반구형이어서 편평하게 전개됩니다.갓의 표면에 흰색이나 자갈색의 인편이 주로 중앙에 밀집되어 있습니다.주름살은 떨어진형이고, 아주 빽빽하며, 흰색~핑크색~흑갈색으로 변합니다.자루는 위아래 굵기가 같은 원통형으로 속은 비어 있으며, 흰색 바탕에 섬유상 인편이 있습니다.식용버섯으로 맛이 좋다는데, 먹어보지 않았습니다.......^^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2024.07.23

흰주름버섯

흰주름버섯흰주름버섯 Agaricus arvensis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의 버섯식장산 8부능선 정도의 작은 능선 형태로 된 곳의 산길 절개지의 낙엽 사이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맛이 좋은 식용버섯이다.유럽에서는 인기가 좋은 식용버섯이며, 한방에서는 관절약의 원료로 쓰이는 약용버섯이다.어릴때에는 맹독성인 독우산광대버섯과 혼동 할 염려가 많으니 각별 주의를 요 한다.갓의 지름이 약 5~14 cm 정도로, 어릴 때는 달걀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거의 보이지 않는 작은 섬유성 인편으로 덮여있고, 크림백색에서 연 한 황색으로 되며, 가장자리에는 턱받이의 조각이 붙어있다. 살(조직)은 백색이다가 오래되면 황색으로 된다. 주름살은 자루에서 떨어진 ..

산야초의 효능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