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과 통근(6)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6) 2) 뿌리도 해로울 수 있다 일단은 뿌리의 원리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셨을 것으로 보고, 다음에는 부정적인 측면의 뿌리에 대해서도 한마디 언급을 하려고 한다. 앞에서 여러 가지로 상황설명들 드렸기 때문에 이제 뿌리의 의미가 무슨 뜻인지는 분명하.. 풍수지리 2019.07.03
계절과 통근(5)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5) 1) 계절이 갖는 무게 여기에서는 간지의 상황을 생각하는 것보다 가장 뚜렸하게 비교가 되는 문제가 등장을 한다. 즉 계절의 개념이 도입된다는 점이다. 계절은 가장 크게 나누면 사계절이 되는데, 이 계절에 의지해서 각각의 오행이 힘을 얻기도 하고, .. 풍수지리 2019.07.02
계절과 통근(4)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4) 2. 계절의 通根 일단 자체적인 干支에서의 통근 정도를 이해하게 되었다면 다음으로는 또 하나의 통근법인 계절의 상황에 의한 통근 정도에 대해서도 이해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60종류가 아닌 120종류에 해당한다는 것도 알아야 하겠다... 풍수지리 2019.07.01
계절과 통근(3)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3) 3) 통근의 변수(變數) 사주에서는 네 개의 기둥이 존재하므로 그러한 주변의 상황에 의해서 또다른 변수가 예상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작용은 合沖이다. 합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변화는 이루 말로 다 할 수 없는 정도라고 해야 할 지경이.. 풍수지리 2019.06.30
계절과 통근(2)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2) 1. 通根의 原理그러면 본격적으로 통근에 대해서 연구를 해보도록 하자. 가장먼저 이해를 해야 할 것은 통근을 하는 데에도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는 그대로 진리와 연결이 되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이유를 이해하다 보면 결국은 명.. 풍수지리 2019.06.29
계절과 통근(1) 풍수지리(風水地理) 계절과 통근(1)명리학의 이면을 타고 흐르는 여러 가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다. 신살론과 합충변화, 그리고 간지의 주변에서 벌어질수 있는 여러 가지의 정황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났으니까, 이제는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배우지 않아야 하는지 정도는 감이 잡히.. 풍수지리 2019.06.28
地支의 沖과 天干의 剋(3) 풍수지리(風水地理) 地支의 沖과 天干의 剋(3) (1) 干合에서... 간합은 일간의 합과 다른 간의 합을 구분해서 봐야 한다. 간합이 이뤄진 것으로 판단되면 化氣가 어떤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화기는 지지에서 어떤 마음을 가지고 협주해 주느냐를 말하는 것이다. 간합은 되어 있더라도 .. 풍수지리 2019.06.27
地支의 沖과 天干의 剋(2) 풍수지리(風水地理) 地支의 沖과 天干의 剋(2)1) 子午沖의 의미 자오충은 대왕끼리의 충돌이다. 일단은 子水가 午火를 이기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좀 복잡한 것은 午중에 들어있는 己土가 문제이기 때문이다. 기토가 적어도 10 정도의 영역을 장악하고 있으므로 자수는 마음대로 오화에게 .. 풍수지리 2019.06.26
地支의 沖과 天干의 剋(1) 풍수지리(風水地理) 地支의 沖과 天干의 剋(1) 충과 극 (沖剋)합과 충을 음양으로 표시한다면 합을 양으로 보고 충을 음으로 볼 수 있겠다. 그러니까 합과 충은 서로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합은 모으는 것이라고 한다면 충은 흩어버리는 작용을 한다고 이해하면 되겠.. 풍수지리 2019.06.25
지지의 삼합과 육합(17)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17)★ 명리학자의 유익함 무엇보다도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가 없다. 쪽집게도사는 손님이 찾아오면 어떻게 찾아왔는지를 우선 찍어야 한다. 한두번 물어서 맞지 않으면 이미 고객은 실망의 눈빛을 가지고 괄시하는 표정을 역역하게 띠고 앉아있다.. 풍수지리 201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