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의 삼합과 육합(6)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6)2) 地支에 두자, 天干에 한자가 있다면? 일설에는 地支에 두자만 있고, 천간에 그 기운이 변화한 글자가 있을 경우에도 삼합으로 본다는 말이 있는데, 이렇게 되어서는 올바른 합이 될 수 없다고 생각되어서 거짓된 합 이라고 봐야 하겠다. 가령 .. 풍수지리 2019.06.13
지지의 삼합과 육합(5)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5)(4) 三合의 원리 맨처음 삼합이 등장하게 된 것은 언제인지 알 수는 없겠지만, 아마도 五行學의 초창기에 벌써 발생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삼합은 생각보다 그 작용력이 상당히 크다고 봐서, 예로부터 중요하게 그 인식해 왔던 것 같다. 그런만.. 풍수지리 2019.06.12
지지의 삼합과 육합(4)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4)(3) 生旺庫의 관계 분석 본격적으로 생왕고(生旺庫)에 대한 원리를 생각해보도록 하자. 화학반응이라는 이야기를 드렸는데, 그 요구조건이 바로 생왕고가 한 자리에 모여있기를 원한다는 생각이 계속 든다. 그 중에서 어느 한가지가 빠져있거나 .. 풍수지리 2019.06.11
지지의 삼합과 육합(3)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3)(2) 중요한 것은 가운데의 글자이다 三合의 원리가 단지 地支의 세 글자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배합인 것 뿐인데, 그 중에서도 합이 성립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것을 알게 되면 상당히 많은 정리가 이뤄진 상태라고 하는 것을 믿어도 좋을 것.. 풍수지리 2019.06.10
지지의 삼합과 육합(2)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2)(1) 三合은 부자손합(父子孫合)이라고도 부른다 아버지와 아들과 손자가 결합이 된다면 얼마나 끈끈하게 유대관계가 유지되겠느냐는 의미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렇게 부르는 삼합은 단결력이 매우 좋은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된다. 그리고 地支.. 풍수지리 2019.06.09
지지의 삼합과 육합(1)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지의 삼합과 육합(1) 三合 - 父子孫의 合 (家庭의 合)干合 또는 五合은 이해가 되셨을 것으로 생각하고, 다음은 三合에 대해서 궁리를 해보도록 한다. 사실 干合도 중요하지만 실은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삼합이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매우 중.. 풍수지리 2019.06.08
천간의 오합(10)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10) (7) 戊癸合化火 戊土와 癸水가 서로 만나면 결합한다. 합을 하는 조건은 甲己合과 동일하며 地支에서 火의 기운을 강화시켜주는 글자가 있다면 化火도 된다. 무계합은 무정한 합이라는 말이 전해진다. 역시 별로 적용이 되지않는 이야기라고 생각이 되.. 풍수지리 2019.06.07
천간의 오합(9)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9)(4) 乙庚合化金 乙木과 庚金이 서로 만나면 결합한다. 합을 하는 조건은 甲己合과 동일하며 地支에서 金의 기운을 강화시켜주는 글자가 있다면 化金도 된다. 乙庚합이 발생했다면 역시 化氣가 어느 정도인지를 검색해봐야 한.. 풍수지리 2019.06.06
천간의 오합(8)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8)(3) 甲己合化土 甲木과 己土가 서로 만나면 결합한다. 이러한 조건이 갖춰지면 甲己合 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이것은 무조건이라고 해도 좋겠다. 둘이서 서로 만나면 즉시로 불이 튀고 사랑이 싹터서 결혼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보통은 좋은.. 풍수지리 2019.06.05
천간의 오합(7)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7)3) 合이 되었으면 化의 상황을 살핀다 우선 합이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인지는 살펴봤다. 그러면 그 합이 어떻게 해 서 화하게 된다는 것인지도 실제로 사주를봐가면서 이해를 해야 빠를 것 같다. 그래서 다시 몇 개의 사주를 보여드리도록 하겠다. .. 풍수지리 2019.06.04