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六親)과 십신(十神)(7)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7) 6. 정재정재는 백부 또는 백모를 표시하여 남자에게는 처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시어머니를 의미한다 정재는 명예, 번영, 자산 또는 신용을 의미하고 복록과 길상을 나타낸다 그 정신은 정의와 공론을 존중하고 시비를 분명히 하며 .. 풍수지리 2019.07.15
육친(六親)과 십신(十神)(6)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6) 5. 편재 편재는 남자에게는 아버지와 첩 또는 처의 형제들을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의미하며 시주에 있는 편재는 손자를 의미한다 특성은 간교하고, 좀 변굴한 점이 있으나 자성이 담백하고 수식이 없다 일견 재.. 풍수지리 2019.07.14
육친(六親)과 십신(十神)(5)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5) 4. 상관상관은 조모 또는 외조부를 나타내고, 남자에게는 첩의 어머니, 여자에게는 자식들을 의미한다 상관은 교만하여 사람을 얕보는 특성이 있다 고로 비록 내심은 온정을 품고 또 예술적 소질이 있더라도 타인의 오해와 비방을 받.. 풍수지리 2019.07.13
육친(六親)과 십신(十神)(4)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4) 3. 식신 식신은 남자에게 장인, 장모, 조카 및 손자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자식, 손자 및 친정의 조카를 의미한다 식신은 그 특성이 의식주가 풍부함을 의미하고 소득, 봉록, 자산, 가재등이 윤택함을 나타낸다. 또 신체가 풍비하고 .. 풍수지리 2019.07.12
육친(六親)과 십신(十神)(3)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3) 2. 겁재 겁재는 비견과 같이 형제, 이복형제, 남편의 첩을 표시하는 육신으로서 그 특성은 교만불손하고 쟁투폭려를 의미한다 따라서 타인을 너무 낮춰 보는 버릇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부가 서로 상극하여 배우자가 변하는 경우가 .. 풍수지리 2019.07.11
육친(六親)과 십신(十神)(2)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2) 1. 비견 비견은 형제, 친구, 조카, 남편의 첩을 표시하고, 그 특성으로서는 분가, 양자, 독립, 이별, 분리등이다. 자존심이 강하고 과단독행하여 자기의 주장을 고집하여 타인과 불화쟁론에 빠지고 나아가 비방불리를 초래하기 쉽다 그.. 풍수지리 2019.07.10
육친(六親)과 십신(十神)(1)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1)십신은 일간을 주체로하여 사주의 각 간지를 상호 대조하여 그 사이에 일어나는 운명에 대한 작용력의 경중 및 왕쇠를 십신(十神, 十星)으로 표시한다. 십신은 그것이 사주조직에 있어서의 위치를 대조하여 미치는 영향력을 판단하는.. 풍수지리 2019.07.07
계절과 통근(9)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9)(2) 通根과 透出의 차이 時 日 月 年 癸 戊 辛 丙 亥 戌 卯 戌 이 사주에서 통근과 투출에 대해서 관찰을 해보면 그 차이점을 알게 된다. 우선 통근에 해당하는 것은 天干에 있는 글자가 지지에 있는 글자 중에서 자신을 생해주거나 같은 오행의 글자가 되.. 풍수지리 2019.07.06
계절과 통근(8)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8)(1) 격국론(格局論)의 뿌리인 月令透出 時 日 月 年 ㅇ ㅇ ㅇ ㅇ ㅇ ㅇ 寅 ㅇ 이표를 보면서 생각해보자. 어느 사주에서 태어난 월령이 寅木이라고 했을 경우를 가정했다. 그러면 우선 天干에 甲木이 있는가를 살피게 된다. 그래서 있으면 그것을 일러서 .. 풍수지리 2019.07.05
계절과 통근(7)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7) 3. 透出은 무엇인가 通根을 알고 나게 되면 상대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 투출(透出)이다. 이것은 통근의 반대개념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는데, 통근이 위에서 아래를 바라다 보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투출은 그 반대로 아래에서 위를 바라다 보고 있.. 풍수지리 2019.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